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586-0755
  • E-ISSN 2799-8444

조직과 개인의 권력거리 간 하위집단 탐색: 조직 결과 변인과의 관계

Power Distance Profiles in Organizations: A Cluster-Analytic Approach and Associations with Organizational Outcomes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P)2586-0755; (E)2799-8444
2023, v.7 no.3, pp.109-125
https://doi.org/10.51457/kjcp.2023.12.7.3.109
정은경(Eun Kyoung Chung) (강원대학교 심리학과)
정예슬(Yeseul Jung) (한남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조직의 결과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권력거리를 종업원-조직 부합의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종업원과 조직의 권력거리 조합이 현 실에서 어떤 하위그룹으로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조직의 긍정 결과변인과 부 정 결과변인들에 있어서 도출된 하위집단들 간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총 398명의 데 이터가 수집되었으며 군집분석을 통해 총 3개 집단이 도출되었다. 군집 1은 종업원의 권력 거리는 낮고 조직의 권력거리는 높은 집단이었으며(LH), 군집 2는 종업원과 조직의 권력거리 가 모두 높은 집단, 군집 3은 종업원과 조직이 전반적으로 낮은 권려거리 수준을 보였으나 종업원의 권력거리가 조직의 권력거리보다 유의하게 높은 집단(HL)이었다. 조직 결과변인에 대해 세 하위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일 정서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며 전반적으로 LH 집단이 가장 긍정적인 조직 결과를, HH 집단이 가장 부정적인 조직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실용적 함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권력거리, 종업원과 조직 간의 부합, 조직 결과 변인, 군집분석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ower distance on organizational outcome variables from the perspective of employee-organizational fit. Through cluster analysis, we sought to identify the subgroups that exist based on the combination of employees' power distance and organizational power distance. Additionally, we examined whether differences exist among these subgroups in terms of positive and negative organizational outcomes. A total of 398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three distinct clusters were identified through cluster analysis. Cluster 1 comprised individuals with low power distance among employees and high power distance within the organization(LH), Cluster 2 consisted of individuals with high power distance in both employees and organizations(HH), and Cluster 3 represented individuals with significantly higher power distance among employees compared to their respective organizations(HL).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hree subgroups in relation to organizational outcom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ositive work affects. Overall, the LH group exhibited the most favorable organizational results, while the HH group displayed the most negative organizational outcomes. In light of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its limitations.

keywords
Power distance, Employees-organizational fit, Organizational outcomes, Cluster analysi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11-11
수정일Revised Date
2023-12-1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12-26
상단으로 이동

한국심리학회지: 코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