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586-0755
  • E-ISSN 2799-8444

부모소명 개념에 대한 부와 모의 인식 차이: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시각적 비교

The gender difference in concept of calling in childrearing: Visual Comparison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P)2586-0755; (E)2799-8444
2022, v.6 no.2, pp.93-114
https://doi.org/10.51457/kjcp.2022.12.6.2.93
김수진 (연세대학교 심리과학이노베이션연구소)
손영우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이수란 (서울사이버대학교 군경상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부모가 부모소명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부모소명이 어떠한 개념과 연결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부모소명 인식에 관한 네트워크를 추출하여, 아버지와 어머니가 가지고 있는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유의하게 큰 네트워크와 밀도를 보여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더 많은 부모소명 개념을 사용하여 부모됨과 자녀 양육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모들은 책임감, 자녀성장, 방향성, 헌신, 부모의 인간적 자질을 부모소명과 직접 연결했다. 그러나 어머니는 여기에 더해 정체감, 부모성장을 연결했고, 아버지의 경우 부모 공통 개념에서 방향성이 빠져 총 4개의 개념만을 부모소명과 직접 연결했다. 이는 아버지에 비해 어머니가 부모로서 정체성과 같은 본질적인 자기 개념과 성장의 주제를 부모소명에 연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개념 간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는 연결중앙성에서는 부모 공통으로 책임감, 자녀성장, 방향성, 신념 순으로 나타났고, 아버지의 경우 자녀성장, 책임감, 신념 순으로, 어머니의 경우 책임감, 부모성장, 정체감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개념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소명, 부모소명, 남녀 차, 사회연결망 분석, calling, calling in childrearing, gender differences, social network analysi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conceptualizing a calling in childrearing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mothers showed significantly larger networks and higher density than fathers did, indicating that mothers, more than fathers do, experience parenting and child-rearing based more on a concept of calling in childrearing. Parents directly linked responsibility, children's growth, direction, commitment, and parental character to a calling in childrearing. In addition, mothers also linked a sense of identity and parental growth to it. In the case of fathers, only four concepts were directly connected with a calling in childrearing. This shows that mothers, in comparison to fathers, connect essential self-concepts, such as identity as a parent and themes of growth, to a calling in childrearing. In centrality, similar concepts also were evaluated as important. The common parental closeness centrality is composed of responsibility, child growth, direction, and belief starting from the center. In the case of fathers, child growth, responsibility, and belief were evaluated in order, and in the case of mothers, responsibility, parental growth, and identity were evaluated as relatively important concepts.

keywords
calling, calling in childrearing, gender differences, social network analysi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2-11-20
수정일Revised Date
2022-12-19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2-12-26
상단으로 이동

한국심리학회지: 코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