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과학기술 연구 환경의 문제와 과제 ; 청년 과학기술자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Problems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Environment and Its Tasks: Focused on the cases of young scientists and engineer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8, v.41 no.3, pp.77-109
https://doi.org/10.25024/ksq.41.3.201809.77
최윤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청년 과학기술자들의 연구 환경의 실태와 문제점을 드러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대학의 석사 과정 4학기 이상의 대학원생과 박사후 연구원 총 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구 과제 참여 경험과 연구 환경에 대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기술 연구실의 연구 환경은 연구 프로젝트의 수행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긴 연구 시간에 비해 적은 보상, 과중한 행정업무 부담, 경직된 연구실 문화, 연구 부정행위와 성과 부풀리기 등의 이유로 청년 과학기술자들의 창조적인 연구가 제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가 주도의 하향식 대형 과제 위주에서 상향식, 연구자 중심의 연구 개발 정책 전환, 박사 과정 연구자들의 개인 연구에 대한 확대와 함께 연구실 문화의 변화가 필요하다.

keywords
청년 과학기술자(young scientists and engineers), 연구 환경(research environment), 연구 프로젝트(research project), 연구문화(laboratory culture)

Abstract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reveal the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research environment of young scientists and engineers and subsequently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To better understand and describe their research experiences and conditions in detail, we hav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graduate students and postdoctoral researchers from four universities in Seoul. The interviews show that the research environmen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pecific projects which they are involved in. The results of the study also suggest that creativity of young scientists and engineers is limited due to insufficient rewards for long working hours, excessive administrative burdens, vertical structure of laboratory, research misconduct and exaggeration of research outcomes for various reasons. As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we propose an R&D policy shift from state‒led, top‒down and large projects to researcher‒centered projects of small to medium scale, expansion of bottom‒up research opportunities, research support for doctoral students and change of laboratory culture.

keywords
청년 과학기술자(young scientists and engineers), 연구 환경(research environment), 연구 프로젝트(research project), 연구문화(laboratory culture)


참고문헌

1

교육부, 『2016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교육부, 2017.

2

이인규, 『대학원생 연구 환경에 대한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5.

3

인문학협동조합, 『대학원생 연구 환경 실태 및 제도 개선 방안』. 미래정치센터, 2016.

4

임길환, 『기초연구지원 R&D 사업 평가』. 국회예산정책처, 2016.

5

장하원, 『한국 이공계 대학원생의 상대적 박탈감과 자기회의에 대한 분석』. 과학기술정책 연구원, 2012.

6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자 중심의 환경과 여건 개선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7

한국연구재단, 『2018년도 청년과학자(대학원생, 포스닥 등)의 애로사항 파악을 위한 설문 조사 결과』. 한국연구재단, 2018.

8

김민정, 양지웅, 연규진, 「이공계 여성 대학원생의 진로선택과 대학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권 1호, 2016, 191‒216쪽.

9

김병주, 「BK21 사업 재정지원 정책의 정치학」. 『교육정치학연구』 14집 1호, 2007, 29‒50쪽.

10

김승정, 「인문사회과학 전공 박사과정생의 학문적 정체성 발달에 관한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35권 4호, 2017, 317‒345쪽.

11

김효민, 조희수, 「공대생의 ‘진정’한 즐거움」. 『과학기술학연구』 17권 2호, 2017, 113‒171쪽.

12

박희제, 「일반시민들의 과학기술자 직업 선호도 결정요인을 통해 본 이공계 기피현상의 재조명」. 『한국사회학』 제41집 6호, 2007, 142‒170쪽.

13

이선인, 「연구사업과 대학원생: 과거, 현재, 미래」. 『실천문학』 2013년 11호, 2013, 25‒34쪽.

14

이인규, 『대학원생 연구 환경에 대한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5.

15

이은경, 「이공계 기피 논의를 통해 본 한국 과학기술자 사회의 특성」. 『과학기술학연구』 제6권 2호, 2006, 77‒102쪽.

16

한경희, 「이공계 위기의 재해석과 엔지니어의 자기성찰」. 『한국사회학』 제38집 4호, 2004, 73‒99쪽.

17

허민, 최은혜, 「한국의 대학원생은 어떻게 공부를 지속하는가: 인문학 분야의 연구환경 실태 분석 보고서」. 『대학: 담론과 쟁점』 2017년 제1호(통권 제3호), 2017, 98‒117쪽.

18

홍성민, 「이공계 과학기술인력 고용 현황 분석과 시사점」. 『과학기술정책』 제26권 3호, 2016, 26‒31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