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20세기 미주 이민 서북인의 홍경래란에 대한 기억 : 전낙청의 <홍경래전>에 대한 고찰

A Northwesterner’s memory of the Hong Kyungrae Rebellion: The case of Dunn Nak‒cheong’s Hongkyungraejeon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8, v.41 no.3, pp.275-303
https://doi.org/10.25024/ksq.41.3.201809.275
이지영 (충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전낙청의 <홍경래전>은 홍경래란을 허구화한 소설로, 원고지 2,000매에 근접하는 장편소설이다. 전낙청은 1875년에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나서 20세기 초 미국으로 이주한 인물로 <홍경래전> 외에도 6편의 소설을 더 남겼다. <홍경래전>은 전체가 19회로 구성되었으며 각 회마다 회장제목이 있다. 등장인물은 홍경래란과 관련된 역사적 인물 외에 다수의 허구적 인물을 포함시켜 구성하였다. 전체 서사는 홍경래 등이 동지를 규합하는 과정, 봉기를 준비하는 과정, 봉기 이후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에 분량상으로 비중이 높은 것은 동지 규합과정이다. 반면, 봉기 이후의 이야기는 18‒19회에서만 서술되고 있어 여타 홍경래 서사물과는 차이를 보인다. 전낙청은 동지를 규합하는 과정에서 서울의 고위 관리 및 무인들과 결탁하는 내용을 포함시키고 있는데, 이로 인해 체제를 전복하려던 애초의 계획이 구강토 회복을 위한 북벌로 변경되고 있다. 또한 작자는 송림전투를 홍경래군이 떠난 뒤에 벌어진 관군의 일방적 살육이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봉기가 경인의 배신으로 인해 실패했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경인의 배신을 천명과 연결시키면서 실패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낸다. 전낙청의 <홍경래전>은 서북인이 기억하는 혹은 기억하고자 하는 홍경래란을 재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홍경래란(Hongkyungnae Rebellion), 홍경래전(Hongkyungraejeon), 서북인(Northwesterner), 전낙청(Dunn Nak‒cheong), 미주 한인(Korean‒American), 평안북도(North Pyeongan Province), 정주(Jeongju), 만주(Manchuria), 송림전투(the Battle of Songlim), 구강토 회복(restoring the lost land)

Abstract

Nak‒cheong’s Hongkyungraejeon is a fiction on the Hong Kyungnae Rebellion of 1812, which runs close to 2,000 pages in squared manuscript paper. Dunn Nak‒cheong was born in 1875 in Jeongju, North Pyeongan Province, and moved to the United States in the early 20th century. He wrote five more novels in addition to Hongkyungraejeon. Hongkyungraejeon is composed of 19 chapters and each chapter has its own title. The characters include a number of fictional as well as historical ones related with the Rebellion. The novel has three parts: Hong Kyungrae and his confidants gathering like‒minded people, preparation for the uprising, and the development after the incident. Quite a large part of the novel is devo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rallying rebels, while the post‒revolt progression is covered only in the last two chapters. This is a distinct feature from other stories dealing with the incident. The author depicts on Hong’s collusion with Seoul‒based high‒ranking aristocrats and military officers in securing supporters for the rebellion, which played out as a crucial factor in altering the initial plan to overthrow the regime to an expedition to invade Manchuria and restore the lost land. He also claims that the Battle of Songlim ended in a unilateral massacre by the government forces after the departure of Hong’s troops and that the Rebellion was ultimately put down by the betrayal of Seoul‒based collaborators. Portraying Yoon Wooklyeol’s treason as the will of Heaven, he expresses regret over the failed revolt. It can be argued that Dunn Nak‒cheong’s Hongkyungraejeon is a recollection on the Hong Kyungrae Rebellion from a Northwestern’s viewpoint.

keywords
홍경래란(Hongkyungnae Rebellion), 홍경래전(Hongkyungraejeon), 서북인(Northwesterner), 전낙청(Dunn Nak‒cheong), 미주 한인(Korean‒American), 평안북도(North Pyeongan Province), 정주(Jeongju), 만주(Manchuria), 송림전투(the Battle of Songlim), 구강토 회복(restoring the lost land)


참고문헌

1

전경무, <Quest in Exile>(미국 USC 대학 소장 자료).

2

전낙청, <홍경래전>(미국 USC 대학 소장 자료).

3

<홍경래실기>(국립 중앙도서관 소장).

4

한문본 <홍경래전>(이우성·임형택 공역, 『이조한문단편집 하』, 일조각, 1978).

5

오수창, 『조선후기 평안도 사회발전 연구』. 일조각, 2002.

6

Sun joo Kim, Marginality and Subversion in Korea.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7.

7

박호영, 「<정주성> 시 해석의 일 방향」. 『한중인문학연구』 36, 2012, 57‒74쪽.

8

박희병, 『조선후기 전의 소설적 성향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9

성아사, 「홍경래란을 소재로 한 상업출판물 연구‒방각본 <신미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0

송하준, 「홍경래란의 기억과 문학적 형상화」. 『서강인문논총』 5, 2017, 79‒103쪽.

11

이명종, 『근대 한국인의 만주인식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2

이승복, 「<정주가>의 구조와 작가의식」. 『고전문학과 교육』 11, 2006, 155‒189쪽.

13

이지영, 「홍경래란에 대한 기억의 재구성: <신미록>의 형성맥락에 대하여」. 『어문연구』 43권 3호, 2017, 131‒156쪽.

14

장유승, 『조선후기 서북지역 문인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5

정환국, 「홍경래란을 바라보는 시선」. 『동악어문학』 55, 2010, 5‒37쪽.

16

『순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

17

『한국민족문화대백과』(http://encykorea.aks.ac.kr/).

18

《미주 한국일보》(http://www.koreatimes.com/).

19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20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21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http://www.koreanhistory.or.kr/).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