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위기는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구조적 모순을 더욱 격화시키며 건강의 위기가 되고 있다. 점증하는 기후 재난은 지역과 사회계급에 따라 극적으로 불평등한 충격을 가해 건강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이 글은 건강과 환경의 위기가 자본의 축적 과정에서 발생하였음을 설명하고, 인간과 자연 소외를 극복하기 위한 건강 정의 이론을 모색한다. 건강 정의 이론은 건강을 변화하는 자본주의 체제 모든 계급 관계 속에 스며든 쟁점으로 사고할 것을 제안하며 건강을 사전 결정된 사회적 경계 안에 가두는 이분법에 도전할 것을 요구한다. 불평등을 만드는 ‘원인의 원인’을 구체화하고 건강 불평등 담론에서 사라진 자본의 실체를 복원하는 정치성을 강조한다. 건강 정의 운동은 상호의존의 존재들이 수행하는 복수(複數)의 권리 투쟁이며, ‘공거(公居) 윤리’를 통한 혼종 공동체의 가능성을 지향한다.
The climate crisis is becoming a health crisis, exacerbating social and structural contradictions that affect health. Growing climate disasters exacerbate health inequalities, with dramatically disproportionate impacts across regions and social classes. This article explains that health and environmental crises occurred in the process of capital accumulation, and seeks a health justice theory to overcome the alienation of humans and nature. Health justice theory proposes to think of health as an issue that permeates all class relations in the changing capitalist system and calls for challenging the dichotomy that traps health within pre-determined social boundaries. In order to reveal the cause of structural inequality, it emphasizes the political nature of restoring the reality of the capital-spider that has disappeared from the health inequality discourse. The political nature of the health justice movement includes the possibility of multiple rights struggles by interdependent beings taking place around the globe, and aims for a hybrid community through the ‘ethic of cohab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