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의 범죄예방 법규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 CPTED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s of Crime Prevention Laws in Korea - Focusing on the CPTED

범죄와 경찰정책 / Journal of Crime and Police Policy, (P)2982-6942;
2023, v.1 no.2, pp.91-111
https://doi.org/10.23238/JCPP.PUB.1.2.91
장동훈(DONG HUN JANG) (대구시경찰청 경찰관)

초록

우리나라의 주거형태나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주거침입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범죄예방기법의 필요성 역시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특히 주거공간과 이를 둘러싼 주변 환경의 물리적 설계에 초점을 맞추는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가 주목받고 있다. CPTED는 범죄가 일어나는 주변 환경(공간)이 어떻게 범행 기회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범죄 두려움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환경설계)에 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CPTED 관련 법규 역시 주로 물리적인 환경 개선을 통한 범죄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CPTED 관련 법규는 그 지역의 특성에 좀 더 적합하도록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전국의 경찰관서에서 자율방범대 등 주민과 경찰관이 예방 순찰 활동을 하는 등 실질적으로 2세대 CPTED 요소도 있지만, 현행 법규나 경찰청 지침 등에 이러한 활동 단체에 대해서는 명문으로 규정하지 않고 있다가 자율방범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최근 신설되었다. CPTED 관련 조례의 증가와 함께 자치경찰제도의 시행으로 인해 지치경찰이 주도하는 CPTED 활동 및 관련 기관과 경찰과의 협력 절차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활성화하고 공동체 의식을 강화해야 한다. CCTV 설치 등의 물리적 환경 개선으로 인한 감시와 접근통제보다 공동체 활동 강화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고, 지역의 특성을 가장 잘 아는 지역 주민과 CPTED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주민치안공동체’ 조직의 구성과 체계적인 활동을 위한 근거 법규의 제정이 필요하다.

keywords
범죄예방환경설계, CPTED, 범죄예방, 공동체치안, 셉테드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ssess existing laws and ordinances in Korea, focusing on police cooperation, crime prevention support, and community security activities. It proposes effective improvement plans to enhance legal frameworks. Traditional crime prevention highlighted punishment and deterrence. However, attention has shifted to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focusing on proactive crime prevention by enhancing the environment. In pursuit of these improvements, several crucial steps are necessary. Firstly, it is vital to establish a dedicated foundational law tailored specifically to CPTED, delineating basic guidelines for crime prevention-related ordinances and regulations. Secondl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must enact explicit laws mandating police involvement in crime prevention policies and projects across all regions, as police participation in CPTED projects is mandatory in only twelve metropolitan municipalities. Thirdly, while traditional CPTED-related laws prioritized strengthening physical environments and crime-prone areas according to first-generation principles, the significance of community engagement now surpassed mere surveillance and access control, credited to advancements like surveillance cameras, Lastly, in the implementation of crime prevention facilitie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must expand support targets, prioritizing comprehensive financial assistance for crime-vulnerable households and addressing multifaced issues through the enactment of fundamental laws or ordinances. This study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providing a foundation for suggesting diverse strategies in CPTED development thereby fortifying crime prevention strategies.

keywords
CPTED, Crime Prevention, Crime Prevention Policy, Fear of Crime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12-07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12-23

범죄와 경찰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