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차문화 융합 프로그램이 이용시설 노인의 의사소통 향상에 미치는 영향

Tea Culture Convergence Program Impact on improving communication in the elderly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ternet of Things Society, (P)2799-4791;
2020, v.6 no.1, pp.65-72
https://doi.org/https://doi.org/10.20465/kiots.2020.6.1.065
김인숙 (동명대학교)
박선희 (통합힐링복지협회)

초록

본 연구는 이용시설노인들을 대상으로 차문화 융합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의사소통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H시 S복지관 내 노인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7명을 주 1회 60분씩 3개월 간 차문화 융합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차문화 융합 프로그램의 각 회기별 노인들이 차문화 융합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회기별 의사소통과 관련된 심리 및 행동 변화를 기록하여 비교하였다. 차문화 융합 프로그램이 이용시설 노인들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행동 및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과 사후의 행동 및 태도를 분석한 결과 차문화 융합 프로그램이 노인들에게 정서적,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함으로써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차문화 융합 프로그램이 이용시설 노인들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는 효율적인 프로그램임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노인들에게 차문화 융합 프로그램은 심리사회적으로 꼭 필요한 프로그램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keywords
Tea Culture Convergence, Program, senior citizens, communication, and facilities, 차문화융합, 프로그램, 노인, 의사소통, 이용시설

Abstract

본 연구는 이용시설노인들을 대상으로 차문화 융합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의사소통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H시 S복지관 내 노인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7명을 주 1회 60분씩 3개월 간 차문화 융합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차문화 융합 프로그램의 각 회기별 노인들이 차문화 융합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연구대상자들에대한 회기별 의사소통과 관련된 심리 및 행동 변화를 기록하여 비교하였다. 차문화 융합 프로그램이 이용시설 노인들의의사소통과 관련된 행동 및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과 사후의 행동 및 태도를 분석한 결과차문화 융합 프로그램이 노인들에게 정서적,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함으로써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차문화 융합 프로그램이 이용시설 노인들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는 효율적인 프로그램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노인들에게 차문화 융합 프로그램은 심리사회적으로 꼭 필요한 프로그램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keywords
Tea Culture Convergence, Program, senior citizens, communication, and facilities, 차문화융합, 프로그램, 노인, 의사소통, 이용시설

참고문헌

1.

S.Y.Lee, Y.H.Kim, and H.S.Kim, “predicted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and the cost of medical treatment when the baby boomers switch to the 65-year-old population. Institute of Health Administration”, Vol.23, No.4, pp.377-386, 2013.

2.

S.T.Park, B.T.Choi, B.J.Seo, G.M.Kim, and E.K.Lee, “Community of Elderly Welfar”, pp.41-104, 2017.

3.

K.H.Cho, “Develop programs to promote empathetic communication among the elderly and verify their effectiveness.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at Korea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University”, pp.1-10, 2018.

4.

O.H.Lee. “The desire and service preference of the elderly to use community protection services. welfare administration theory”, Vol.16, No.2, pp.47-70, 2006.

5.

J.E.Yang, “A Study on the Social Network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Using the Elderly Welfare Center Graduate School of Social Development at Gwangju Women's University”, pp. 45-68, 2015.

6.

K.H.Jung, Y.H.Oh, N.H.Hwang, M.A.Oh, S.H.Lee, and J.S.Kim, “Develop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dex for the Elderl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Research report. Daeje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p.245-268, 2017.

7.

J.E.Seo. and H.J.Kim, “Meta-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family functions. Journal of the Korean Family Treatment Society”, Vol.20, No.3, pp.457-486, 2012.

8.

H.S.Ahn, “Community of Elderly Welfare”, pp.102-127, 2013.

9.

J.D.Kwon “dean of the School of Welfare for the Elderly”, pp.86-135, 2011.

10.

H.RRyu, “Faci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elf-Respect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City of Kangwon-do with the Free Convenience Facilities”, Vol.16, No.6, pp.680-694, 2016.

11.

J.H.Kim and H.H.Kim, “A Literature Study o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Older People, A Study on Language Deafness”, Vol.6, No.1, pp.28-58, 2009.

12.

J.E..Eun and S.H.Lee,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Elderly Women in Rural Areas, and Korea Non-profit Research”, Vol.6, No.1, pp.27-85, 2007.

13.

Y.N.Kim, “A Study on Couples Communication, Master's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pp.78-95, 2001.

14.

S.W.Kim, “Communication and Marriage Nationaldo, Master's Degree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pp.30-68, 2002.

15.

H.S.Kim, S.H.Park, S.H.Park, J.H.Lee, and M.K.Jeong, “Human Relationship Theory. Paju: Yang Seowon”. pp.88-127, 2016.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