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0376-4672
본 연구는 치과 의료기관의 규모에 따른 치과종사인력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구글 서베이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자 2,223명(대한치과의사협회 회원)이 최종 연구대상이었다. 독립변수는 치과 의료기관의 규모로, 이 연구에서는 치과진료의자 수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는 치과종사인력 구인난, 구인까지 소요되는 시간, 추가 종사인력이 필요한 업무였다. 연구 결과, 치과종사인력 구인난과 규모에 따른 필요 업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과위생사 구인난은 평균 8.49점, 치과진료의자 4~5대가 8.76점으로 가장 높았다. 간호조무사 구인난은 평균 6.48점, 치과진료의자 1~3대가 6.83점으로 가장 높았다. 추가 인력이 필요한 업무는 치석제거와 수술 보조가 전체 의료기관에서 가장 높았고, 특히 석션, 진료준비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치과 의료기관에서, 인상채득, 예방위생은 규모가 큰 치과 의료기관에서 높았다. 결론적으로 치과종사인력 구인난은 치과 의료기관의 규모에 따라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치과 의료기관은 정규 교육을 통한 치과조무사 양성으로 체어사이드 진료보조를 할 수 있게하고, 보다 큰 규모의 치과 의료기관은 기존의 치과위생사를 활용한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demand of the dental staff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ental institutions.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Google Survey, and 2,223 respondents(the member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were the final subjects of the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size of the dental institution set by the number of dental chairs,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difficulty in the recruitment of dental staffs, the time required to recruit, and tasks requiring additional staff.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iculty in the recruitment of dental staffs and the need of task by size of dental institution. The average difficulty in the recruitment of dental hygienists was 8.49, and 4 to 5 dental unit chairs scored the highest at 8.76. The average difficulty in the recruitment of auxiliary nurse was 6.48, and 1 to 3 dental unit chairs scored the highest at 6.83. For tasks requiring additional workers, the removal of calculus(scaling) and surgical assistance were the highest in all-scale institution. The need for suction and treatment preparation was relatively high in small-scale dental institution, and the need for dental impression and preventive hygiene was high in large-scale dental institut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resolution of the dental staff recruitment difficultie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stitutions's scale. It is suggested for small dental institution the regular training of dental assistants to assist in chair-side treatment, and for larger dental institution, it is suggested a policy to utilize existing dental hygienists.
1.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기관수 현황 종별 요양기관 수.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YadmStatInfo.do (cite : 2021.05.20.)
2. 전수진, 황수정, 서민석. 치과대학병원 치과보존과로 전달된 진료 의뢰서의 충실도 분석. 대한치과의사협회지 2019; 57(8):428-436.
3.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인력현황 지역별 종별 의료인력.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HumanResourceStatInfo.do (cite :2021.05.20.)
4. Tryfon J Beazoglou, Lei Chen, Vickie F Lazar, L Jackson Brown, Subhash C Ray, Dennis R Heffley, Rob Berg, Howard L Bailit. Expanded function allied dental personnel and dental practic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Journal of Dental Education, 2012;76(8):1054-1060.
5. Margaret Langelier, Tracey Continelli, Jean Moore, Bridget Baker, Simona Surdu. Expanded Scopes Of Practice For Dental Hygienists Associated With Improved Oral Health Outcomes For Adults. Health Affairs (Millwood), 2016;35(12):2207-2215.
6. 구강진료 분담인력 양성·활용 심포지엄 발제강연 “진료 분담인력 수급 균형 모색을”. 치의신보 2002년 11월 18일.
7. 취업난? 치과위생사는 여전히 ‘구인난’. 치의신보 2020년 1월 7일.
8. 이효진, 신선정, 배수명, 신보미. 우리나라 치과위생사 인력정책 현황 및 과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9;19(2):409-423.
9. 원장은 구인난, 치과위생사는 구직난 ‘왜?’ 치과신문 2017년 10월 30일.
10. 노효련, 구인영. 병원종별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직무특성과 임파워먼트비교.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2017;5(3):897-906.
11. 신선행. 치과위생사의 임파워먼트 지각수준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2011;11(5):437-444.
12. 한국보건의료인력국가시험원. 국시원연보 제21집. 223
13. 유휴인력 재취업 교육 열기 후끈. 치의신보 2015년 11월 24일
14. National Dental Assisting Examining Board. Dental Assisting Domain Description. Jan 2017
15. Canadian Dental Assistant’s Association. https://www.cdaa.ca/dapromotion/schools/?lang=en#BC (cite : 2020.10.14.)
16. Dental Board Ahpra. Dental Board of Australia Registrant data. 2020. https://www.dentalboard.gov.au/about-the-board/statistics.aspx (cite : 2021.05.20.)
17. 日本の歯科医師会. 公益社団法人日本歯科医師会歯科助手資格認定制度. https://www.jda.or.jp/qualification/ (cite : 2021.05.20.)
18. 한동헌, 대한치과의사협회. 세계 각국의 Dental Assistant 시스템 연구를 통한 우리나라 DA 시스템의 발전적 미래 제도에 대한 연구. 2021.02
19. 정정숙, 차영남, 김근곤, 박선영. 경력단절 간호사의 재취업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8:14(2):232-243.
20. 박귀옥, 장영은, 김선일, 박지은, 이선미, 김남희. 경력이 단절된 치과위생사의 직무 복귀에 대한 치과의사의 의견. 한국치위생학회. 2016:16(5):741-750.
21. 간호인력취업교육센터, 3500개 병원 연계 실습-취업 해결. 동아일보. 2019년 10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