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The Reciprocity and Cooperative Values of Village Compact in the Late Choson Dynasty: A Case Study of an Archery Society and Village Kye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0, v.43 no.4, pp.75-115
https://doi.org/10.25024/ksq.43.4.202012.75
Jung Su-Hwa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연구는 공동체의 규약과 제도의 변화를 인간 주도로 분석하는 신제도주의 이론과 공유자산을 호혜와 협동의 관점에서 분석한 성과를 도입하여 조선시대 조선 농촌공동체의 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이러한 접근은 지역 엘리트 사족이 성리학적 이념을 원용하여 이른바 지역사회 주도권을 확보하여 향촌자치를 실현했다는 선행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계승한다. 분석대상 자료는 경주 외동읍 방어리에 존재했던 17세기 사계와 18세기 동계이다. 무부(武夫)를 중심으로 조직했던 사계와 사족(士族)이 주도한 동계의 역학관계와 호혜를 지향하며 실현했던 협동의 실제를 추적했다. 사계는 습사를 통한 무과 응시 목표를 위해 기물과 계금이라는 공유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규약을 마련하고 개정을 거듭했다. 17세기 후반 사계와 동계가 공존하다가 17세기 말 사계와 동계를 함께 주도하던 경주이씨에 의해 두 계의 합계(合契)가 실현되면서 동계로 계승되었다. 그리고 18세기 이후에도 상부상조라는 성리학적 가치를 향해 공유자산을 운영하는 협동을 실현했다. 연구결과는 방어리 사계와 동계를 대상으로 신분적 역학관계에 따른 대립이 아닌 협동에 의한 합계가 실현된 사례를 제시했다. 마을 계 운영의 변화 요소도 이러한 신분적 역학관계가 아닌 기근이라는 요소가 작용하고 있음도 논증했다. 그리고 과거(科擧)와 상조(相助)라는 호혜가치를 위해 공유자산을 유지 및 지속하고자 했던 협동의 실제를 발견했다.

keywords
경주, 동계, 사계, 방어리, 호혜, 협동, Kyeongju, Village Compact, Village Kye, Archery Fraternity/Archery Society, Bangouh Village, Reciprocity, Cooperation


Reference

1

『府尹先生案』

2

『慶州邑誌』

3

慶州李氏判尹派譜所, 『慶州李氏判尹公派譜』. 回想社, 2000.

4

慶州崔氏白沙公派世譜刊所, 『慶州崔氏白沙公派世譜(全)』. 1993.

5

慶州崔氏司成公派門中編輯, 『慶州(月城)崔氏司成公派譜』. 韓國族譜新聞社, 1998.

6

南九明, 『寓菴先生文集』.

7

趙克善, 『忍齋日錄』・『冶谷日錄』.

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M.F. No.9931‒2(慶州市 外東邑 防禦里 上同契文書).

9

더글라스 C.노스 저, 이병기 역, 『제도・제도변화・경제적 성과』. 한국경제연구원, 1996.

10

엘리너 오스트롬 저, 윤홍근・안도경 역, 『공유의 비극을 넘어』. RH Korea, 2010[Elinor Ostrom,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 for Collective Action .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1990].

11

越智唯七編纂, 『新舊對照 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中央市場, 1917.

12

정해은, 『조선의 무관과 양반사회』. 역사산책, 2019.

13

제임스 스콧 저, 김춘동 역, 『농민의 도덕경제』. 아카넷, 2004[J.C. Scott, The Moral Economy of the Peasant .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 Press, 1976].

14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7. 1979.

15

한도현 외, 『양동마을과 공동체의 미래』.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16

김경옥, 「18세기 후반 영암 閱武亭 社布契의 조직과 향촌 사회」. 『고문서연구』 35, 2009, 1‒35쪽.

17

김명자, 「18‒19세기 永川 鄭世雅 후손들의 請諡와 門中 활동」. 『嶺南學』 18, 2010, 293‒325쪽.

18

金鶴洙, 「古文書를 통해 본 蘇亭 慶州李氏家의 家系와 社會經濟的 기반」. 『古文書集成慶州 蘇亭 慶州李氏篇』 62, 2002, 1‒31쪽.

19

나선하, 「조선 중・후기 靈光 吏胥집단의 契 운영과 그 의미: 射契와 老契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6‒1, 2003, 1‒15쪽.

20

나영훈, 「조선후기 觀象監 관원의 친족 네트워크와 결속」. 『한국학』 42‒1, 2019, 45‒86쪽.

21

박종천, 「공감과 개방의 문화공동체, 석천마을」. 『석천마을과 공동체의 미래』,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7, 96‒125쪽.

22

이광우, 「조선후기 慶尙道 三嘉縣 玉溪亭契의 재구성」. 『南溟學硏究』 52, 2016, 215‒257쪽.

23

李炳勳, 『朝鮮後期 慶州 玉山書院의 運營과 役割』.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4

장준호, 「임진왜란시 朴毅長의 慶尙左道 방위활동」. 『軍史』 76, 2010, 61‒88쪽.

25

李樹煥, 「慶州 龍山書院 재지사족의 향촌지배」. 『龍山書院』, 집문당, 2005, 13‒55쪽.

26

정구복, 「古文書用語 풀이: 齊馬首와 損徒」. 『古文書硏究』 5, 1994, 333‒339쪽.

27

정수환, 「17세기 경주 국당리 동계의 전통과 호혜 원리」. 『한국학』 47‒4, 2019a, 39‒75쪽.

28

정수환, 「17세기 淸州 莘巷書院과 宋象賢 추모의 정치적 함의」. 『韓國書院學報』 9, 2019b, 57‒86쪽.

29

한미라, 「조선후기 가좌동 禁松契 운영과 기능」, 『역사민속학』 35, 2011, 141‒173쪽.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