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Jeju Island Reflected in the Maps and Landscap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0, v.43 no.3, pp.65-115
https://doi.org/10.25024/ksq.43.3.202009.65
Eunjoo Jeong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본문에서는 제주 지도와 기록화 및 실경도를 문헌 사료와 비교 검토하여 역사적, 문화사적 관점에서 조선후기 제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려 하였다. 먼저 조선시대 제주도 지도와 그 정보, 실경도를 분석하여 시기별 특성과 사적의 변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당시 제주의 시대상을 파악하였다. 관찬 제주지도는 조선시대 제주에 대한 통치와 관방, 경제적 측면의 인문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제주에 대한 당시 인식을 엿볼 수 있고, 제주목사가 주관하여 제작한 기록화는 제주의 관아 터와 주요 명승 및 사적을 복원하는데 유용한 자료이다. 1702년 이전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목판본 「탐라도」를 비롯하여 1706년과 1709년에 각각 제작된 목판본 「탐라지도」는 제주지도의 보급과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탐라십경도』 「탐라도총」과 『탐라순력도』의 「한라장촉」과 같이 기록화 속에 현존하는 제주지도와 18세기 중반 『해동지도』의 「제주삼현도」와 같이 군현 지도 속의 제주지도는 지형과 하천 수로의 흐름 등을 비교하여 목판본 「탐라도」의 계보와 이후 제작된 1709년 「탐라지도」의 계보로 구분할 수 있다. 그밖에 특수 지도인 『목장지도』는 17세기 제주목장의 분포와 정황을 파악할 수 있는 주요 근거가 된다. 제주도의 실경을 그린 작품 중 대표적인 것은 1694년 제주목사 이익태(李益泰, 1668‒1704)가 제주 명승 10곳을 정하여 제작한 『탐라십경도』의 모사본 3점이 전하며, 1702년 제주 일대의 순력을 마치고 1703년 제주목사 이형상(李衡祥, 1653‒1733)이 제작한 『탐라순력도』가 현존한다. 『탐라십경도』는 조천관, 별방소, 성산, 서귀포, 백록담, 영곡, 천지연, 산방, 명월소, 취병담 등 제주의 절경을 그린 것으로, 17세기 말 산수 유람과 명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주목사 이익태가 순력의 결과로 십경을 직접 선택한 점에서 주목할 수 있다. 이후 부임한 이형상은 명승에 그치지 않고 제주목의 주요 행사나 가을 순력 등 제주목사의 공적인 활동과 제주의 특산물, 풍속 등을 묘사하여 기록 이상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문은 지도, 기록화 및 실경도 등과 같은 시각적 사료를 활용함으로써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조선시대 제주의 풍속과 문화를 연구하는데 그 외연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map of Jeju Island, ranch, landscape painting, painting of scenic spots, 제주지도, 목장, 실경도, 명승도


Reference

1

『經國大典』

2

『大典會通』

3

『鳴巖集』,

4

『續大典』

5

『新增東國輿地勝覽』

6

『凝窩集』

7

『日省錄』

8

『濟州邑誌』

9

『朝鮮王朝實錄』

10

『退憂堂集』

11

『弘齋全書』

12

국립제주박물관 편, 『이익태 牧使가 남긴 기록』. 국립제주박물관, 2005.

13

국립제주박물관 편, 『제주의 역사와 문화』. 통천문화사, 2001.

14

남도영, 『濟州島 牧場史』.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2001.

15

이원조 저, 백규상 역주, 『耽羅錄』. 제주문화원, 2016.

16

이익태, 『지영록』. 제주문화원, 2010.

17

이찬 편, 『한국의 고지도』. 범우사, 1997.

18

이형상, 『耽羅巡歷圖·南宦博物』(영인본).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79.

19

이형상, 『탐라순력도』(영인본). 제주시청, 1994.

20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편, 『제주의 옛지도』.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1996.

21

제주시, 탐라순력도연구회 편, 『탐라순력도연구논총』. 2000.

22

김경옥, 「제주목장의 설치와 운영: 耽羅誌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4‒1, 2001, 43‒81쪽.

23

김기혁, 「17‒18세기 제주도 고지도의 하천 묘사에 나타난 지도 계열 연구」. 『문화역사지리』 30‒2, 2018, 46‒74쪽.

24

김오순, 「18‒19세기 제주 고지도의 연구」. 『교육과학연구』 8‒2, 2006, 133‒150쪽.

25

김태호, 「옛 그림 속 제주의 지형경관 그리고 지형인식」. 『대한지리학회지』 52‒2, 2017, 149‒166쪽.

26

김현지, 「17세기 조선의 실경산수화 연구」. 『미술사연구』 18, 2004, 40‒41쪽.

27

노재현 외, 「탐라십경과 탐라순력도를 통해 본 제주 승경의 전통」. 『한국조경학회지』 37‒3, 2009, 91‒104쪽.

28

박찬식, 「17・8세기 제주도 牧子의 실태」. 『제주문화연구』 玄旨金榮墩博士華甲記念, 1993, 461‒478쪽.

29

송성대・강만익, 「조선시대 제주도 관영목장의 범위와 경관」. 『문화역사지리』 13‒2, 2001, 143‒159쪽.

30

심승구, 「조선시대 둑제의 변천과 의례」. 『공연문화연구』 28, 2014, 155‒201쪽.

31

양보경, 「제주 고지도의 유형과 특징」. 『문화역사지리』 13‒2, 2001, 81‒99쪽.

32

오상학, 「조선시대 제주도 지도의 시계열적 고찰」. 『탐라문화』 24, 2020, 1‒11쪽.

33

오상학, 「조선시대 제주도 지도의 현황과 유형별 특성」. 『제주도연구』 53, 2020, 187‒223쪽.

34

오상학, 「목판본 「탐라지도」의 내용과 지도학적 특성」. 『한국지도학회지』 16‒2, 2016, 15‒16쪽.

35

오창명, 「『탐라십경도』의 제주 지명」. 『지명학』 26, 2017, 147‒181쪽.

36

원창애, 「조선시대 제주도 馬政에 대한 소고」. 『제주도사연구』 4, 1995, 45‒55쪽.

37

윤민용, 「18세기 《탐라순력도》의 제작경위와 화풍」. 『한국고지도연구』 3‒1, 2011, 43‒62쪽.

38

신효승, 「조선후기 제주도의 관방체계」. 『역사와 실학』 59, 2016, 103‒133쪽.

39

이보라, 「17세기 말 탐라십경도의 성립과 《탐라순력도첩》에 미친 영향」. 『온지논총』 17, 2007, 69‒90쪽.

40

이상태, 「제주도 고지도 연구」. 『아시아문화연구』 1, 1996, 205‒232쪽.

41

이찬, 「十八世紀 耽羅地圖考」. 『지리학과 지리교육』 9, 1979, 1‒12쪽.

42

정은주, 「조선후기 繪畵式 郡縣地圖 연구」. 『문화역사지리』 23‒3, 2011, 119‒140쪽.

43

정은주, 「고지도에 반영된 조선후기 연안 및 도서지역에 대한 인식」. 『한국고지도연구』 3‒2, 2011, 55‒72쪽.

44

정은주, 「17세기 《목장지도》의 제작경위와 화풍」. 『한국고지도연구』 1‒2, 2009, 49‒77쪽.

  • Downloaded
  • Viewed
  • 0KCI Citations
  • 0WOS Citations

Recommanded Articles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