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Study on Positive Vowelization of Ending in Korean in the 16th Century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2, v.35 no.4, pp.297-321
https://doi.org/10.25024/ksq.35.4.201212.297
Bae Younghwan
  • Downloaded
  • Viewed


Reference

1

고은숙, 국어 의문법 어미의 역사적 변천. 한국문화사, 2011.

2

권정숙, 「16세기 국어의 마침법 연구 시킴법과 꾀임법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11, 1987, 8599쪽.

3

김성란, 근대국어의 종결어미 연구 노걸대류 언해본을 중심으로. 역락, 2006.

4

김영욱, 「통시적 형태 분석의 문법사적 의미(화합 형태 ‘쇼셔, 어쎠’를 중심으로)」, 형태론 11, 박이정, 1999, 7191쪽.

5

김완진, 「음운 현상과 형태론적 제약」. 학술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편), 1971a(김완진, 1971b에 재수록).

6

김완진, 국어 음운체계의 연구. 일조각, 1971b.

7

김완진, 「번역박통사와 박통사언해의 비교 연구」. 동양학 5,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75, 1528쪽.

8

김정태, 「충남방언 활용에서의 음성모음화」. 어문연구 51, 어문연구학회, 2006, 279299쪽.

9

남광우, 「단모음화 음성모음화 연구」. 동양학 5,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75, 112쪽.

10

서태룡, 국어활용어미의 형태와 의미. 탑출판사, 1988.

11

서태룡, 「16세기 청주 간찰의 종결어미 형태」. 정신문화연구 19권 3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5793쪽.

12

안병희, 「후기 중세국어의 의문법에 대하여」. 학술지(건국대학교) 1, 1965, 5982쪽.

13

안병희·이광호, 중세국어 문법론. 학연사, 1990.

14

유창돈, 「이조어의 말어미 고」. 인문과학 10,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63, 724쪽.

15

이기문, 개정 국어사 개설. 탑출판사, 1972.

16

이기문, 십육세기 국어의 연구. 탑출판사, 1978.

17

이탁, 「원망의 형태소 ‘져’의 기능 연구」. 어문학 66, 한국어문학회, 1999, 131149쪽.

18

이현희, 「국어 종결어미 발달에 대한 관견」. 국어학 11, 1982, 143163쪽.

19

이현희, 「‘아져’와 ‘良結’」. 국어사와 차자표기(소곡 남풍현 선생 회갑기념논총), 태학사, 1995, 411428쪽.

20

장윤희, 「석독구결 자료의 감탄법 종결어미」. 구결연구 4, 1998, 5784쪽.

21

장윤희, 중세국어의 종결어미 연구. 태학사, 2002.

22

정재영, 의존명사 ‘’의 문법화. 태학사, 1996.

23

조항범, 주해 순천김씨묘출토간찰. 태학사, 1998.

24

한재영, 십육세기 국어 연구. 신구문화사, 1996.

25

허웅, 16세기 우리옛말본. 샘문화사, 1989.

26

황문환, 16, 17세기 언간의 상대경어법. 태학사, 2002.

27

황선엽, 「국어 연결어미의 통시적 연구한글 창제 이전 차자표기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