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권호 목록

59권 11호

치과 의료기관의 규모별 치과종사인력 구인난 실태
이가영(대한치과의사협회 치과의료정책연구원) ; 전지은(대한치과의사협회 치과의료정책연구원) ; 한동헌(서울대학교 치의학 대학원 예방치학교실) pp.618-627 https://doi.org/10.22974/jkda.2021.59.1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치과 의료기관의 규모에 따른 치과종사인력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구글 서베이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자 2,223명(대한치과의사협회 회원)이 최종 연구대상이었다. 독립변수는 치과 의료기관의 규모로, 이 연구에서는 치과진료의자 수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는 치과종사인력 구인난, 구인까지 소요되는 시간, 추가 종사인력이 필요한 업무였다. 연구 결과, 치과종사인력 구인난과 규모에 따른 필요 업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과위생사 구인난은 평균 8.49점, 치과진료의자 4~5대가 8.76점으로 가장 높았다. 간호조무사 구인난은 평균 6.48점, 치과진료의자 1~3대가 6.83점으로 가장 높았다. 추가 인력이 필요한 업무는 치석제거와 수술 보조가 전체 의료기관에서 가장 높았고, 특히 석션, 진료준비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치과 의료기관에서, 인상채득, 예방위생은 규모가 큰 치과 의료기관에서 높았다. 결론적으로 치과종사인력 구인난은 치과 의료기관의 규모에 따라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치과 의료기관은 정규 교육을 통한 치과조무사 양성으로 체어사이드 진료보조를 할 수 있게하고, 보다 큰 규모의 치과 의료기관은 기존의 치과위생사를 활용한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demand of the dental staff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ental institutions.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Google Survey, and 2,223 respondents(the member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were the final subjects of the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size of the dental institution set by the number of dental chairs,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difficulty in the recruitment of dental staffs, the time required to recruit, and tasks requiring additional staff.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iculty in the recruitment of dental staffs and the need of task by size of dental institution. The average difficulty in the recruitment of dental hygienists was 8.49, and 4 to 5 dental unit chairs scored the highest at 8.76. The average difficulty in the recruitment of auxiliary nurse was 6.48, and 1 to 3 dental unit chairs scored the highest at 6.83. For tasks requiring additional workers, the removal of calculus(scaling) and surgical assistance were the highest in all-scale institution. The need for suction and treatment preparation was relatively high in small-scale dental institution, and the need for dental impression and preventive hygiene was high in large-scale dental institut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resolution of the dental staff recruitment difficultie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stitutions's scale. It is suggested for small dental institution the regular training of dental assistants to assist in chair-side treatment, and for larger dental institution, it is suggested a policy to utilize existing dental hygienists.

치과의사 실기시험의 영역별 핵심평가요소에 대한 치과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이보라(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교육학교실) ; 남정현(연세대학교 치과대학) ; 허지선(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교육학교실) ; 김수연(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교육학교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BK21 플러스 통합구강생명과학 사업단) ; 김준혁(연세대학교) ; 최성호(연세대학교) ; 허경석(연세대학교) pp.628-639 https://doi.org/10.22974/jkda.2021.59.1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본과 3학년과 본과 4학년 교육과정을 마친 학생을 대상으로 치과의사 실기시험의 핵심 평가요소에 대한 학생의 자기효능감을 조사하고, 각 영역에서 직접진료경험과 자기효능감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기시험의 22개 평가영역과 핵심평가요소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 문항 형태로 변환하여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에 따라 1점(매우 그렇지 않다)부터 5점(매우 그렇다) 응답하도록 구성하였고, 22개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직접임상진료경험 유무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각 학생의 영역별 평균을 도출하고, 학생들의 특성인 성별, 입학 유형(예과/편입), 학년에 따라 평균점수를 Student’s t-test로 비교하고, 나이, 직접진료환자수에 따라 one-way ANOVA 분석으로 평균점수를 비교하였다(α=0.05). 그리고 각 영역에서 직접진료경험 유무에 따라 Student’s t-test를 시행하였다(α=0.05). 22개 영역 중 20개 영역에서 학년별로 평균 점수에 유의차가 있었으며 본과 4학년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측두하악장애 촉진검사와 유치열 및 혼합치열 공간관리는 학년 간에 평균 점수의 차이가 없었다. 전체 22개 영역 중 본과 4학년의 직접진료경험이 100%인 영역은 11개 영역이었고, 근관치료의 경우 낮은 점수를 보였다. 본과 4학년의 직접진료경험 유무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 영역은 치면열구전색술, 구강악안면뇌신경검사, 측두하악장애 촉진검사, 봉합술, 유치열 및 혼합치열 공간관리였다. 본과 4학년의 직접진료경험 유무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없는 영역 중 구치부 금인레이 와동형성, 주조금관을 위한 구치부 지대치 형성과 임시치관 제작, 금속도재관을 위한 전치부 지대치 형성과 임시치관 제작은 낮았다. 본 연구는 원내생의 자기효능감에 있어서 직접진료환자수보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진료 경험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따라서 원내생진료실의 임상실습은 환자의 양적 증가만을 따지는 것보다 원내생이 개입의 결과를 평가, 판단, 되먹임하여 이후 임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elf-efficacy of dental students in the evaluation areas of practical examination of the Dental National Board Examination, which will be first introduced to 2022 graduates. In this study, 22 evaluation areas of practical examination and their core evaluation elements of each evaluation area were converted into a 5-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self-efficacy of dental students. Statistical data analysis using SPSS was conducted to compare various student’s characteristics (α=0.05): (a) student's t-test for the gender, admission type, grade, and D3 students’ direct patient care experience in each evaluation area and (b) one-way ANOVA for the age and number of patients treated by D4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D4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scores than D3 students in 20 evaluation areas, (b) D4 students had a full direct patient care experience in 11 evaluation areas, (c)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ve evaluation areas according to the D4’s direct patient care experience, and (d) D4 students showed low self-efficacy in three evaluation areas compared to the overall average even they have performed their direct patient c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not only enhance the direct patient care experience of predoctoral students, but also provide more additional educational experience according to the treatment are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linical practice of dental students’ needs to be designed to provide more appropriate intervention, evaluation, and feedback, rather than considering only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direct patient care experience.

JD005 화합물이 인간치수유래줄기세포의 상아질 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다솔(부산대학교) ; 이남걸(제이디바이오사이언스 기업부설연구소) ; 장혜옥(부산대학교) ; 안진희(광주과학기술원 화학과) ; 김형룡(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약리학교실) pp.640-648 https://doi.org/10.22974/jkda.2021.59.11.003
초록보기
초록

치수유래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로 다른 종류의 줄기세포와 마찬가지로 self-renewal 하고, 주어진 환경에서 다양한 세포로 분화가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분화의 특성은 자연치유가 힘든 치아경조직의 재생을 유도하며, 이러한 결과는 자연치아의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ZM241385를 참고하여 JD005 화합물을 합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치수유래줄기세포를 상아질 모세포로 분화 유도 하면서 화합물을 처리 하고, 상아질 모세포 분화 유도 시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확인 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JD005는 상아질 모세포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화 마커인 ALP, RUNX2, OPN, DSPP 및 DMP1은 JD005 처리 시 크게 증가하였다. 위와 관련된 세포신호전달인자인 SMAD의 인산화도 JD005을 처리한 세포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며 JD005가 상아모세포 분화를 통한 상아질 재생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Preservation of natural teeth and their structure is critical for chewing, swallowing, and better speech. Dentin and dental tissues are crucial in maintaining natural teeth and their structure, but treatment of dental tissue and dentin fracture is challenging for dentistry. Hence, scientific understanding needs to be translated to discover novel dental treatments. Dental pulp stem cells (DPSCs) are mesenchymal stem cells (MSCs) isolated from the third molar pulp. These cells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to MSCs with a unique property where DPSCs can differentiate into dentin forming odontoblast-like cells. Here, we made an effort to evaluate the potential substrate that induces odontoblastic differentiation of DPSCs. In this study, JD005, a modified A2A antagonist from ZM-241385, was determined to enhance OD. Specifically, JD005 treatment significantly enhanced the OD markers like alkaline phosphatase (ALP),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RUNX2), OPN, dentin sialophosphoprotein (DSPP), and dentin matrix protein 1 (DMP1). Additionally, the DPSCs treated with JD005 showed enhanced SMAD phosphorylation associated with differentiation. These observations distinctively suggest that JD005 potentially contributes to dentin regeneration via odontoblast differentiation.

소아의 수직적 안모 형태에 따른 상기도 폭경 평가
조선경(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김병화(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이제우(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교육연구센터) ; 라지영(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교육연구센터) pp.649-658 https://doi.org/10.22974/jkda.2021.59.11.004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장기 아동의 수직적 안모 형태에 따른 상기도 폭경을 평가하는 것이다. 7 - 11세의 101명의 대상자가 선정되었으며 하악평면각을 기준으로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기도 폭경의 평가는 측모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이루어졌으며 일원배치분산분석과 독립 t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시행하였다. 수직적 성장군의 비인두 및 상부 구인두 폭경이 유의하게 좁은 것이 확인되었다. 하부 비인두 폭경은 수평적 성장군에서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적인 구인두의 계측값은 남아보다 여아에서 더 좁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수평적인 계측값은 성별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 수직적 안모 형태를 보이는 소아의 기도 폭경이 정상 및 수평적 안모 형태를 보이는 소아의 기도 폭경보다 유의하게 좁았다.

골다공증 치료 약제와 턱뼈괴사증의 이해
김진우(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구강악안면외과) ; 김선종(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구강악안면외과) pp.660-669 https://doi.org/10.22974/jkda.2021.59.11.00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Since the first report of osteonecrosis of the jaw (ONJ) associated with bisphosphonate (BP) administration in 2003,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establish the pathophysiologic nature of this disease. Given that its pathogenesis is still poorly understood, and the global dependence on BP use and the entry tor aging society, there is a pressing need of related investigation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aimed to assess the possible ONJ-inducing drug including BPs, Denosumab, Romosozumab, and etc., and investigate the actu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ONJ.

발치 후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
신경수(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박원종(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pp.670-679 https://doi.org/10.22974/jkda.2021.59.11.006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Infectious diseases are major complication following tooth extraction. Most infectious diseases can be treated relatively simply with proper treatment. However, infectious diseases that have not been diagnosed early can cause life-threatening co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introduce typical infectious diseases following tooth extraction and to provide with background knowledge for early diagnosis and appropriate treatment for clinicians.

보철 수복 후 임플란트 주위 병변에 대한 항목별 고찰
이성복(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강동경희치대병원 생체재료보철과) ; 이석원(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강동경희치대병원 생체재료보철과) pp.682-692 https://doi.org/10.22974/jkda.2021.59.11.00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Regardless of the type of implant, the loss of the implant crestal bone in the first year during post-implanttreatment and after functioning by prosthetic treatment is often greater than that of the following year. Possible causes for early implant bone loss include surgical trauma, occlusal overload, peri-implantitis, microgap, bio-logical width, and crest modules of the implant itself. Plaque index and Gingival index values were also found significantly higher for implants without KM(keratinized mucosa). KM of at least 2 mm should be maintained. Contour of implant restoration is known as one of the risk indicators of peri-implantitis. Prevalence of peri-implantiti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bone-level group when the emergence angle was >30 degrees compared to an angle ≤30 degrees. Emergence angle of >30 degrees is a signific ianndti craistokr for peri-implantitis and convex profile creates an additional risk for bone-level implants, but not fo rtissuelevel implants. Biocom-patible materials should be used for all implant prosthetics, especially f otrhmeation of high polished surfaces with a reasonable appearance on the transmucosal part of the imp rlaensttorations. Bacterial products of the biofilm provoke an immune response in the gingival tissues. As btihoefilm maturesmore complex inter-reactions occur and bacteria with more virulent qualities apprpoevaork,ing a more complex immune system response. Inflammation and immune response cannot be resolved until the bacteria biofilm is removed. To minimize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dental professionals should make great effort in choosing reliable components and materials for implant- supported FDPs and the patients should be placed in well-structured maintenance system after treatment.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