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2586-0755
- E-ISSN 2799-844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satisfaction of appearance and self-esteem and to prov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experience in that relation. The 239 subjects were selected from 118, 121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eongnam. The research tools were Body Esteem Scale, the Self-Esteem Inventory and Relationship Scale. The Result of study were sa follows. First, appearance satisfaction, experience of relation and self-esteem had correlations in each relation. Second, Interpersonal experience would demonstrate self-esteem, and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generated in the relations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Especially,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male student was higher.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discussed the positive effects of positive interpersonal experiences on self-esteem for adolescents with low self-esteem due to low level of physical satisfaction and the direction of youth coaching.
강희순, 임경희 (2013). 전남지역 고등학생의외모만족과 대인관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4(1), 481-500.
구본용 외 (1999). 청소년의 또래관계.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4-172.
구자명, 이명희 (1994) 남녀 중학생의 외모 만족도와 사회성 및 성취동기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5), 153-163.
김양진, 강혜원 (1992). 의복 및 신체 만족도와학업성취도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6(2), 197-209.
김은주 (2001).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민, 이세진 (2010).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요인, 신체질량지수 및 자아존중감이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6), 1-12.
김희화, 김경연 (1996). 한국 아동의 자아 존중감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 34(5), 1-12.
김희화 (1998).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발달:환경변인 및 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희화, 김경연 (1999). 청소년 초기의 자아존중감과 적응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37(4), 59-69.
남윤자, 정재은. (1999). 20대 여성의 신체만족도 및 이상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1), 159-169.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 22(4), 1147-1168.
양계민, 정진경 (1993). 자신의 신체적 매력에대한 인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3(1), 67-74.
이경희, 안귀여루 (2013). 청소년의 외모관심과외모만족도가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치료학회, 5, 73-83.
이용하 (2011).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중학생들의 신체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관한 분석.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해, 고윤주, 오원정 (1999). 대학생의 친구에 대한 만족감과 친구의 기능 및 친구관계망의 구조적 변인간의 관계. 교육학 연구, 37(3), 201-220.
이형득, 문선모 (1980). 인간관계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경상대학교 연구집, 19, 195-203.
이혜원 외 (2008). 청소년권리와 청소년복지. 한울.
장선철, 송미현 (2004).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1(3), 115-133.
정윤주 (2010). 청소년 초기의 신체상 태도와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8(5), 103-117.
정익중 (2007).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연구, 18(3), 127-166.
하경연, 강인언 (2012). 청소년의 인구통계적특성 및 스트레스, 외모관리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패션비즈니스, 16(5), 192-206.
Berndt, T. J. (1996). Exploring the effects of friendship quality on social development. In W.M.Bukowski, A,F.Newcomb, & W.W. Hartup(Eds.), The company they keep: Friendship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346-365.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Erikson, E. H. (1959). Identity and the life cycle. Psychological Issues, 1, 1-171.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 W. Norton
Harter, S. (1990). Self and identity development. In S. S. Feldman & G. R. Elliott (Eds.),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352-387.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Holsen, I., Jones, D. C., & Birkeland, M. S. (2012). Body image satisfaction among Norwegia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A longitudinal study of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BMI. Body image, 9(2), 201-208.
Mendelson, M. J., Aboud, F. E. (1999). Measuring friendship quality in late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McGill friendship questionnaires.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 31(2), 130-132.
Musa, H., Roach, M. (1973). Adolescent appearance and self-concept. Adolescence, 8, 385-39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Savin-Williams, R. C., Demo, D. H.(1983). Situational and transituational determinants of adolescent self-feeling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4), 824-833.
Stuart G. W., Sundeen S. J.(1983). Principles and Practice of Psychiatric Nursing. St Louis MO, CV Mos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