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의 건강불평등, 무엇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Research on Health Inequality in Korea, What Should be Done and How?

한국건강형평연구 / Korean Journal of Health Equity, (E)2982-8007
2023, v.1 no.1, pp.12-17
https://doi.org/10.23163/HEJOURNAL.PUB.1.1.12
김명희(Myounghee Kim) (국립중앙의료원 정책통계지원센터)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국내에서 건강불평등을 주제로 한 논문은 지난 20년 동안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건강불평등 연구의 궁극적 역할이 건강불평등의 개선이라고 했을 때, 연구의 양적 성장이 현실에 의미 있는 기여를 했다고 자신 있게 말하기는 어렵다. 이 글에서는 국내 건강불평등 연구 상황을 비판적으로 돌아보며, 건강불평등 지식 전환의 단절을 극복하기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우선 건강불평등 연구의 질문이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OO의 불평등이 존재하는가?’에서 ‘왜/어떻게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OO의 불평등이 나타나는가?’ 로 바뀌어야 한다. 둘째, 특정한 인식론, 특히 실증주의에 배타적 우선성을 부여하기보다는 연구 질문에 부합하는 인식론적 접근을 취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다. 셋째,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이 인간의 몸과 마음에 체현되는 과정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문분야의 연구자들이 협력하며, 사회적 현실을 토론할 수 있는 학문 공동체를 살려내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건강형평성, 건강불평등, 지식전환, 인식론, 인과적 구조, 학문 공동체

Abstract

The number of papers on health inequalities in South Korea has exploded over the past 20 years. However, given that the ultimate role of research is to improve health inequalities, it is hard to argue that the quantitative growth of research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critically look back on the progress of health inequalities research in Korea and make a proposal to overcome the severance of knowledge translation. First of all, the question of health inequality research should be changed from 'Is there health inequality across socioeconomic groups?' to 'Why/How does health inequality develop across socioeconomic groups?' Second, it is necessary to take an epistemology relevant to research questions rather than giving exclusive priority to specific epistemology, especially positivism. Third,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ocess of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being embodied in the human body and mind, it is necessary to revive an academic community in which researchers from various disciplines can cooperate and have a discussion about social reality

keywords
Health equity, Knowledge translation, Epistemology, Causal mechanism, Academic community

한국건강형평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