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제공범위확대, 검색결과: 2
초록보기
초록

인터넷시대가 되면서 정보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도서관 소장 자료 중 전자형태의 자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최신 정보자료의 신속한 입수 및 활용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시 되는 시기가 되었다. 디지털 도서관에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최신 정보자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최종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가 SDI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의 등장으로 중요성이 부각된 SDI 서비스의 국내 대학에서의 활용 현황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 분석하고, 개선방안 및 정보서비스 제공범위 확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s commercialization of the Internet has brought flood of information and the proportion of electronic source in the library collection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it is highly important for the library to quickly obtain and utilize the latest information. SDI service is expected to fulfill the needs providing the latest information swiftly and accurately to the digital library users.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current standing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SDI service in the universities of South Korea based on surveys and make a proposal on the advancement and extension of the SDI service.

2
홍현진(전남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정혜경(KDI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 이미영(성북정보문화센터) 2005, Vol.22, No.1, pp.87-104 https://doi.org/10.3743/KOSIM.2005.22.1.0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해외 비영리기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도입하기 위해 학술 데이터베이스 현황을 조사하고 그 품질을 평가한 뒤, 실제적인 도입가능성과 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지금까지 국내에서 공동 활용이 불가능한 비영어권 국가의 해외 비영리기관 소장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학술 데이터베이스와는 다른 차원의 다양한 유형의 자료 발굴 및 자료 범위 확대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하에 진행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영리기관의 상용 데이터베이스에 거의 의존해왔던 해외 정보 자료수집과정을 저비용-고효율 구조로 개선시켜, 학술 연구의 생산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academic databases of overseas nonprofit organizations, to assess their quality and to discuss whether or not it's possible to introduce them in the nation and in which way that could be done. And it's also attemp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academic databas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 nonEnglish-speaking countries in a bid to prepare a wide variety of academic materials about broader fields that would be distinguished from those offered by existing academic databases, since it's not currently possible to take advantage of academic materials possessed by such nations. The efforts by this study was expected to gather international information at a lower cost and in a more efficient way and eventually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academic research.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