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 건강 불평등 연구의 동향과 과제: 정책 연구를 중심으로

The Trends and Challenges in Health Inequality Research in Korea: Focusing on Policy Studies

한국건강형평연구 / Korean Journal of Health Equity, (E)2982-8007
2023, v.1 no.1, pp.18-35
https://doi.org/10.23163/HEJOURNAL.PUB.1.1.18
박진욱(Jinwook Bahk)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정최경희(Kyunghee Jung-Choi)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환경의학교실)

초록

국내 건강 불평등 연구가 양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2010년대 이후 건강 불평등 관련 정책 연구도 적은 양이나마 꾸준히 발표되었다. 정책 분석 연구보다는 정책 평가 연구가 더 많은 경향을 보이는데, 그 중 건강보험 보장 정책의 형평성 효과를 분석한 연구가 많았다. 대다수 연구가 국가에서 생산한 2차 자료를 사용하였고, 일부는 1차 설문조사 자료나 질적 면접 자료를 이용하였다. 2015년 이후 연구 주제와 방법에서 새로운 시도들도 확인되었다. 건강 불평등 완화 정책 연구 과제를 통해 정책이 채택되고 집행된 사례도 있는 반면, 정치적 상황에 의해 소중한 연구 결과가 사장되기도 하였다. 국내 건강 불평등 완화를 위해서는 건강 불평등 현황 및 경로 연구와 정책 연구가 균형 있게 발전할 필요가 있다. 여전히 보건 정책에 대한 건강 형평성 관점에서의 효과 평가가 필요하지만, 연구 주제를 확장하여 건강의 사회경제적 결정 요인으로서 타 분야 정책에 대한 분석 및 평가도 필요하다. 건강 불평등을 감소시키는 사업 시행을 위해 체계적인 중재사업 기획과 평가가 요구되며, 다양한 연구방법을 시도하여 보다 적확한 연구 결과를 산출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건강 불평등 관련 정책 연구를 비롯한 보건정책 연구의 기획, 지원, 합성과 확산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keywords
건강 불평등 연구, 건강 형평성 연구, 건강 형평 정책, 근거기반공중보건

Abstract

While research on domestic health inequality in Korea has grown in quantity, a small but steady stream of policy research on health inequality has also been published since the 2010. Policy evaluation studies tend to be more common than policy analysis studies. Many of the Policy evaluation studies have analyzed the effect on equity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policies. Most studies used secondary data, while some used primary survey data or qualitative interview data. New research topics and methods have also been explored since 2015. Some research projects on health equity policy have been successful, leading to the policy adoption and implementation. In other cases, valuable research results could not be implemented due to political circumstances. Currently, there is an imbalance between research on health inequality status and pathway versus studies focused on policy. To further address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additional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research directed towards implementation of policy. Apart from measuring the effect of public health policies on equity,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topic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effects of policies in other sectors as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health. Systematic planning and evaluation of interventions aimed towards reducing health inequalities should be promoted. Efforts should be made to identify and use new research methods to produce more accurate results.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zation or institute that can support health policy research, including health equity policy research, throughout the planning, support, synthesis of the results, and dissemination.

keywords
Health inequality research, Health equity research, Health equity policy, Evidencebased public health

한국건강형평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