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586-0755
  • E-ISSN 2799-8444

The Effect of Grit Enhancement Group Coaching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P)2586-0755; (E)2799-8444
2020, v.4 no.1, pp.21-46
https://doi.org/10.51457/kjcp.2020.06.4.1.21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aching program on enhancing Grit. In addition, we wanted to examine the positive effects of Grit improve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ttitude. Participants in this program were recruited from college students in a women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y were assigned to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10 for each group. The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90 minutes per session and a total of eight sessions were implemented.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were conducted before, after, and 2 weeks after the coaching program. The results showed grit in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for the control group. Both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ttitude were also significantly improved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maintained for two week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re described.

keywords
Female University Students, Gri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Attitude Maturity, Group Coaching


Reference

1

강명희, 김도희, 윤성혜, 류다현 (2016).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미치는 그릿(Grit),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간의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35(4), 109-129.

2

권해수 (2014).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성격5요인, 역기능적 진로사고, 정서지능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5(2). 45-64

3

금선미 (2009). 여대생이 지각한 희망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숙명여대 대학원.

4

김남진 (2003).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5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6

김장회, 정성수 (2012). 공업계열 특성화고교생의 직업흥미-전공 일치도, 직업흥미-포부일치도, 진로성숙도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9(3), 1-18.

7

김희명, 황매향 (2015). 한국판 아동용 끈기(Grit) 척도의 타당화. 교육논총, 35(3), 63-74.

8

김희진 (2001).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5, 369-393.

9

노영석 (2016). 일반계 고등학생의 그릿(grit)과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0

류진열 (2010). 빈곤층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및 진로태도성숙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대학원.

11

문선아 (2000). 불안과 성취동기가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2

박미경, 김영숙, 이현림 (2008).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아정체감, 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7(2), 1-26

13

박소희 (2011).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자기효능감, 직업가치, 주도성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3), 307-331.

14

백수연 (2007). 청소년의 리더십 생활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15

손미경 (2007). 혼합형 자기교시 훈련 프로그램이 주의집중력이 낮은 중학생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6

안인희, 이창환 (2011). 독서토론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2(4), 1609-1620

17

유영란 (2010). 무용전공 대학생의 불확실성에대한 인내력 부족과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 태도에 미치는 영향. 무용예술학연구, 30, 115-138.

18

유영란, 유지원, 박현경 (2015). 고등학생의그릿(Grit)과 객관적 추론, 자기조절 학습효능감 간의 관계 규명. 청소년학연구, 22(10), 367-385.

19

윤정원 (2017). 대학생의 그릿이 진로준비행동에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

이기학 (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자아존중감, 직업가치, 내적통제성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21

이기학, 한종철 (1998).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개인적 특성 및 심리적 변인들과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0(1), 167-189.

22

이수경 (2016). 성인 초기의 성장 마인드셋, 고정 마인드셋과 그릿의 관계: 회복탄력성의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3

이수란 (2015).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4

이수란, 손영우 (2013).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과 투지(Grit). 한국심리학회지, 10(3), 349-366

25

이억범 (2010).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다중지능, 사회적지지, 내적통제성, 자아정체감간의 경로분석. 韓榮論叢, 14, 173-188.

26

이종찬 (2013).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 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박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7

이태정 (2003). 몰입경험이 진로태도 성숙 및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홍익학교 대학원.

28

이혜련 (2013). 성격 5요인 모형(Big Five)이사립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9

이희영 (2003). 진로성숙과 상담. 서울: 학지사.

30

임선아 (2012). 적성에 맞는 진로선택과 부모의 진로선택 지지, 진로선택 역경극복 의지가 학업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9(4), 221-238

31

전미리, 김봉환 (2015). 대학생의 성격5요인과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7(2), 445-461

32

정민주 (2014). 4 년제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가 취업불안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2(1), 81-104.

33

정유정 (2017).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의 관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34

조수진 (2016). 중학생이 인식한 부모의 사회적지지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35

최숙현 (2008). 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포부,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36

최영훈, 박세영 (2016). 성격5요인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이 대학졸업자의 취업에 미치는영향: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40(3), 83-111

37

한상춘 (2017). 대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38

한양숙 (2015). 초등영재학생의 그릿(Grit), 그릿(Grit) 개별 요인, 성격 5요인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39

한정아 (2011). 독서와 영화를 활용한 진로지도프로그램이 고교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 비교.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40

황은희 (2017).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41

Betz, N., & Fitzgerald, L. (1987). The career psychology of women. Orlando, FL: Academic Press.

42

Bloom, B. S. (1985).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ew York: Ballantine Books.

43

Crites, J. O. (1978). Manual of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for adults. Monterey, CA:CBT/McGraw-Hill.

44

Crites, J. O. (1981). Career counseling: Models, methods, and materials. McGraw-Hill College.

45

Duckworth, A. L .(2006). Intelligence is not enough: Non-IQ predictors of achievement.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46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47

Duckworth, A. L., & Quinn, P. D.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48

Duckworth, A. L., Kirby, T. A., Tsukayama, E., Berstein, H., & Ericsson, K. A. (2011). Deliberate practice spells success why grittier competitors triumph at the national spelling bee.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2(2), 174-181.

49

Duckworth, A. L. (2016).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New York: Simon and Schuster.

50

Farmer, H. S. (1976). What inhibits achievement and career motivation in wo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 12-14.

51

Fitzgerald, L. F., & Betz, N. E. (1983). Issues in vocational psychology of women. In W. B. Walsh & S. H. Osipow(Eds.). Handbook of vocation psychology, 1, 83-144. Hillsdale, NJ:Erbaum.

52

Galton, F. (1892). Hereditary genius: An inquiry into its laws and consequences.

53

Goodwin, B., & Miller, K. (2013). Grit plus talent-student success. Educational Leadership, 71(1), 74

54

Hartmon, L. W. (1978). Career counseling women. In L. S. Hanson & R. S. Rapoza(Ed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for women.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55

McClelland, D. C. (1985). How motives, skills, and values determine what people do. American Psychologist, 40(7), 812-825.

56

Natale, K., Aunola, K., & Nurmi, J. E. (2009).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and their parents' causal attributions to ability and effort: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30(1). 14-22.

57

Pavlak, M. F. (1981). Student characteristic as predicator of vocational attitude maturity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58

Slaney, R. B. (1983). Influence of career indecision on treatments exploring the vocational interests of college wo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0, 55-63.

59

Speas, C. M. (1979). Job-seeking interview skills training: A comparison of four instructional techniqu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6(5), 405-412.

60

Stumpf, S. A., Colarelli, S. M., & Hartman, K. (1983). Development of the career exploration survey(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2), 191-226.

61

Super, D. E. (1955). The dimensions and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57. 151- 163.

62

Super, D. E. & Nevill, D. D. (1984). Work role salience as a determinants of career maturity in highschool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5.

63

Westbrook, B. W., Sanford, E. E., O'Neal, P., Horne, D. F., Fleenor, J., &Garren, R. (1985). Predictive and construct validity of six experimental measures of career matur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 338-355.

Submission Date
2020-05-19
Revised Date
2020-06-19
Accepted Date
2020-06-22
상단으로 이동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