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publication, 검색결과: 15
11
최윤희(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연세대학교) 2015, Vol.32, No.3, pp.295-316 https://doi.org/10.3743/KOSIM.2015.32.3.29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직영전환결정에 대한 정책적인 관점에서,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하여 도서관 운영체제의 변동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해당 사안을 둘러싼 3개 연합(직영찬성, 직영반대, 위탁유지)의 신념체계와 이들의 활동을 고려하였을 때, 기본핵심신념을 공유하는 경우 정책지향학습을 통해 부차적 신념은 변화될 수 있었다. 앞으로도 도서관 정책 전반에서 공론의 장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정책추진에 있어 전략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making process by finding factors of a back-in phenomenon appeared in contracting out of public library using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The coalitions were divided into ‘agreement of direct management’, ‘opposition of direct management’ and ‘keep the contract out’. Considering their belief and activity, to share core belief could make a change of secondary belief. It suggests that activating public sphere is necessary for enforcement of their strategies throughout the library policy.

초록보기
초록

조직 커뮤니케이션은 하나의 사회적 체제인 조직에서 구성원의 정보전달 행위를 통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이며 조직구조의 한 요소이다. 목표달성의 정도와 서비스의 질을 포함하는 효과성, 만족도 등은 조직성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도서관 조직성과로 간주될 수 있는 서비스 품질은 LibQUAL+™ 모형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 커뮤니케이션을 공공도서관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 조직요소로 LibQUAL+™ 모형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조직성과로 설정하고 이들의 관계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이 차원별 서비스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8개 공공도서관의 사서 및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한 통계적 분석을 시행한다. 연구결과 도서관의 상향, 수평, 하향 커뮤니케이션은 품질의 3개 차원(서비스의 감성적 차원, 정보통제 차원, 도서관 공간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s an element of organizational structure formation; it is also a process of achieving organizational goals through the information sharing among the staff members in the organization as a social system.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composed of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Effectiveness implies service quality and the degree of goal achievement. Service quality by using the LibQUAL+™ model can be considered as an objective performance measure for librari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n public libraries on service quality as a performance measure using the LibQUAL+™ model through statistical analyses of the results from questionnaire surveys of librarieans and users in 8 public librar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 says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upward, horizontal, downward communication) affects the three elements in the library service quality, such as affect of service, information control and library as plac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관 이래 지난 10여 년간 경기도 내 공공도서관의 발전의 중심 역할을 담당해 온 경기도사이버도서관 설립을 위한 의제설정 및 정책형성과정을 킹던(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킹던에 의하면 정책 형성은 문제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 그리고 정치 흐름의 결합의 결과이며, 세 흐름이 결합될 때 열린 정책의 창을 통해 정책이슈가 정책의제로 나아간다. 이 때 정책선도자는 정책의 창에서 선호하는 대안을 제시하고 그것이 정책의 창을 통과하도록 노력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사이버도서관 정책의 의제설정과 대안의 선택 과정에서 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그리고 정책의 흐름을 분석하고 정책의 창에서 정책선도자로서의 사서전문가집단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정책형성과정의 메커니즘을 밝힘으로써 사서전문가집단이 앞으로의 도서관 정책형성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agenda setting and policy making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Gyeonggido Cyber Library, whi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in Gyeonggido since its launching, based on Kingdon’s policy streams model. According to the model, policy formation is described as the result from the convergence of the three streams, such as problem, policy and politics streams. When these streams converge on a specific time point, a policy window is created so that the issues become policy agenda. At this moment, policy entrepreneurs propose their alternatives, which have been prepared already, and try to pass it through the window. We identify coupling of the streams in the policy window and the role of policy entrepreneurs in the process of agenda setting and selection of alternatives of Gyeonggido Cyber Library policy. Suggestions are provided based on the analysis for public policy formation in public libraries domain.

14
김기영(연세대학교) ; 최윤희(연세대학교) 2012, Vol.29, No.1, pp.395-404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39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categorization of libraries into several types supports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library and also provides a framework for the practice of library management, such as planning and management. Although a 4-type categorization with public, academic, special, and school libraries is the most traditional and general approach to categorization, the definition of each type has been set enumeratively and inductively, so that it has weaknesses in its clarity between categories and in its applicability to a new environment. In this conceptual paper, deductive and analytical criteria for the 4-type categorization are suggest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needs. Implications of the suggestions about library management, and especially, the meaning and impact of stakeholders on library management are discussed. Additionally, this paper attempts to put forth a conceptual link between library and information.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공통 과목을 중심으로 교과 교사들의 2015 개정 교육과정 현장 적용 실태와 인식이 교육정보요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일반계 공립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교과(군)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 현장 적용 실태와 인식은 교육정보요구에 일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교육정보요구 부분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새로운 복본 요구 형태와 학습자료 정보원 요구 양태를 발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적 범위 내 소규모 학교도서관 컨소시엄 형성과 레퍼럴 서비스 제공, 게이트웨이 역할 수행 기능 강화 등의 학교도서관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eacher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n their educational information needs in high schools. Several in-depth interview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the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eaching common courses, such as Korean language, mathematics, English, social studies, and science, in general public high schools in Incheon, were executed for the purpose. As a result,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affected their educational information needs in part. Especially, new demands on small sized copies and learning information sources were identified which were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several improvements of school library operations, such as small sized local consortium for sharing resources and providing referral servic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gateway role of school librarie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