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일제하 민족주의 역사학의 유통 - 박은식과 신채호를 중심으로 -

Distribution of Nationalism History Studies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6, v.39 no.3, pp.239-265
https://doi.org/10.25024/ksq.39.3.201609.239
장신 (역사문제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 역사학과 그 영향력의 문제를 다루었다. 대표적 민족주의 사학자로 평가받는 박은식과 신채호의 역사 관련 단행본 유통을 중심으로 이 문제에 접근하였다. 식민지기에 시공을 초월하여 모든 대상에게 영향력을 행사한 역사학은 존재하지 않았다. 역사학자가 서 있는 지역, 이용할 수 있는 매체와 제도적 기반 등에 따라 역사를 소비하는 지식인·대중과의 접점도 달라졌다. 박은식과 신채호는 식민지 조선의 바깥(해외), 1910년 이전과 1945년 이후에 널리 독자를 만났다. 1910년부터 1945년까지는 검열 때문에 조선 내에서는 아예 단절되거나 제한적으로 그들의 사상을 독자에게 전할 수 있었다. 조선에서 민족주의 역사학자의 공백을 메운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의 사학사나 사상사적 위상은 높지 않다. 그들은 관학아카데미즘에 대응하여 당대 조선인의 역사 지식의 대중화를 책임졌다. 그들에 대한 평가는 저술뿐 아니라 출판과 유통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렇게 될 때 식민지기 조선 안팎의 문화지형을 새롭게 그릴 수 있다.

keywords
박은식(Park Eun‒shik), 신채호(Shin Chae‒ho), 검열(censorship), 황의돈(Hwang Eui‒don)


참고문헌

1

金龍德, 『 韓國史隨錄』 . 乙酉文化社, 1984.

2

김용섭, 『 역사의 오솔길을 가면서‒해방세대 학자의 역사연구 역사강의』 . 지식산업사, 2011.

3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편, 『 朴殷植全書(전3권)』 . 단국대학교출판부, 1975.

4

백승종, 『 그 나라의 역사와 말』 . 궁리, 2002.

5

백암박은식전집편찬위원회 편, 『 白巖朴殷植全集(전6권)』 . 동방미디어, 2004.

6

이규수 편, 『 조선총독부 언론통제자료(1)』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04.

7

이만열, 『 한국 근현대 역사학의 흐름』 . 푸른역사, 2007.

8

이중연, 『 책의 운명』 . 혜안, 2001.

9

趙東杰, 『 現代韓國史學史』 . 나남출판, 1998.

10

朝鮮總督府, 『 改訂十一版 敎科用圖書一覽』 . 1917. 11.

11

최기영, 『 잊혀진 미주한인사회의 대들보 이대위』 . 역사공간, 2013.

12

최광식, 『 단재 신채호의 天鼓』 . 아연출판부, 2004.

13

韓永愚, 『 韓國民族主義歷史學』 . 一潮閣, 1994.

14

韓永愚, 『 역사학의 역사』 . 지식산업사, 2002.

15

姜萬吉, 「日帝時代의 反植民史學論」. 韓國史硏究會 編, 『 韓國史學史의 硏究』 ,乙酉文化社, 1985.

16

김기승, 「식민사학과 반식민사학」. 한국역사연구회 엮음, 『 한국역사입문③ 근대·현대편』 , 풀빛, 1996.

17

金龍德, 「丹齋를 추모하며」. 『 韓國史隨錄』 , 乙酉文化社, 1984.

18

金容燮, 「日本·韓國에 있어서의 韓國史敍述」. 『 歷史學報』 31, 역사학회, 1966.

19

김종복·박준형, 「『 大東歷史(古代史)』 를 통해 본 신채호의 초기 역사학」. 『 東方學志』 162,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3.

20

김주현, 「신채호의 자료 발굴 및 원전 확정 연구‒『 天鼓』를 중심으로」. 『 語文學』 93, 2006.

21

김주현, 「신채호가 북경에서 발간한 잡지 《천고》 3호」. 『 한국근현대사연구』 61,한국근현대사학회, 2012.

22

朴杰淳, 「해제: 白巖朴殷植全集 제6권 독립운동관련자료」. 『 白巖朴殷植全集』 제6권, 동방미디어, 2004.

23

朴杰淳 , 「해제: 단재신채호전집 제2권 역사 朝鮮史硏究草」. 『 단재신채호전집』 제2권,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24

朴杰淳, 「『 단재 신채호 전집』편찬의 의의와 과제」,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0,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25

박종린, 「‘朝鮮史’의 서술과 역사지식 대중화‒黃義敦의 『 中等朝鮮歷史』 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 31, 역사문제연구소, 2014.

26

朴現圭·權赫泰, 「朴殷植 『 李舜臣傳』 의 全文 발굴과 분석」. 『 이순신연구논총』 1,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3.

27

신용하, 「신채호(申采浩)의 생애와 사상과 독립운동」. 『 사상』 10, 사회과학원, 1991.

28

신용하, 「해제: 白巖朴殷植全集 제1권 韓國痛史·韓國獨立運動之血史」. 『 白巖朴殷植全集』 제1권, 동방미디어, 2002.

29

尹炳奭, 「解說」. 『 韓國獨立運動史 資料4 臨政篇Ⅳ』 , 國史編纂委員會, 1974.

30

尹炳奭 , 「안중근의사 傳記의 종합적 검토」. 『 한국근현대사연구』 9, 한국근현대사학회, 1988.

31

尹炳奭, 「박은식의 민족운동과 『 全集』 편찬의 의의」. 『 白山學報』 70, 백산학회, 2004.

32

이만열, 「해제: 단재신채호전집 제1권 역사 朝鮮上古史」. 단재신채호전집편찬위원회 편, 『 단재신채호전집 제1권 역사 朝鮮上古史』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33

이만열, 「단재 신채호의 민족운동과 역사연구」. 『 충청문화연구』 5, 충남대학교충청문화연구소, 2010.

34

李瑄根, 「朝鮮歷史를 硏究코저 하는 이에게」. 『 新東亞』 6권 9호, 1936. 9.

35

장신, 「조선총독부의 朝鮮半島史 편찬사업 연구」. 『 동북아역사논총』 23, 동북아역사재단, 2009.

36

장신 , 「한국강점 전후 일제의 출판통제와 ‘51종 20만권 분서(焚書) 사건’의 진상」.『 역사와현실』 80, 한국역사연구회, 2011.

37

정욱재, 「『 檀祖事攷』 저술에 관한 검토」. 『 韓國史學史學報』 12, 한국사학사학회, 2005.

38

한국역사연구회, 「총론: 한국사인식의 방법과 과제」. 『 한국사강의』 , 한울, 1989.

39

黃元九, 「1917년판 번역본 『 한국통사』 」. 『 東方學志』 23·24합집,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0.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