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일제하 식품위생령 법제화에 의한 육류 소비관행의 근대적 변모

Modern Change of Meat Consumption Tradition Affected by ‘Butchery Rules’ under the Imperialist Japanese Rule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3, v.36 no.3, pp.474-498
https://doi.org/10.25024/ksq.36.3.201309.474
박채린 (한국식품연구원부설 세계김치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제도의 시행과 그 단속은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다. 구한말‒일제강점기는 전 시대와 확연히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유입과 근대국가의 강력한 행정력으로 사람들의 인식체계와 생활 양상에 큰 변화가 일어난 시기이다. 이 글은 그중에서도 식품위생 패러다임의 유입에 따라 관련 제도가 도입, 구축되어간 과정을 살피고 이 제도의 시행으로 음식의 소비 유통과정에 새로이 적용된 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규제의 방향이 장기적으로 사람들의 생활 양상을 규정짓는 방향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식품위생 관련 제도의 구성체제와 도입과정을 통해 일본이 국민건강 유지라는 근대국가 통치의 술을 발휘해 세수확보를 통한 경제적 부수익을 창출함은 물론, 1차 농축산업, 2차 가공식품산업 및 3차 음식점 영업 분야에서 일본 자국민들에게 영업권 선점의 도약대를 마련해준 것임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은 식품위생제도 중 가장 먼저 한반도에 도입된 도수규칙을 통해 읽어낼 수 있었는데, 일제는 병합 이전 일본인 거류지역 내에 일본 본토의 축산물 위생제도를 기반으로 한 제도를 시행함으로써 관할지역 내에서 식생활 관련 통제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조선거주(在朝) 일본인의 영업권을 보장하였다. 이어서 통감부 시기에 위생 기조를 내세워 이 도수규칙을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함으로써 조선인의 식육 관련 관행에 변화를 유발하게 되었다. 식품위생 패러다임을 이용해 관련 제도를 안착시킴으로써 조선인의 식생활은 근대화라는 지향성을 가지고 일본의 통제권 안에 포섭되어갔다.

keywords
Japanese Occupation, food, sanitation, hy‒giene, Food Sanitation Act, Butchery Rules, Livestock regu‒lation, livestock products, modern governance, 일제강점기, 식품, 위생, 식품위생법, 포사제도, 도수규칙, 축산물, 근대

Abstract

It is natural that to execute and enforce a system should affect behaviors of human beings. It was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late Josoen and the Japanese colony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vious period that the new paradigm introduction and modern nation’s strong administration caused to bring a big change to the perception structure and life phase of people. Of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troduction and construction process of related systems according to the importation of food hygiene paradigm, and to see what items were newly applied to the chain of food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in accordance with the execution of the system. It is because direction of regulation would play a role of being a rudder to define most people’s life aspects in the long run. As a result, through the construction structure and introduction process of food hygiene related systems, this study found out that Japan created supplementary income through securing tax revenues and provided Japanese people with as a springboard benefits of prior occupation in the fields of 1st agriculture and livestock, 2nd processed food, 3rd F&B sales in restaurants in the name of national health management by using ruling tactics of modern nations. These facts could be read through the system of butchery rules that was introduced in Korean peninsula in the first place among food hygiene systems, the Japan Empire executed the system based on the livestock hygiene system in the mainland Japan, and by doing so Japan could reinforce control over dietary habits in the jurisdiction area and secure sales rights for the Japanese living in Joseon. Furthermore, by quoting the basis of hygiene from during the Residency‒General period, Japan carried the system of butchery rules into effect throughout the country, yielding a change in Joseon people’s meat related tradition. Japan made safe arrival of related systems by using food hygiene paradigm, and brought around Joseon people’s dietary habits in Japan’s control with a direction of modernization.

keywords
Japanese Occupation, food, sanitation, hy‒giene, Food Sanitation Act, Butchery Rules, Livestock regu‒lation, livestock products, modern governance, 일제강점기, 식품, 위생, 식품위생법, 포사제도, 도수규칙, 축산물, 근대


참고문헌

1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조선시대민속문헌해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2

기창덕, 「조선시대 말 개명기의 의료 (2)」. 『의사학』 제6권 1호, 1997.

3

김대길, 「조선 후기 우금에 관한 연구」. 『사학연구』 제52호, 1996.

4

김동철, 「19세기 우피무역과 동래상인」. 『한국문화연구』 제6권, 1993.

5

김수성, 「일본의 근대화와 육식문화」. 『한일어문논집』 제10권, 2006.

6

朴慶龍, 「統監府 理事廳 연구」. 『한국사연구』 제85권, 1994.

7

박윤재, 「韓末·日帝 初 近代的 醫學體系의 形成과 植民 支配」.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8

박윤재, 「한국 근대의학의 탄생과 국가; 대한제국과 통감부의 의학체계 구상과 전개」. 『동방학지』 제139권, 2007.

9

宋贊植, 「懸房考 (上)」. 『한국학논총』 제6권, 1984.

10

宋贊植, 「懸房考 (下)」. 『한국학논총』 제7권, 1985.

11

신규환, 「한국 근대의학의 탄생과 국가; 국가 위생의료체제(衛生醫療體制)와 국가의료(國家醫療)의 형성: 19세기 말 20세기 초 한국과 중국의 경험」. 『동방학지』제139권, 2007.

12

양상현, 「한말 포사 운영과 포사세 수취구조」. 『한국문화』 제16권, 1995.

13

여인석, 「한국 근대의학의 탄생과 국가; 한국 근대 선교의료기관의 형성과 성격」. 『동방학지』 제139권, 2007a.

14

여인석, 「한국 근대의학의 탄생과 국가; 한국의학의 근대성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동방학지』 제139권, 2007b.

15

이종환, 「위생의 근대」. 『人文硏究』 제51권, 2006.

16

임상범, 「20세기 전반기 북경의 경찰과 시민생활: 정치사, 사회사, 생활사와 관념사의 접점을 찾아서」. 『중국학보』 제48권, 2003.

17

장주선, 「일본 전시하의 위생행정과 경찰행정」. 『자치연구』 제3권 2호, 1993.

18

조영준, 「서울 쇠고기시장의 구조, 1902‒1908: 『安奇陽日記帳』의 기초분석」. 『서울학연구』 제37호, 2009.

19

조항현, 「명치 중기의 식생활 조사와 개량 논쟁」.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0

최은정, 「18세기 현방의 상업활동과 운영」.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2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편, 『구례 유씨가의 생활일기 下』. 문원사, 1991.

22

京城府 編, 『乳製品獸鳥肉鷄卵罐甁詰食品ニ關スル調査』. 京城: 京城府, 1927.

23

龜山孝一, 『衛生行政法』. 東京: 松華堂書店, 1932.

24

白石保成, 『朝鮮衛生要義』. 京城: 日韓印刷所, 1918.

25

福田喜八(琴月), 『衛生と衣食住: 及附錄』. 東京: 博文館, 1911.

26

山極勝三郞 著, 吳一相 譯, 『(最新通俗)衛生大鑑』. 京城: 中央衛生協會朝鮮本部, 1912.

27

山田勇雄, 『大京城寫眞帖』. 京城: 中央情報鮮滿支社, 1937.

28

善生永助, 『朝鮮人の商業』. 京城: 朝鮮總督府, 1925.

29

小串政次, 『朝鮮衛生行政法要論』. 咸鏡南道: 發行者不明, 1921.

30

日韓印刷 編纂部 編, 『(現行朝鮮)警察法令釋義 下』. 京城: 日韓印刷, 1911.

31

朝鮮公論社 編, 『朝鮮事情寫眞帖』. 京城: 朝鮮公論社, 1922.

32

朝鮮總督府 編, 『朝鮮法令輯覽 2』. 京城: 帝國地方行政學會, 1915.

33

朝鮮總督府 編, 『朝鮮人の商業』. 京城: 朝鮮總督府, 1921.

34

鳥越靜岐·薄田斬雲 共著, 『朝鮮漫畵』. 京城: 日韓書房, 1909.

35

津野慶太郞, 『食肉衛生警察』. 東京: 長隆舍, 1913.

36

《황성신문》, 「法律 第1號 庖肆規則」. 1896년 1월 18일자.

37

《황성신문》, 「庖肆逐出」. 1905년 4월 17일자.

38

《황성신문》, 「포사현황」. 1908년 2월 9일자.

39

《황성신문》, 「도우규정」. 1908년 7월 3일자.

40

《황성신문》, 「獸疫檢査」. 1908년 7월 24일자.

41

《황성신문》, 「도수처리」. 1909년 5월 6일자.

42

《황성신문》, 「도수규칙공포」. 1909년 8월 21일자.

43

《황성신문》, 「포사위원발정」. 1910년 10월 26일자.

44

《황성신문》, 「도수조합취지」. 1910년 11월 11일자.

45

《황성신문》, 「販肉規則頒佈」. 1910년 1월 25일자.

46

《제주뉴스》, 「닭, 오리 등 가축 8종 자가소비로 누구나 도축 가능」. 2013년 4월 14일자.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