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Order and Disorder Inherent in the Original Version of the Fisherman’s Song Serie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9, v.42 no.4, pp.7-37
https://doi.org/10.25024/ksq.42.4.201912.7
Kim, Taehwa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어부가」 원본을 자세히 살피면 농암의 지적과 다르게 말이 걸맞지 않거나 겹치는 것이 전혀 없는데도 불구하고 수정본에 뽑히지 못하고 아예 삭제된 장구가 흔히 보인다. 그렇게 삭제된 「어부가」 원본의 여러 장구에 있어서 특히 제6장과 제7장 및 제11장의 경우는 내세운 이유와 삭제의 실상이 전혀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사유를 새롭게 탐구해 보아야 마땅할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어부가」 원본의 질서와 무질서를 문제로 삼았다. 우리가 먼저 주목할 바는 고악보로 전하는 「어부가」와 현행본 「어부사」가 모두 환두에 속하는 바로서 예컨대 [ABCBDB] 형태의 선율과 [EBCBDB] 형태의 선율이 2장 1연의 구조로 1조의 악곡을 완결하는 쌍조라는 점이다. 쌍조는 전결과 후결의 차별이 따른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주목할 바는 「어부가」 악곡이 본디 일정한 길이의 악구를 악절의 단위에서 반복적으로 환입하는 2구 1절의 구조라는 점이다. 환입은 전구와 후구의 차별이 따른다. 농암의 수정본 제9장은 삼첩의 조합에 있어서 종결의 기능을 맡아야 하는데, 원본 제9장은 본디 쌍조의 전결로 쓰이던 것이라 그에 걸맞지 않아서 삭제되었다. 원본 제11장은 환입의 전구로 놓이는 중여음 가사의 적극적 기능을 간과하는 데서 비롯된 판단의 착오로 삭제되었다. 원본 제6장과 제7장은 추구하는 바의 풍류가 달라서 삭제되었다. 여기서 제7장을 완전히 삭제한 이유는 작품의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감흥의 결여에 있었다.

keywords
fisherman’s song series, original version, modified version, order, disorder, 어부가, 원본, 수정본, 질서, 무질서


Reference

1

李賢輔, 『聾巖先生文集』. 『韓國文集叢刊』 제17집, 民族文化推進會, 1988.

2

李滉, 『退溪先生文集』. 『韓國文集叢刊』 제30집, 民族文化推進會, 1988.

3

法泉, 『南明泉和尙頌證道歌』.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일산貴1784‒5).

4

尹善道, 『孤山遺稿』. 『韓國文集叢刊』 제91집, 民族文化推進會, 1988.

5

鄭顯奭, 『敎坊歌謠』. 『樂學軌範・樂章歌詞・敎坊歌謠 合本』, 亞細亞文化社, 1975.

6

崔溥, 『錦南先生集』. 『韓國文集叢刊』 제16집, 民族文化推進會, 1988.

7

『峨洋琴譜』. 『韓國音樂學資料叢書』 16집, 국립국악원, 1984.

8

『樂章歌詞』. 『樂學軌範・樂章歌詞・敎坊歌謠 合本』, 亞細亞文化社, 1975.

9

杜荀鶴, 『唐風集』. 『文淵閣四庫全書』 第1083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5.

10

柳宗元, 『柳河東集』. 『文淵閣四庫全書』 第1076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5.

11

林逋, 『林和靖集』. 『文淵閣四庫全書』 第1086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5.

12

房玄齡 等, 『晉書』. 『文淵閣四庫全書』 第255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4.

13

蘇軾, 『東坡全集』. 『文淵閣四庫全書』 第1108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5.

14

周密, 『武林舊事』. 『文淵閣四庫全書』 第348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15

李在秀, 『尹孤山 硏究』. 學友社, 1955.

16

張思勳, 『河圭一・林基俊 傳唱 十二歌詞』. 서울대학교출판부, 1980.

17

趙潤濟, 『朝鮮詩歌史綱』. 東光堂書店, 1937.

18

玄容駿・金榮敦, 『韓國口碑文學大系』 卷9‒3.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3.

19

施議對, 『詞與音樂關系硏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9.

20

林尹・高明 主編, 『中文大辭典』 卷4. 臺灣: 中國文化大學出版部, 1993.

21

姜晳中, 「漁父歌의 集句 溯源 硏究」. 『국문학연구』 2집, 1998, 203‒232쪽.

22

金昌坤, 『12가사의 악곡 형성과 장르적 특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3

박해남, 「樂章歌詞本 漁父歌 再考」. 『반교어문논집』 28집, 2010, 123‒150쪽.

24

宋靜淑, 『漁父歌系 詩歌 硏究』.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25

呂基鉉, 『漁父歌의 表象性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26

呂基鉉, 「原漁父歌의 集句性」. 『高麗歌謠 硏究의 現況과 展望』, 集文堂, 1996, 371‒415쪽.

27

尹榮玉, 「漁父詞 硏究」. 『민족문화논총』 2・3집,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35‒72쪽.

28

李佑成, 「高麗末・李朝初의 漁父歌」. 『成大論文集』 9집, 성균관대학교, 1964, 5‒28쪽.

29

李亨大, 「악장가사 소재 어부가의 생성과정과 작품세계」. 『고전문학연구』 12집, 1997, 35‒57쪽.

30

洪賢守, 「漁父詞에 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