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치과의원 상호명의 시대적 변화

The change of dental clinic name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21,686 dental clinic business names from 1946 to February 2016, where official records exi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historical data of Korean dental clinic and contribute to the decision of dental clinic nam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the first official dental clinic used in Korea was ‘Chu’ in 1946, ‘Minsaeng’ and ‘Chusaeng’ in 1958, and “Won” in 1959. In the 1960s, dentists’ family names were often used as dental clinics. In the 1970s, dental clinic names were often used as dentists' family name, ‘Jung-ang’ and ‘Seongsin’. In the 1980s, dental clinic name was used more than other names such as ‘Seoul’, ‘Yonsei’, ‘Hyundai’ and ‘Sang-a’ along with the dentist's family name. In the 1990s, a dental clinic name was used to refer to the words ‘Yeonsei’, ‘Seoul’, ‘Hyundai’, ‘Sang-a’, ‘Isalang’, ‘Uli’, ‘Jeil’, ‘Bubu’ used a lot. In the 2000s, Dental Clinic's name began to use english words such as °ÆGood Morning','White','Prime 'and adjectives such as ‘Haengboghan’, ‘Ipyeonhan’. The characteristic of the dental clinic name in 2010 is the increase of the business name ‘UD’. From 1946 to February 2016, the most commonly used dental clinic name was ‘Seoul’, ‘Uri’, ‘Isarang’, ‘Yonsei’, ‘Hyundai’, ‘Good Morning’ ‘Jung-ang’, ‘UD’, ‘I’, ‘Miso’

keywords
Big Data, Public Portal Data, Dental Clinics, Brand Name, Open and Operate Dental Clinics

참고문헌

1.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

2.

구환영·오지은. (2010). “아파트 브랜드의 시각적요소가 구매자에게 미치는 영향”, 「디자인연구」, 8(3): 129-140.

3.

김재준·김용현. (2009). “상호와 소기업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강남구와 종로구의 점포비교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16(1): 113-135.

4.

배영희·박인영. (2016). “한식당의 상호명이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수도권을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20(1): 185-204.

5.

신영애·임달호. (2011). “글로벌 기업의 브랜드 네이밍 전략이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중국진출 음료관련 기업의 전문경영인의 관점에서”, 「전문경영인연구」, 14(1): 209-230.

6.

심연수·김아현·안소연. (2010). “대한소아치과학회 회원의 치과 병의원 등록상호명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7(4): 461-466.

7.

유수빈·송봉규·양병은. (2016).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치과병원 운영실태 연구: 광역자치단체와 특별자치단체의 인구를 중심으로”, 「대한치과의사협회지」, 54(8): 613-629.

8.

유재언. (2016). “장기요양기관의 상호명에 따른 정원충족률의 차이와 변동”, 「보건사회연구」, 36(4):314-343.

9.

이주연. (2002). “한국 치과의사사회의 전문직 위상확립 과정에 관한 근대사적 고찰”, 연세대학교 치의학 대학원.

10.

이지윤·박지환. (2014). “애매모호한 브랜드 네임이 소비자의 제품선호도에 미치는 영향-태그라인및 조절초점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2(2): 61-74.

11.

전용주·윤천석. (2015). “프로야구단의 브랜드네임 변경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3(3): 29-4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