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586-0755
  • E-ISSN 2799-8444

The Effect of Emotion Coaching Program using Animation on Infant’s Peer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in charge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P)2586-0755; (E)2799-8444
2020, v.4 no.2, pp.27-56
https://doi.org/10.51457/kjcp.2020.12.4.2.2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emotion coaching program using animation(the program) on infant peer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in charge (teachers). To this end, 30 infants aged 5 years residing in the Seoul area were selected to form 15 experimental groups and 15 control groups. An emotional coaching program using animation for 15 children aged 5 yea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7 times a week for 50 minutes each. The main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organized to name the emotions of children aged 5 years old through various emotion scenes, to recognize my emotions and to empathize with the emotions of other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eer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with the classroom teacher (social competency test) were conducted before, after, and after (4 weeks after the end of coaching). As a result, both peer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with the classroom teacher were significant. And the program continuity was verifi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5-Year-Old Infant, Emotion Coaching using Animation, Peer Competence, Communication with Teachers in Charge


Reference

1

고영선, 안혜리 (2014). 한국단편애니메이션을활용한 초등학교 1, 2학년 주제중심 통합수업 연구: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조형교육, 51, 25-54.

2

고윤지, 김명순 (2013). 유아의 놀이성, 놀이주도성 및 의사소통능력 수준에 따른 놀이행동. 아동학회지, 34(1), 175-189.

3

김광희 (2015). 애니메이션 가디언즈를 활용한초등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4

김경란, 신원애 (2014).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코칭이 유아의 독서환경,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태도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1-24.

5

김보영 (2016). 유아의 실행기능, 자아존중감, 정서지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1(3), 29-51.

6

김수지, 안창일 (2005).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상호작용적 영화치료의 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5(1), 360-361.

7

김순이, 서호찬 (2016).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부모의 양육행동, 아동의 공감과 정서조절 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뇌교육연구, 18, 93-120.

8

김소영, 장승호, 홍정완, 이혜진, 이상열 (2016). 만성 조현병 환자의 음악적 청각과 미술적 시각자극에 대한 정서인식.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55(4), 415-424.

9

김영경 (2019). 역할놀이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사회서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 22(2) 71-82.

10

김영숙, 최석란 (1997). 극놀이에서 교사의 단계별 지지가 유아의 언어적 의사소통에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18(2), 229-240.

11

김옥련, 이원영, 주영희, 이태영, 권광자, 노영희 (1988). 유아언어활동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12

김현정 (2010). 보육교사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대인관계 향상에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국민대 교육대학원.

13

김현정 (2019).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이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회복탄력성에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421-444.

14

김현정, 고영건 (2016). 정신건강과 일반적 신체건강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4), 815-828.

15

권유선, 최혜진 (2010).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하기 및 표상활동이 유아의수학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63-84.

16

마성애 (2013). 정서 및 문제행동 유아의 관계형성과 소통을 위한 감정코칭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17

문지연 (2018). 동화를 활용한 게임 활동이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남대 대학원.

18

민서희 (2013). 애니메이션 치료프로그램 효과분석.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우울증 개선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예술과 미디어, 12(2), 123-130.

19

박경혜 (2005). 동화애니매이션을 활용한 언어지도가 학습장애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

박기수 (2004). 애니메이션 서사 구조와 전략. 논형.

21

박미리, 이경화 (2009). 만화․애니메이션 활용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 교육연구, 9, 49-75

22

박유미, 길명자, 안연경 (2013).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영아의 언어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3), 5-29.

23

박종수 (2008). 의사소통 증진 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중앙대 대학원.

24

박주희, 이은해 (2001). 취학 전 아동용 또래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21-232.

25

박주희, 이은해 (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또래관계 관리전략. 아동학회지, 22(4), 1-15.

26

박지영, 강성단, 권경숙 (2010). 유아의 기질, 또래 유능성,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연구, 17(2), 139-162.

27

박찬옥, 황지영 (2019). 감정코칭을 통한 외톨이 유아의 또래관계 형성을 위한 협력적실행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3(1), 233-263.

28

박현지, 박수정 (2019). 만화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4(2), 1-16.

29

배수민, 윤정진 (2016). 픽사의 단편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유아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개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6, 660-660.

30

배윤미 (2015). 유아의 정서성과 정서조절전략이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31

백혜경, 이경화, 이화영 (2019). 동화를 활용한칭찬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자아존중감및 친사회적 행동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 중심교과교육학회지. 19(22) 465-485.

32

보건복지부 육아정책 연구소 ‘2018년 보육실태 조사결과’ 경향신문 2019.6.20.

33

서숙경 (2012). 감정코칭 부모교육이 어머니의정서반응태도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놀이차료연구, 16(1), 95-109.

34

서울 특별시유아교육 진흥원

35

서유리안나 (2010).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아주대 대학원.

36

손영희 (2015). 감정코칭을 활용한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37

송기범, 최양규 (2012). 동작어휘 상징의 애니메이션 효과성 검증 연구–성인, 아동, 지적장애아동을 중심으로. 지적 장애 연구, 14(4), 293-310.

38

신수경, 지성애 (2008). 놀이유형에 나타난 유아의 의사소통전략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 329-350.

39

신정민 (2014). 어머니 대상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갈등 대처능력 및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대학원.

40

양옥승, 김미경, 김숙령, 김영언, 김진영, 박선희, 서현아, 오문자, 장혜순, 조선영, 조은진, 최양미, 현은자 (2001). 유아교육개론. 서울: 학지사.

41

안현주, 양혜련, 임부연 (2018). 만 2 세 영아와 교사 간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의미 탐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2), 195-224.

42

엄은나 (2006).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대학원.

43

유해미, 강은진, 권미경, 박진아, 김동훈, 김근진, 김태우, 이유진, 이민경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

44

이강훈, 황해익 (2020). 빅데이터에 기초한‘2019 개정 누리과정 평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5(4), 79-109.

45

이계일 (2008).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순천향 대학교 산업정보 대학원.

46

이동자 (2009).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어린이집교사와 유아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47

이미진, 최선영, (2020). 감정코칭을 활용한 역할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기술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177-1197.

48

이선애, 현은자 (2010).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의관계. 아동학회지, 31(3), 17-32.

49

이수진, 서현아, 한희정 (2013). 또래협동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1), 81-101

50

이손연 (2016). 동화에 기초한 실내 모래놀이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아지원학회 학술대회지, 153-158.

51

이승복 (1994). 어린이의 단어 의미 획득: 단어 대치 현상으로 본 대조성 원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7(1), 164-197.

52

이양순, 정영숙, 이기영 (2006).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 41-63.

53

이윤옥 (2014). 동화를 활용한 창의적 사고기법 연계 감정코칭 문제해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6), 363-381.

54

이원영, 박찬옥, 노영희 (1993). 유아의 사회성발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13, 65-91.

55

이종길, 정지현 (2012).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접근을 활용한 유아 디자인 교육에 대한 기초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3), 355-378.

56

이혜선, 어은경 (2016). 감정코칭 미술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술교육학회, 30(3), 145-170.

57

이희연, 홍기형 (2013). 애니메이션이 지적장애아동의 상징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2) 2013.6, 185-202.

58

장경자, 김종태 (2013). 유아기질이 유아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1(11), 705-715.

59

전인경 (2015).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 활동이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과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60

전현주, 고경석 (2012). 애니메이션 활용 딕토글로스 지도가 초등 영어 학습자의 듣기․쓰기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초등영어교육, 18, 27-54.

61

정미숙 (2016). 감정코칭을 활용한 프로그램이아동의 자기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목표대학교 교육대학원.

62

정용국, 신주정 (2010). 텔레비전 만화영화의친사회적 효과: 보상과 동일시가 친사회적 사고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4(6), 261-286.

63

정석진 (2015). 웹툰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아동교육콘텐츠의 구축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64

조미숙 (2016).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이 만2세반 영아기의 정서조절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대학원.

65

주봉관 (2017). 유아 대상 리터러시 교육이 유아의 수용․표현어휘력에 영향을 미치는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1(1), 365-384.

66

지성애, 김지은 (2016). 유아의 정서실행기능과인지처리능력, 자기조절능력 및 마음이론간의 관계. 영유아교원교육학회지, 20(2), 223-247.

67

차미정 (1990). 창의성훈련 프로그램의 구성방법, 교사훈련 여부가 유아의 창의적 행동에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균관 대학원.

68

최성애, 조 벽 (2012). 청소년 감정코칭. 해냄출판사.

69

최성애 (2017). 최성애 박사의 행복 수업: 소중한 인생을 함께 하기 위한 가트맨식 부부 감정코칭. 해냄출판사.

70

최우미 (2015). Gottman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와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덕성여대 문화산업대학원.

71

한상철, 기영애 (2004). 또래 상담자 훈련이 또래상담자의 자기 존중감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논총, 25(2), 85-99.

72

허정경 (2010). 자유놀이에서 유아의 갈등상황에 따른 의사소통 전략. 아동과 권리, 14, 293-312

73

황윤세 (2006).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유능성및 교사-유아 관계성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211-228

74

황지영 (2018). 감정코칭을 통한 외톨이 유아의또래관계 형성에 관한 협력적 실행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 대학원.

75

Bailey, L. B. (2014). A review of the research: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improving rural children’s school readiness. Early ChildhoodEducation Journal, 42, 389-396.

76

Bandura, A. (1965). Influence of a model’s reinforcement contingencies on the acquisition of imitative respon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icial Psychology, 11, 589-595.

77

Bradberry, T., & Greeves, J. (2011). 감성지능 코칭법[Emotional intelligence 2.0] (김규태 역). 서울: 넥서스. (원전은 2009에 출판)

78

Chomsky, N. (1968). The responsibility of intellectuals (p. 241). Univ. Department of Philosophy.

79

Clarke-Stewart, K. A., Umeh, B. J., Snow, M. E., & Pederson, J. A. (1980). Development and prediction of children’s sociability from 1 to 2½ years. Developmental Psychology, 16(4), 290.

80

Cosier, R. A. (1989).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dialectical inqury systems. Management Science, 24, pp.1483-1490.

81

Elliot, A. J. (1981). Child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2

Erikson, E., & Erikson, J. (1981). On generativity and identity: From a conversation with Erik and Joan Eriks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51(2), 249-269.

83

Fineman, S. (Ed.). (2000). Emotion in organizations. Sage.

84

Flavell, J. H. (1977).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bout visual perception. In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85

Gazda, G. M. (1999). Group Prosedur with Children: A Developmental Approach. Dalam Ohlsen (ed), Counseling.

86

Ginott, H. G. (2003). 교사와 학생 사이[Betweenteacher and child] (신흥민 역). 서울:양철북. (원전은 1972에 출판)

87

Gordon M. (2010). 공감의 뿌리[Roots of empathy] (문희경 역). 서울: 샨티. (원전은 2005에출판)

88

Gottman, J. M., & 남은영. (2007). 내 아이를 위한 사랑의 기술: 감정코치.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89

Gottman, J. M. (2001). Meta-emoti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buffering children from marital conflict. Emotion,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23-40.

90

Gottman J. M., (2007). 감정코치법. 정창우 역. 서울; 인간사랑. Hatch, J. A. (1987). Peer interaction and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Child Study Jounal, 17(3). 169-183.

91

Gottman J.M., Katz, L.F., &Hooven. C (1997). Meta-emotion: How families coimmunicates emotionally.Mahwah, NJ: Laweence Erlbaurn Associates, Inc.

92

Gottman, J. M., 최성애, 조벽 (2011). 내 아이를위한 감정코칭. 서울: 한국 경제신문.

93

Hatch, J. A. (1987). Peer interaction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Child Study Journal. 5

94

Howes, C. & Stewart, P. (1987). Child’s play with adults, toys, and peers: An examination of family and child-care influences. Developmental Psychology, 23(3), 423.

95

Hymes, D.(1970). On Communicative Competence, In J. B. Prid & A. Holmes(Eds.), Harmondsworth:Penguin. Howes, C. (1987).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in young children :Developmental sequences.Developmental Review, 7(3), 252-272.

96

Johnson, C., Ironsmith, M., Snow, C., & Poteat, G. (2000). Peer acceptance andsocial adjustment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Early ChildhoodEducation Journal, 27

97

Knight, G, P,. Berning, A, L,. Wilson, S, L,. &Chao, C. (1987). The effects of informationprocessing demands and social-situational factors on the social decision making of childre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43, 244-259.

98

Kostenlnik, M., Stein, L., Whiren, A., Soderman, A., Stein, L., & Gregory, K.(2005). 유아를위한 사회정서 지도(박경자, 김송이, 권연희 공역).

99

Ladd, G. W. (1990). Having friends, keeping friends, making friends, and being liked by peers in the classroom: Predictors of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1(4), 1081-1100.

100

Lauw, M. S., Havighurst, S. S., Wilson, K. R., Harley, A. E., & Northam, E. A. (2014). Improving parenting of toddlers’emotions using an emotion coaching parenting program:a pilot study of tuning in to toddler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2(2), 169-175.

101

Medina, J. (2012). 내 아이를 위한 두뇌코칭[Brainrules for baby: How to raise a smart andhappy child form zero to five] (최성애 역). 서울: 한국경제신문. (원전은 2010에 출판)

102

Muller, E (1972). The maintenance of verbal exchanges between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43, 930-938.

103

Rolls, E. T. (2005). Emotion explained.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04

Piaget, J. (1962). The relation of affectivity to intelligence in the mental development of the child. Bulletin of the Menninger clinic, 26(3), 129.

105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106

Schwartz, J. P., Thigpen, S. E., & Montgomery, J. K. (2006). Examination of parenting styles of processing emotions and differentiation of self. The Family Journal, 14(1), 41-48.

107

Schwenk, C.,R,. (1980). Effects of the expert, devil’s advocate, and dialectical inquiry methods on prediction performanc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6, pp.409-424.

108

Shaffer, D. R, (2005). 발달심리학(6판) (송길연, 장유경, 이지연, 정윤경 역). 서울시그마프레스. (원서 2002출판).

109

Shaffer, G. (2000). Wto Blue-Green Blues: The Impact of US Domestic Politics on Trade-Labor, Trade-Environment Linkages for the WTO’s Future. Fordham Int’l LJ, 24, 608.

110

Shields, M. D. (1995). An empirical analysis of firms’ implementation experiences with activity-based costing.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7(1), 148-165.

111

Slaby, R. G. (1995). Early violence prevention:Tools for teachers of young children.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509 16th Street, NW, Washington, DC 20036-1426 (NAEYC Catalog# 325).

112

Trawick-Smith, J. (2000, April). Drawing back the lens on play: A frame analysis of the play of children from Puerto Rico. In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tlanta.

113

Vandell, D. L., & Willson, K. S. (1987). Infants’interaction with mother, sibling and peer:Contrasts and relations between interaction wystems. Child Development, 58, 176-186.

Submission Date
2020-10-12
Revised Date
2020-12-09
Accepted Date
2020-12-10
상단으로 이동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