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기묘제현수필>>과 <<기묘제현수첩>>의 제작과 확산

Production and Diffusion of Gimyo(己卯)‒sages’s supil and Gimyo(己卯)‒sages’s sucheop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6, v.39 no.3, pp.201-238
https://doi.org/10.25024/ksq.39.3.201609.201
김덕수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수필’과 ‘수첩’을 한양에 처음 소개한 것은 한준겸(韓浚謙)이고, 완정하게 장황하고 나서 ‘기묘제현수첩’이라 명명하고 한호(韓濩)에게 제첨 글씨를 쓰게 한 것은 강복성(康復誠)과 이호민(李好閔)이다. 한준겸과 강복성이 기묘제현의 필첩 제작과 현양에 노력을 기울인 데는 안처순 및 수록 인물과의 혈연적 관계가 크게 작용했다. 19세기에는 전라도관찰사 조인영(趙寅永)과 조성교(趙性敎)에 의해 장황이 개수되었는데 개장(改粧)할 때 작품 순서를 혼동하지 않기 위해 종이 이면에 세필로 적은 숫자를 통해 개장하기 이전 수필의 형태를 가늠할 수 있다. 한준겸이 한양에 소개한 이래로 동년(同年)이나 혼반 등 다양한 인적 관계망 속에서 두 필첩은 빠른 속도로 확산되었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모사본이 제작되었다. 특히 한호는 제첨 글씨만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성해응(成海應)의 발문을 통해 두 필첩을 임서한 한호 모사본이 조선후기까지 유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전하는 도경유 모사본은 17세기 전반기 필첩의 원형을 유추하는 데 유효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러 모사본은 제목에서 ‘서간(書簡)’, ‘서독(書牘)’, ‘간첩(簡帖)’, ‘서첩(書帖)’, ‘척독(尺牘)’을 표방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수필까지 모두 수록한 것으로 여겨진다. 순조 연간에 간행된 『사제선생실기』와 모각본 필첩도 수첩과 수필의 대중적 확산에 적잖은 기여를 했다. 특히 모각본의 간행은 최대한 진적(眞跡)에 가까운 형태로 제현의 심획까지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기묘제현의 친필은 조선시대 선비들에게 신성한 존재로 여겨졌고 이러한 현상은 시대나 당색을 초월했다. 효종 연간에 송시열(宋時烈)은 글이 뛰어나고, 글씨가 뛰어나고, 그 사람이 뛰어나고, 오래되어 희귀하다는 네 가지 사실로써 기묘제현 필첩의 가치를 요약했다. 350여 년이 지난 현재에도 송시열의 견해는 여전히 유효하며 두 첩의 희소성은 더욱 배가될 수밖에 없다.

keywords
<<기묘제현수필>>(Gimyo‒sages’s supil), <<기묘제현수첩>>(Gimyo‒sages’s sucheop), 안처순(An chur‒soon), 모사본(Copies), 모각본(Carved specimens), 동년(Applicants who passed in the same examination)


참고문헌

1

안승준, 「『 기묘제현수필·수첩』 의 내용과 성격」. 『 기묘제현수필 기묘제현수첩』 ,한국간찰자료선집10,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2

진봉모, 「南原의 書藝와 書藝遺蹟 考察」.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

奇宇萬, 『 松沙集』 .

4

金麟厚, 『 河西先生全集』 .

5

都慶兪, 『 己卯諸賢書牘帖』 (屛巖書院 소장본).

6

都慶兪, 『 洛陰文集』 .

7

宋秉璿, 『 淵齋集』 .

8

宋時烈, 『 宋子大全』 .

9

宋麟壽, 『 圭菴集』 .

10

宋穉圭, 『 剛齋集』 .

11

吳尙濂, 『 燕超齋遺稿』 .

12

吳億齡, 『 晚翠集』 .

13

柳夢寅, 『 於于集』 .

14

尹根壽, 『 月汀先生別集』 .

15

李景奭, 『 白軒集』 .

16

李敏求, 『 東州集』 .

17

李宗休, 『 下庵文集』 .

18

李廷龜, 『 月沙集』 .

19

李春英, 『 體素集』 .

20

鄭蘊, 『 桐溪集』 .

21

鄭澔, 『 丈巖集』 .

22

趙寅永, 『 雲石遺稿』 .

23

河受一, 『 松亭集』 .

24

韓浚謙, 『 柳川遺稿』 .

25

玄德升, 『 希菴遺稿』 .

26

洪瑞鳳, 『 鶴谷集』 .

27

黃暹, 『 息庵集』 .

28

黃廷彧, 『芝川集』 .

29

『國朝文科榜目』 (규장각 소장본).

30

『己卯諸賢手帖』 (장서각 기탁본).

31

『己卯諸賢手筆』 (장서각 기탁본).

32

『思齊先生手筆』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33

『思齊先生實紀』 (순흥안씨 소장본).

34

『 鎭安縣邑誌』 (규장각 소장본).

35

『 筆苑』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 소장본).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