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The Reciprocity Value and Tradition of the Kookdang Village Compact in 17thCenturyChoson,Korea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9, v.42 no.4, pp.39-75
https://doi.org/10.25024/ksq.42.4.201912.39
Jung Su-Hwa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은 현대 농촌개발의 동력을 토착농촌에서 발견하기 위한 모색의 일환으로 조선 17세기 동계를 호혜(Reciprocity)의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 사례는 경상도 경주 국당리에 전하고 있는 동계문서이다. 국당리는 임진왜란 직후 특정 인물 주도로 ‘상동계(上洞契)’가 조직되고 경조사의 부조를 행하여 400년 동안 여섯 마을의 여섯 성씨가 동계를 계승하고 있다는 ‘전통’을 ‘발견’하고 계승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통에 대해 17세기 동계 문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전통의 실체를 밝히고, 동계 구성원 사이의 호혜의 원리를 검토했다. 국당리 동계는 1627년경 국당리를 비롯한 4-6개 마을에 거주하던 8개 성씨의 중심인물들에 의해 설계(設契) 되었으며, 17세기 동안 12개 성씨 118명이 계원으로 출입하였다. 동계의 규약은 국당리 주변 마을의 사례를 참고했을 경우 향약의 원리를 원용하고 있었으며, 호혜를 위한 제도(Institutions)로 동약(洞約)을 운영했다. 그리고 동계의 호혜 내용은 현전하는 자료 중 상사(喪事)의 부물(賻物)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계원의 친족 범위를 대상으로 호혜를 위해 부조하는 규약이었다. 17세기 경주 국당리 동계는 다수 마을의 다수의 성씨에 의해 창설되어 호혜의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부조라는 호혜를 실천했다. 이러한 동계의 실체에 대해 18‒19세기 동안 상동계 전통으로 확장되어 오늘에 계승하고 있다. 조선후기 동계의 전형을 보여주는 국당리 사례는 현대 농촌개발에 있어 호혜가치 작동을 위한 마을 공동체의 결속을 가능하게 했던 토착적 배경의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Gyeongju, Village Compact, Kye, Kookdang village, Reciprocity, Development, Rural Development, 경주, 동계, 국당리, 호혜, 개발, 농촌개발


Reference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M.F. No. 35-9932(경주 국당리 상동계 고문서).

2

한글학회, 『한국 지명 총람』(경북편)Ⅳ. 1979.

3

『府尹先生案』,

4

『東京雜記』,

5

『新增東國輿地勝覽』,

6

『輿地圖書』,

7

『戶口總數』.

8

朴毅長, 『觀感錄』.

9

柳馨遠, 『磻溪隨錄』.

10

鄭克後, 『雙峯先生文集』.

11

孫起陽, 『鰲漢先生文集』.

12

趙克善, 『冶谷日錄』.

13

趙克善, 『忍齋日錄』.

14

『慶州崔氏家譜』(1948),

15

『慶州崔氏從仕郎公派譜』,

16

『安東權氏佐尹公派 判官公世系譜』,

17

『迎日鄭氏貞肅公派譜』(己亥譜), 「永川李氏上將軍派譜』.

18

慶尙北道・嶺南大學校, 『慶北鄕校誌』. 三光出版社, 1991.

19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慶北鄕校資料集成』(I). 嶺南大學校出版部, 1992.

20

李樹健編著, 『慶北地方古文書集成』. 嶺南大學校出版部, 1981.

21

韓國國學振興院, 『慶州李氏 楊月門中 古文書資料集成』. 2009.

22

韓國精神文化硏究院, 『古文書集成』 32-慶州 慶州孫氏篇. 1997.

23

더글라스 노스 저, 이병기 역, 『제도・제도변화・경제적 성과』. 한국경제연구원, 1996.

24

로버트 퍼트넘 저, 안청시 외 역, 『사회적 자본과 민주주의』. 박영사, 2000.

25

박종천, 「상생의 마을 공동체-동계와 향약」. 『양동마을과 공동체의 미래』,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115‒151쪽.

26

엘리너 오스트롬 저, 윤홍근・안도경 역, 『공유의 비극을 넘어』. RH Korea, 2010(Elinor Ostrom, Governing the Commons-The Evolution of Institution for Collective Action . Cambricge, 1990).

27

李樹健, 「良洞의 歷史的 考察」. 『良佐洞硏究』, 嶺南大學校出版部, 1990, 16‒98쪽.

28

李樹煥, 「書院의 歷史와 그 所藏資料」. 『玉山書院誌』, 嶺南大學校出版部, 1993, 3‒101쪽.

29

정수환, 『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 景仁文化社, 2013.

30

정진영,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한길사, 1998.

31

제임스 스콧 저, 김춘동 역, 『농민의 도덕경제』. 아카넷, 2004(J.C. Scott, The Moral Economy of the Peasant , Yale Univ Press, 1976).

32

Hobsbawm, Eric. “Mass-Producing Traditions:Europe, 1870-1914”, in Hobsbawm, Eric. and Ranger, Terence. The Invention of Tradition (Cambridge UK: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pp. 263‒308.

33

박경하, 「壬亂直後의 鄕約에 대한 硏究」. 『中央史論』 5, 1987, 93‒115쪽.

34

이광우, 「조선시대 정부의 향약 시행 논의와 그 성격」. 『東亞人文學』 39, 2017, 137‒178쪽.

35

이병훈, 『조선후기 경주 옥산서원의 운영과 역할』,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36

李樹健・李樹煥・鄭震英・金容晩 ,「朝鮮後期 慶州地域 在地士族의 鄕村支配」. 『民族文化論叢』 15, 1994, 59‒150쪽.

37

장동표, 「17세기 초반 밀양 재지사족 孫起陽의 향촌활동」. 『한국민족문화』 34, 2009, 171‒201쪽.

38

장동표, 「조선시기와 명청대의 鄕約 시행과 그 성격 비교 연구」. 『한국민족문화』58, 2016, 237‒263쪽.

39

鄭求福, 「磻溪 柳馨遠의 事會改革思想」. 『歷史學報』 45, 1970, 1‒60쪽.

40

鄭震英, 「16世紀 安東地方의 洞契」. 『嶠南史學』 창간호, 1985, 217‒237쪽.

41

한미라, 「조선후기 가좌동 禁松契의 운영과 기능: 경기 양성현 ‘禁松契座目’을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35, 2011, 141‒173쪽.

42

Suhwan, JUNG, “Post-Development Alternative Ideas Regarding Saemaul Rural Development as an International Development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Cultural Studies 60, 2015, pp. 247‒275.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