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The Transmission and Restoration Aspects of Yeongnam Samhoehyang Jakbeop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9, v.42 no.4, pp.105-139
https://doi.org/10.25024/ksq.42.4.201912.105
Seo Jeong-mae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first record of Samhoehyang was Cheonji myeongyang Suryukjaeui Beomeumsanbo collections(1722) by Jihwan monk. The history dates back to 1700. Samhoehyang is almost extinct today, but according to the old monks in Yeongnam area, it was vigorous until the 1970s. In this respect, <SamhoehyangJakpeop>, which is currently handed down in Araetnyeok‒Suryukjae, is noteworthy. In 2015, 2017, and 2019, the procedure was largely omitted, and the consciousness was greatly reduced. But in 2019, it was structured and structured as a whole without omission and omission of procedures. However, in order to highlight the three‒way play method passed down in Yeongnam area, it accepted the folk songs and folk songs representing Gyeongsang‒do. Since the Yeongnam Samhoe‒Hyangjak method is handed down in Masan area, it will be a good way to restore the local folk songs and folklore as much as possible

keywords
삼회양(Samhoehyang), 삼회양작법(Samhoehyang‒Jakpeop), 영남 삼회양(Yeongnam Samhoehyang), 아랫녘수륙재(Araetnyeok‒Suryukjae), 불모산영산재(Bulmosan‒Youngsanjae), Samhoehyang, Samhoehyang‒Jakpeop, Yeongnam Samhoehyang, Araetnyeok‒Suryukjae, Bulmosan‒Youngsanjae


Reference

1

국립무형유산원(김세종 글), 『국가무형문화재 제127호 아랫녘 수륙재』. 민속원, 2017.

2

노명열(혜일명조), 『수륙재』. 도서출판 일성, 2013.

3

박세민 편,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의 해제 내용, 『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第3輯.

4

무등, 『한국불교전통 범음범패어산의 진맥을 찾아서』. 출판사 없음, 2013.

5

최정여, 「사원잡기 ‘삼회향’(속칭 땅설법)」. 『도남 조윤제 박사 고희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76.

6

최헌, 『불모산 영산재(간략해설)』. 불모산영산재보존회, 2008.

7

『水陸齋梵音集』. 불모산영산재 보존회, 2009.

8

『豫修齋魚山集』. 경상남도지정 무형문화재 제22호 불모산영산재 보존회, 2011.

9

『水陸無遮儀禮集』. 불모산영산재 보존회, 2013.

10

권탄준, 「화엄경(華嚴經) 「십회향품(十廻向品)」의 三種廻向」. 『보조사상』 제27집, 2007, 451‒486쪽.

11

김창숙(효탄), 「땅설법 논의 활성화를 위한 시론」. 『정토학연구』 제31집, 2019, 173‒203쪽.

12

김창숙, 「불교적 연희의 개최와 그 양상: 연등회・팔관회를 중심으로 삼회향놀이의 연원을 찾아서」. 『한국불교학』 제38집, 한국불교학회, 2004, 149‒179쪽.

13

서정매, 「밀양오북춤과 광양북춤의 음악적 비교연구」. 『남도민속연구』 제13권, 2006, 199‒224쪽.

14

김창숙, 「부산지역 범패승 계보 연구」. 『한국음악연구』 제51집, 2012, 113‒143쪽.

15

김창숙, 「영제 <삼귀의> 절차의 시대적 변천 연구」. 『한국음악사학보』 제49집, 2012, 165‒212쪽.

16

김창숙, 『영제범패 영산작법 연구: 부산어장 용운과 마산어장 석봉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7

김창숙, 「영남지역에 전승되는 생전예수재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 제30집, 2017, 243‒278쪽.

18

이보형, 「삼회향(三回向 땅설법)의 공연적 특성」. 『한국음악문화연구』 제3집, 2011, 29‒43쪽.

19

허용호, 「아랫녘수륙재에서 주목해야 할 몇 가지」. 『실천민속학연구』 제24호, 2014, 39‒61쪽.

20

최헌, 「영남지역의 삼회향」. 『한국음악문화연구』 제12집, 2018, 7‒21쪽.

21

이성운, 「이성운 박사의 불교의례의 미학 48. 봉송의 서약 <끝>」. 《법보신문》, 2014년 2월 3일자.

22

심효섭, 「불교의식, 과거 속으로 4. 삼회향놀이」. 《금강신문》, 2016년 5월 18일자.

23

《불교세계》 2월호. 1994.

24

2008년 5월 31일‒6월 1일, 마산 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 경상남도 무형문화재제22호 <불모산영산재> 팜플렛.

25

2008년 8월 14일‒8월 15일, 마산 교방동 무학산 백운사, <아랫녘 수륙대재>의팜플렛.

26

2011년 10월 21일 3・15 아트센터 소극장,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22호 <불모산영산재> 정기공연 팜플렛(제목: 도민안녕과 호국영령 위령 영산대재).

27

2012년 10월, 『天地鳴陽水陸大齋』 아랫녘수륙재 공연 팜플렛, 2012, 10.

28

2016년 10월 7‒8일 무학산 서원곡 백운사 수륙도량에서 <국운융창 남북통일 기원 및 순국선열 호국영령을 위한 2016 수륙무차평등대재>. 주최/국가무형문화재 제127호 아랫녘수륙재보존회, 주관/(사)영남불교의식음악연구회, 무학산 백운사, 동북아음악연구소, 한국음악문화학회, 후원/문화재청・국립무형유산원・한국문화재재단・창원시.

29

2017년 7월 10일 <2017 불모산 영산재 공개행사 국운융창 남북통일 기원 및순국선열 호국영령을 위한 생전예수시왕 영산대재>. 주최/도지정문화재 제41호 불모산영산재보존회, 주관/국가무형문화재 제127호 아랫녘수륙재보존회, 후원/경상남도・창원시・제2금강산 금강사.

30

부산 만산스님의 인터뷰, 2012년 2월 5일, 2월 22일.

31

부산 원광사 도진스님의 인터뷰, 2012년 1월 15일.

32

아랫녘수륙재 어장 석봉스님과의 인터뷰, 2019년 7월 8일.

3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 0065591).

34

아랫녘수륙재 보급본 영상(https://search.daum.net/search?w=tot&DA=YZR&tnil searchbox=btn&sug=&sugo=&q=%EC%95%84%EB%9E%AB%EB%85%98%EC%88%98%EB%A5%99%EC%9E%AC).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