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Diplomatic Activities of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USA from 1949 to 1950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2, v.45 no.4, pp.177-220
https://doi.org/10.25024/ksq.45.4.202212.177
Junseok HONG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논문은 주미한국대사관의 초기 역사를 검토한다. 연구의 시기는 대사관 개설 작업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1949년 1월부터 1950년 6·25전쟁 발발 직전까지다. 1949년 3월 25일에 개설된 주미한국대사관은 대한민국 최초의 ‘대사관’으로 한미관계를 이어주는 교량 역할을 하고 있다. 주미한국대사관 설치 당시 한국과 수교를 맺은 나라들이 적었고 오늘날과 같이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주미한국대사관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했다. 게다가 워싱턴 D.C.에는 미국의 각 행정부처와 의회, 각국의 재외공관들이 소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미한국대사관은 한국이 미국은 물론, 세계와 통할 수 있는 항구와 같은 역할을 하였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주미한국대사관의 역사에 대한 연구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주미한국대사관은 한국정부가 미군정으로부터 행정권을 인수하고 국제연합과 미국의 한국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진 후에 설치될 수 있었다. 주미한국대사관의 외교관들은 외교에 대한 전문적인 경험과 인력, 예산이 부족한 상태에서 대사관 외교의 기초를 닦는 일부터 해야 했다. 당시 주미한국대사관에는 장면, 김세선, 한표욱과 같이 미국에서 교육을 받은 외교관들이 부임했으며 미국인 고문들이 대사관 외교를 조력하였다. 주미외교위원부 혹은 그 이전부터 워싱턴 D.C.에서 활동하면서 비교적 현지 사정을 알고 전문성을 갖춘 인사들이 참여하여 부족한 외교역량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주미한국대사관은 신생독립국으로 출발한 한국의 생존문제와 직결되는 경제원조, 군사원조 및 안보조약 체결, 국제관계 확대에 관한 과제들을 수행하였다. 비록 미국의 영향력이 우위에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기대했던 만큼의 원조를 이끌어내지 못했으며 전쟁을 예방한다는 본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등 한계와 과제를 남기기도 했다. 그럼에도 당시 주미한국대사관은 미국에 한국이 처해있는 사정을 알리고 원조를 얻기 위해서 노력했으며, 비교적 단기간에 여러 국가들의 개별 승인을 이끌어내는데 기여하고 FAO, UNESCO와 같은 국제기구에 가입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물론 이와 같은 외교성과를 오롯이 주미한국대사관의 외교활동으로 성취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불리했던 국내외 환경에도 불구하고 국가생존을 위한 치열한 외교를 수행했던 당시 주미한국대사관의 노력은 기억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USA, Syngman Rhee, Chang Myon, Kim Sae Sun, Han Pyo Wook, Choi Woonsang, John W. Staggers, Jay Jerome Williams, ROK-USA Relations, ROK Diplomatic History, 주미한국대사관, 이승만, 장면, 김세선, 한표욱, 최운상, 존 W. 스태거스, 제이 제롬 윌리엄스, 한미관계, 한국외교사


Reference

1

《京鄕新聞》,

2

《工業新聞》,

3

《大韓日報》,

4

《東光新聞》,

5

《東亞日報》,

6

《연합뉴스》,

7

《聯合新聞》,

8

《外務月報》,

9

《商工日報》,

10

《新韓民報》,

11

《自由新聞》,

12

《朝鮮日報》,

13

《中央日報》,

14

《한국일보》,

15

《漢城日報》,

16

The Sunday Star.

17

國史編纂委員會(편), 『大韓民國史資料集 28: 李承晩關係書翰資料集 1(1944~1948)』. 과천: 國史編纂委員會, 1996a.

18

國史編纂委員會(편), 『大韓民國史資料集 29: 李承晩關係書翰資料集 2(1949~1950)』. 과천: 國史編纂委員會, 1996b.

19

國史編纂委員會(편), 『大韓民國史資料集 37 : 李承晩關係書翰資料集 10(1961~1965・ 기타)』. 과천: 國史編纂委員會, 1997.

20

國史編纂委員會(편), 『資料大韓民國史 제10권: 1949年 1~2月』. 과천: 國史編纂委員會, 1999.

21

國史編纂委員會(편), 『資料大韓民國史 제11권: 1949年 3~4月』. 과천: 國史編纂委員會, 1999.

22

國史編纂委員會(편), 『資料大韓民國史 제12권: 1949年 5~6月』. 과천: 國史編纂委員會, 1999

23

國史編纂委員會(편),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9: 주미외교위원부Ⅰ』.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07.

24

연세대학교 이승만연구원 소장문서.

25

태수경・허동현(편), 『장면 시대를 기록하다』. 서울: 샘터사, 2014.

26

허동현・태수경(편), 『장면, 수첩에 세상을 담다Ⅱ(1949-1951): 6・25전쟁, 호국의 기억』. 파주: 경인문화사, 2019.

27

황헌친 구술, 나종남・김은비 면담, 2011년 2월 25일~4월 1일, 전쟁기념관 창군동우회 사무실,『한국군 초기 역사를 듣다: 군사영어학교 출신 예비역 장성의 구술』.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12.

28

Truman Library 소장문서.

29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Yearbook of the United Nations, 1947~48 . New York: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United Nations, 1949.

30

U.S. Department of State, Department of State Bulletin, Vol. ⅩⅩ, No. 497, January 9, 1949. Washington, D.C.: Bureau of Public Affairs, 1949.

31

U.S. Department of Stat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이하 FRUS로 약함], 1947. The Far East, Volume VI,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이하 U.S.G.P.O.로 약함], 1972.

32

U.S. Department of State, FRUS, 1949. The Far East and Australia, Volume Ⅶ, Part 2, Washington, D.C.: U.S.G.P.O., 1976.

33

U.S. Department of State, FRUS, 1950. Korea, Volume VII , Washington, D.C.: U.S.G.P.O., 1976.

34

國家報勳處(편), 『獨立有功者 功勳錄: 2016年度 褒賞者』 第23卷. 세종: 국가보훈처, 2017.

35

김도민, 「주한미대사관을 통해본 초기 한미 외교관계(1948~1950)」. 정용욱(편), 『해방의 공간, 점령의 시간』, 서울: 푸른역사, 2018.

36

김명섭, 『전쟁과 평화: 6.25전쟁과 정전체제의 탄생』. 서울: 서강대학교출판부,2016[2015].

37

도널드 스턴 맥도널드(저), 한국역사연구회 1950년대반(역), 『한미관계 20년사(1945~1965년): 해방에서 자립까지』. 서울: 도서출판 한울, 2001.

38

朴實, 『韓國外交秘史』. 서울: 麒麟苑, 1980.

39

박태균, 『우방과 제국, 한미관계의 두 신화』. 파주: 창비, 2014.

40

이덕희, 「이승만의 종교활동과 교육활동」. 오영섭・홍선표 외, 『이승만과 하와이 한인사회』.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2.

41

外務部, 『外務行政의 十年』. 서울: 外務部, 1959.

42

운석 기념회(편),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 張勉 博士 回顧錄』. 서울: 가톨릭출판사, 1999[1967].

43

이완범, 「이승만 대통령의 한미상호방위조약 추진배경과 형성과정」. 김영호 외, 『이승만과 6・25전쟁』.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44

李元淳, 『世紀를 넘어서: 海史 李元淳 自傳』. 서울: 新太陽社, 1989.

45

李亨根, 『軍番1번의 외길 人生: 李亨根 回顧錄』. 서울: 中央日報社, 1994.

46

李昊宰, 『韓國外交政策의 理想과 現實: 李承晚外交와 美國政策의 反省』. 서울: 法文社, 2000[1969].

47

林炳稷, 『臨政에서 印度까지: 林炳稷 外交回顧錄』. 서울: 女苑社, 1966.

48

정병준, 『우남 이승만 연구』. 서울 역사비평사, 2005.

49

趙鐘武, 『아메리카 대륙의 韓人 風雲兒들 (上)』. 서울: 朝鮮日報社, 1987.

50

차상철, 『해방전후 미국의 한반도정책』. 서울: 지식산업사, 1991.

51

최병현, 『강변에 앉아 울었노라: 뉴욕한인교회70년사』. 서울: 깊은샘, 1992.

52

최정림, 『외교관의 아내, 그 특별한 행복』. 서울: 여성신문사, 1998.

53

韓豹頊, 『韓美外交요람기』. 서울: 中央日報社, 1984.

54

韓豹頊, 『이승만과 한미외교』. 서울: 중앙일보사, 1996.

55

허동현, 『장면: 건국・외교・민주의 선구자』. 칠곡: 분도출판사, 2001.

56

홍은혜(편), 『손원일 제독 회고록: 우리들은 이 바다 위해』. 서울: 가인기획, 1990.

57

Fisher, J. Earnest, PIONEERS of MODERN KOREA. Seoul: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1977.

58

Kim, Myongsob, “Declined Invitation by Empire: The Aborted Pacific Pact and the Unsolved Issue of Regional Governance”. Kim Dong-Sung, Kim KiJung and Park Hahnkyu(eds.), Fifty Years after the Korean War: From Cold War Confrontation to Peaceful Co-existence . Seoul: KAIS, 2000.

59

Oh Kie-chiang John and Oh Cho Bongwan Bonnie, The Korean Embassy in America . Seoul: Hollym, 2003.

60

Oliver T. Robert, Syngman Rhee and American Involvement in Korea, 1942-1960: A Personal Narrative . Seoul: Panmun Book Company Ltd, 1978.

61

Stueck William, The Korean War: An International Histor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62

금보운, 「한국정부 수립시기 한미 간 행정권 이양과정과 성격: ‘재정 및 재산에 관한 최초협정’을 중심으로」. 『韓國史硏究』 제166호, 2014, 337~383쪽.

63

김도민, 「1948~50년 주한미대사관의 설치와 정무활동」. 『韓國史論』 59권, 2013, 217~289쪽.

64

김영호, 「미국의 대한민국 정부 승인 정책에 관한 연구: 태평양전쟁기와 미 군정기 미국의 승인 정책을 중심으로」. 『軍史』 제92호, 2014, 233~263쪽.

65

옥창준, 「경합하는 ‘태평양’ 구상 : 1949년 태평양 ‘동맹’의 재해석」. 『역사연구』 제40호, 2021, 257~293쪽.

66

이상호, 「초대 주한미국대사 무초와 주한미군 철수에 대한 대응」. 『亞細亞硏究』 61권 1호, 2018, 49~77쪽.

67

이철순, 「한국전쟁 이전 미국의 한국의 가치에 대한 평가」. 『國際政治論叢』 제43집 1호, 2003, 163~183쪽.

68

이철순, 「해방이후 한국전쟁 이전까지의 미국의 대한정책(1945-1950) 재고」. 『국제정치연구』 제18집 2호, 2015, 67~90쪽.

69

이현진, 「대한민국 정부의 ECA 원조 도입과 운영」. 『한국근현대사연구』 제6집, 1997, 188~216쪽.

70

정형아, 「이승만·장제스 정부의 군사적 위기, 협력모색, 그리고 좌절(1949-1950)」. 『軍史』 제112호, 2019, 45~82쪽

71

조종무, 「해방 후 뉴욕일원 한인사회(1945-1959)」. 『中央史論』 36호, 2012, 535~572쪽.

72

허동현, 「대한민국 승인을 위한 수석대표 장면의 활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제61집, 2009, 337~375쪽.

73

허동현, 「대한민국의 건국외교와 유엔(UN)」. 『숭실사학』 제30집, 2013, 253~280쪽.

74

홍순호, 「장면 외교의 명암(1946~1952)」. 『京畿史學』 5권, 2001, 141~186쪽.

75

Kim Myongsob, “Prologue of the Asia-Pacific Community: Betrayed and Declined Asian Initiatives for Region-building”. Korea Observer Vol. ⅩⅩⅦ, No. 4, 1996, pp. 529~587.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