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Wooden Three Buddha Statues and Sculptor Monk Named Gakmin in Main Shrine of Donhaksa-temple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2, v.35 no.4, pp.241-265
https://doi.org/10.25024/ksq.35.4.201212.241
Jeong Eunwoo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에 위치한 동학사 대웅전에는 크기 110.5cm의 석가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약사불과 아미타불로 이루어진 삼세불상이 봉안되어 있다. 세 불상에서는 조성발원문, 개금중수기를 비롯해 여러 종류의 경전 및 복장물 등 76건이 발견되었는데, 발원문에 따르면 1605년 음력 10월에 대웅전의 석가불, 약사불, 아미타불과 극락전의 아미타불 등 4구를 조성하기 시작하여 1606년 음력 3월에 완성하였음이 밝혀졌으며, 원 봉안처는 계룡산(鷄龍山) 청림사(靑林寺)로 밝혀졌다. 그리고 1883년 불상의 개금이 동학사에서 이루어진 중수기도 발견되었다. 동학사 불상은 전체적인 비례라든지 세부적인 옷 주름, 수인, 얼굴 표정 등에서 17세기 전반경에 유행했던 불상의 특징을 보인다. 특히 허리가 긴 신체 비례라든지 수직과 수평으로 획일화된 옷 주름의 표현기법은 17세기 전반경의 작품에서 보이는 시기적 특징이다. 신체에 비해 얼굴이 작으며 전체가 사각형으로 구성된 비례감이라든지 수인 처리, 옷 주름의 표현 등은 16세기부터 유행했던 특징이 17세기까지 지속되었음을 알려준다. 임진왜란이 끝난 직후인 1606년 제작된 동학사 삼세불상은 17세기 초에 제작된 불상 사례가 많지 않은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높으며, 삼세불상의 조성은 물론 원봉안처 및 충실한 중수기록이 발원문에 명기되어 있고, 불상을 조성한 각민(覺敏), 행사(幸思) 등 상을 만든 조각승도 밝혀졌다. 조각승 각민은 1614년의 송광사 대웅전 삼존불상을 비롯하여 불상 제작에 대한 기록은 있지만 현존 작품은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이 유일하다. 불상과 더불어 복장물로 출토된 사경과 경전 역시 서지학적으로 조선 전기의 불서 간행 상황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 가운데 공덕주가 효령대군(孝寧大君)이라 적힌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은 『숙종실록(肅宗實錄)』의 세조의 동학사 행행기록에서 보듯 앞으로 공주 지역과 조선 전기 왕실의 후원 문제를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keywords
동학사(Donghaksatemple), 조선 후기(Late Joseon), 삼세불상(Three Buddha Statues), 1606년, 조각승 각민(Sculptor monk, Gakmin), Donghaksa-temple, Late Joseon, Three Buddha Statues, 1606, Sculptor monk, Gakmin


Reference

1

권상로, 韓國寺刹全書 하. 이화문화사, 1994.

2

김광희, 「16세기 菩薩像 연구」.『문물연구 14, 2008.

3

김리나·정은우 외, 한국불교미술사. 미진사, 2011.

4

문명대, 「석준, 원오파의 성립과 논산 쌍계사 삼세불상(1605년) 및 복장의 연구」. 강좌미술사 36, 2011.

5

불교문화재연구소편, 한국의 사찰문화재 시리즈. 20032010.

6

손영문, 「조각승 인균파 불상조각의 연구」. 강좌미술사 26, 2006.

7

송은석, 「17세기 朝鮮王朝의 彫刻僧과 佛像」.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8

어준일, 「16世紀 朝鮮時代의 佛敎彫刻 硏究」.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9

이용윤, 「삼세불의 형식과 개념 변화」.『동악미술사학 9, 2008.

10

이희정, 「朝鮮後期 慶尙道地域 彫刻僧과 佛像」.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1

정은우, 「경천사지10층석탑과 삼세불회고」. 미술사연구 19, 2005.

12

정은우, 「조선 후반기 조각의 대외교섭」. 조선 후반기 미술의 대외교섭, 예경, 2007.

13

정은우,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특징과 원문 분석」. 미술사연구 22, 2008.

14

조선총독부, 朝鮮古蹟圖譜 권13. 1933.

15

최선일, 「조선 후기 조각승의 활동과 불상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6

최선일, 조선후기승장 인명사전 불교조소 』. 양사재, 2007.

17

최선일, 「조선 후기 조각승과 불상 양식의 변천」. 미술사학연구 261, 2009a.

18

최선일, 「17세기 전반 조각승 원오의 활동과 불상 연구」. 17세기 彫刻僧과 佛像 硏究, 한국연구원, 2009b.

19

최선일, 17세기 彫刻僧과 佛像 硏究. 한국연구원, 2009c.

20

한국불교미술박물관편, 衆生의 念願. 2004.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