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웹 정보, 검색결과: 121
111
최예진(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3, Vol.30, No.3, pp.49-70 https://doi.org/10.3743/KOSIM.2013.30.3.0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의 개선방안으로 이를 위해 국내․외 8곳의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현황을 비교분석하고, KDC, DDC의 해당 주제 분류항목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의 이용에 대한 이용자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원칙을 수립하고,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설계안을 개발한 후, 실무자와 전문가 평가를 받아서 건강이란 대분류 아래 11개의 중분류 항목과 60개의 소분류 항목, 16개의 세분류 항목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터넷 서점은 물론 웹상에서 건강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류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and compare current state of subject directories of the health field in eight internet bookstores in domestic and abroa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KDC and DDC, using names of subdivisions within the health field of internet bookstore. Also, user interviews to find their information needs about the health field in internet bookstore were conducted. And then, based up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a design principle and a new classification for the health field of internet bookstores. With evaluations of the experts from the field, a final classification schedule (1 class, 11 division, 60 subdivision, and 16 section)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a foundation of classifying health resources efficiently in internet bookstores and other web sites.

112
이현실(원광대학교) ; 한성국(원광대학교) 2004, Vol.21, No.2, pp.249-267 https://doi.org/10.3743/KOSIM.2004.21.2.249
초록보기
초록

MARC는 목록 데이터를 상세하게 정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개념요소가 구조화 되어 있지 않고 표현체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단순 계층구조의 의미 어휘 체계를 지원하는 XML DTD나 RDF/S로는 그 구조를 모델화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MARC의 데이터 요소를 추상화하여 목록 데이터의 개념 구조를 표현하는 서지 온톨로지를 구축하였으며, 개념간의 논리 관계와 프로퍼티의 카디널리티 및 프로퍼티 값에 대한 논리적 제한을 부가할 수 있는 OWL을 이용하여 MRAC 필드의 복합 구조를 모델링하여 구축한 목록 온톨로지를 구현하였다. 온톨로지 언어를 이용한 MARC 데이터를 기술 방법은 목록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 구성과 목록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적 방안이 되며, 시맨틱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문헌 정보서비스 시스템 구현의 토대가 될 것이다.

Abstract

Although MARC can define the detail cataloguing data, it has complex structures and frameworks to represent bibliographic information. On account of these idiosyncratic features of MARC, XML DTD or RDF/S that supports simple hierarchy of conceptual vocabularies cannot capture MARC formalism effectively. This study implements bibliographic ontology by means of abstracting conceptual relationships between bibliographic vocabularies of MARC. The bibliographic ontology is formalized with OWL that can represent the logical relations between conceptual elements and specify cardinality and property value restrictions. The bibliographic ontology in this study will provide metadata for cataloguing data and resolve compatibility problems between cataloguing systems. And it can also contribute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bibli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ing semantic Web services.

초록보기
초록

개방형 네트워크인 인터넷의 확산과 웹(Web)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전자문서가 생산 및 유통되고 있다. 전자문서(e-Document)는 문서를 생산한 기관에서 일련의 행위를 유발하기 위한 정보 또는 내용을 포함하는 기록물의 일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자문서의 안전한 이용 및 유통을 위하여 요구되는 보안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특히, 제안된 방법은 전자문서의 진본성(Authenticity), 신뢰성(Reliability), 무결성(Integrity)을 보장하기 위한 전자서명의 생성과 이용자의 정당성 확보를 위한 인증과정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보안성과 저장성에 있어서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스마트카드를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높은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 및 신뢰성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Abstract

With explosive growth in the area of the Internet and IT services, various types of e-documents are generated and circulated. An e-Document is a sort of electronic records which a organization performs works and goals. In this study, we propose a security algorithm for secure use and distribution of e-documents. Especially,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generate digital signature which can guarantee authenticity, integrity, confidentiality of an e-document and authenticate authorized users. Also, we can get higher security level as using a smart card that provides highly storing capacity and security. We carried out an experiment to verify efficiency and security of the proposed method.

초록보기
초록

웹의 보도기사에 관한 자동요약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담화구조와 지식기반 기법을 적용한 글구조 프레임과 제 규칙들을 작성하였다. 프레임에는 문단과 문장 및 절의 역할, 문단과 문장의 성질, 역할을 구분하는 판별규칙, 주요문장 발췌규칙, 그리고 요약문작성규칙 슬롯이 포함되었다. 문맥정의, 고유명사 등을 안내하는 ‘if-needed'와 변화된 슬롯 값을 알려주는 if-changed 패싯도 구비되었다. 슬롯이나 패싯의 실제 값들을 추출 표현하는 과정에서 문구의 수사적 역할과 단어 최상위 범주 및 줄거리 단위를 참조하였다. 의미흐름의 연결성을 유지하면서 요약 문장들을 통합, 분리, 합성하는 재구성은 유사도공식, 구문정보, 담화구조와 지식기반 방법에서 도출한 제 규칙 및 문맥정의를 이용하였고 비평과 같은 새로운 문장을 생성하였다.

Abstract

The writings frame and various rules based on discourse structure and knowledge-based methods were applied to construct the automatic Ext/Sums (extracts & summaries) system from the straight news in web. The frame contains the slot and facet represented by the role of paragraphs, sentences, and clauses in news and the rules determining the type of slot. Rearrangement like Unification, separation, and synthesis of the candidate sentences to summary, maintaining the coherence of meanings, were also used the rules derived from similar degree measurement, syntactic information, discourse structure, and knowledge-based methods and the context plots defined with the syntactic/semantic signature of noun and verb and category of verb suffix. The critic sentence were tried to insert into summary

초록보기
초록

기본의미등록기(BSR)는 전자상거래 및 EDI 관련 시스템 사이의 상호연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등록기이다. XML 기반 BSR 등록개체들의 구조정보나 다양한 관계의 자동추출은 현재 불가능하다. 이 연구에서는 BSR에 등록되는 정보를 자원기술-프레임웍(RDF)과 웹온톨로지언어(OWL)에 기반하는 기계가독형으로 정의한 대표적인 예를 제시하고 결론적으로 5개의 기본 권고안을 도출하였다. 즉 BSR 컴포넌트 소속의 클래스 정의에서 동의어의 표현에는 OWL의 'sameAs', 유사어 표현에는 OWL의 'equivalenlClass', BSR 개념들 간의 상.하 관계 표현은 RDF 스키마의 'subClassOF', BSR의 의미단위(BSU)에 관한 정의는 RDF 스키마의 'label', 인스턴스 용례에 관한 설명은 RDF 스키마의 'comment', 각 BSU의 클래스 소속에 관한 정의는 RDF 스키마의 'domain', BSU가 취할 수 있는 데이터유형에 대한 정의는 RDF 스키마의 'range'등을 적용하며, 나아가 BSR 데이터요소의 정의에 XML 스키마의 데이터 유형을 접목시키고 BSU들 간의 상.하 관계 표현에 RDF 스키마의 'subPropertyOF'를 적용할 것을 추천하였다.

Abstract

The Basic Semantic Register(BSR) is and official ISO register designed for interoperability among eBusiness and EDI systems. The entities registered in the current BSR are not defined in a machine-understandable way, which renders automatic extraction of structural and relationship information from the register im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a framework for designing an ontology that can provide semantic interoperability among BSR-based systems by defining data structures and relationships with RDF and OWL, similar meaning by the 'equivalentClass' construct in OWL, the hierachical relationships among classes by the 'subClassOf' construct in RDF schema, definition of any entities in BSR by the 'label' construct in RDF schema, specification of usage guidelines by the 'comment' construct in RDF schema, assignment of classes to BSU's by the 'domain' construct in RDF schema, specification of data types of BSU's by the 'range' construct in RDF schema. Hierarchical relationships among properties in BSR can be expressed using the 'subPropertyOf' in RDF schema. Progress in semantic interoperability can be expected among BSR-based systems through applications of semantic web technology suggested in this study.

116
박재신(연세대학교) ; 정영미(연세대학교) 2010, Vol.27, No.3, pp.83-102 https://doi.org/10.3743/KOSIM.2010.27.3.0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구적 환경문제의 해결 방식으로서 환경과학 분야의 학술활동과 같은 학문적 접근 방식과 환경 NGO 중심의 환경운동과 같은 실천적 접근 방식을 두 가지 주요 흐름이라 보고, 이들 각각의 특성을 계량정보학적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비교하였다. 지난 10년 간 환경과학 분야에서 인용된 저널의 주제범주 간 동시인용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이 분야의 지식 구조를 파악하였고, 환경 NGO의 웹 사이트에서 수집된 외부링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들의 관심 분야를 확인하였다. 또한 저널 논문과 NGO 뉴스에서 추출된 핵심어를 이용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해 하위 주제를 파악하여 이들 간의 주제적 유사성과 상이성을 구체화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wo major approaches to solving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an academic approach including scholarly activities of environmental sciences and a practical approach of environmental movements led by NGOs-by employing informetric analysis methods. Knowledge structure of environmental sciences is depicted through co-citation networks of subject categories assigned to the cited journals in the discipline of environmental sciences for the 10-year period from 2000 to 2009. Furthermore, major interests of environmental NGOs a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external link data collected from web sites of the NGOs. Co-word analyses are also performed using the texts of journal papers in environmental sciences as well as news articles provided by NGO sites. Through the analyses, dominant subject areas of environmental sciences and environmental movements are identified demonstrat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pproaches.

117
곽승진(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오상희(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 김정택(배재대학교 학술정보팀 팀장) ; 노지윤(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2020, Vol.37, No.4, pp.27-60 https://doi.org/10.3743/KOSIM.2020.37.4.0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 제안되는 세종시립도서관 정보서비스 및 프로그램은 국내 지역대표도서관 및 해외도서관 사례들을 종합하여 제안한다. 제안의 특징으로 첫째, 세종시립도서관에서 제공가능한 정보서비스를 영역별, 이용자별, 자료 유형별, 매체별, 협력기관별 등으로 다양하게 제안한다. 둘째, 생애주기별 이용자프로그램을 강화하여 독서토론, 독서체험, 독서 이벤트 등의 다양한 연령별․관심별 독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성인, 어린이, 가족프로그램 등 세종시 인구 특성을 반영한 이용자 기반의 프로그램을 강화한다. 셋째,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을 확보하여 활용한다. 넷째, 세종시립도서관에서 개발한 독서 프로그램을 지역 도서관과 협력하여 홍보 및 공유한다. 다섯째, 세종시 지역주민의 봉사 활동 및 재능 기부 등의 참여를 유도한다. 여섯째, 도서관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등을 활용한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제안하고, 이용자와의 상호 협력 채널을 개발한다.

Abstract

Sejong City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and programs proposed in this study are proposed by combining cases of local representative libraries and overseas libraries. As a feature of the proposal, first,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Sejong City Library are proposed by area, by user, by data type, by media, by partner institution, etc. Second, by reinforcing user programs for each life cycle, various reading programs by age and interest, such as reading discussion, reading experience, and reading events, are provided. Reinforce user-based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ejong City’s population, such as adult, child, and family programs. Third, secure and utilize maker space space. Fourth, the reading program developed by the Sejong City Library is promoted and shared in cooperation with local libraries. Fifth, induc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Sejong City, volunteer activities and talent donation. Sixth, propose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using library websites and social media, and develop channels for mutual cooperation with user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ALA의 American Libraries 웹사이트에서 제시한 도서관 서비스 향상과 직원의 커뮤니케이션 및 협력 증진에 활용할 수 있는 10가지 방법에 대한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25개 대학도서관의 156명의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0가지 방법에 대한 각각의 필요성과 효과성, 난이성, 발전가능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10가지 방법 중에는 도서관 직원을 위한 지속적 기술훈련 프로그램 제공하기와 이용자에게 맞춤형 개인화서비스 제공하기, 이용자에 대한 도서관 공지사항을 문자메시지로 전송하기가 필요성과 효과성이 모두 높다. 둘째, 10가지 방법에 대한 난이도는 이용자에게 맞춤형 개인화서비스 제공하기와 특수주제별 위키 작성하기, 도서관 직원을 위한 지속적 기술훈련 프로그램 제공하기의 순으로 높다. 셋째, 10가지 방법에 대한 발전가능성은 도서관 직원을 위한 지속적 기술훈련 프로그램 제공하기와 도서관 홈페이지의 최신정보를 자동으로 트위터에 전송하기의 순이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determine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academic librarians of ten technological tools as outlined in American Libraries. Towards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56 academic librarians in 25 Korean university libraries.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o determine both the viability and level of acceptance of the ten technological proposals in question. Conclusions drawn after analyzing the responses to the survey were as follows: 1) Customer service can be improved by first drawing up a list of technological skills required for staff members. Methods to develop the cataloging service to more closely match individual user preferences and the use of SMS to send alerts proved to be the proposals, of the ten that were proposed, that not only bore the greatest necessity but also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once they were implemented. 2) Proposals that proved to be the most difficult to implement were: Using technology to improve the cataloging service to make it more capable of evolving according to the individual preferences of users; the special event wiki for users; and improvements in customer service arising from identifying and drawing up a list of technological skills required for staff members.

119
김성훈(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도슬기(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삼균(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19, Vol.36, No.2, pp.153-174 https://doi.org/10.3743/KOSIM.2019.36.2.1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중등 교육자원 아카이브가 부재한 상황에서 기초조사의 성격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는 웹조사와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의 초․중등 교육자원의 관리 현황 및 교육자원의 유형을 파악, 이용자를 대상으로 자원의 가치에 따른 아카이빙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조사 수행, 전문가 워크샵을 통해 우선순위 선정 및 교육자원 아카이브 체계 구축의 당위성에 대한 토론 및 의견수렴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국내의 초․중등 교육자원은 공공과 민간의 영역에서 많은 양이 생산되나 산발적으로 관리되며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아 이용에 불편함이 있는 상황이다. 교육자원의 유형 추출 및 우선순위 선정 결과,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사례정보, 교육과정 관련자원, 교과서 등이 보존해야 할 가치가 높은 교육자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교육자원이 가진 가치와 아카이브 수행 기관의 당위성을 근거로 국가적 차원의 교육자원 아카이브 체계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자원 아카이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단초로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basic facts on educational resources in Korea and see how educators have managed their tasks without educational resource archives. The research had the following steps: 1) finding out how the current state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resources is managed and type of educational resources via Web search and literature review, 2) conducting a survey to determine archiving priorities according to the value of resources to the users, and 3) engaging in a discussion with experts on merits of establishing an educational resource archive system. Due to sporadic management and restricted use of educational resources produced in Korea,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resources are not easily available to the public even thoug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produce significant amount of resources. The survey result on preferred educational resource types for archiving showed the following top three: 1) actual case studies conducted in the field, 2) curriculum related resources, and 3) various textbooks adopted. Considering the value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the necessity of archiving agencies, the experts recommended to set up a national archiving system of educational resources. This study hopes to raise awareness of the need to set up educational resource archives as a start.

120
김나연(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석사) ; 정은경(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0, Vol.37, No.4, pp.1-26 https://doi.org/10.3743/KOSIM.2020.37.4.001
초록보기
초록

오늘날 점차 데이터 집약적으로 변모하는 학문 환경 속에서 데이터는 연구부산물이 아닌 연구성과물로써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기반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공급의 확대나 접근가능성의 확보만으로는 실제적인 데이터 재이용을 담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술연구자의 데이터 재이용 행위와 데이터요구를 심층적으로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자의 주요 데이터 재이용 행위와 데이터요구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의 최근 3개년 데이터 재이용문헌 중 KCI 등재 논문의 저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인터뷰를 수락한 연구자 12명과의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심층면담 분석결과, 데이터를 재이용하는 요인은 개인적, 경제적, 기술적, 사회적 측면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데이터 재이용 목적에 따라 데이터 그 자체를 이용하거나 데이터가 지닌 맥락정보를 활용하였다. 웹 기반의 정보원으로부터 데이터를 주로 습득하였으나 비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파악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데이터 재이용 시에 발생하는 학술연구자의 데이터요구를 살펴보면 생산 단위는 기관을, 언어는 영어를, 국가로는 미국을 선호하였다. 또한 조사원 기입식 대인면접 조사 방식으로 수집된 양적 데이터를 우선시하였다. 메타데이터와 식별정보를 충분히 포함한 원자료 수준의 데이터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접근 및 이용이 통제된 데이터는 데이터가 지닌 가치에 대한 확신을 갖기 어려워 부정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데이터의 규모나 최신성과 관련된 선호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선택 가능한 유사 데이터가 부재하였기 때문이었다.

Abstract

In today’s increasingly data-intensive academic environment, data is becoming the foundation of academic communication as a research outcome rather than a research by-product. However, there is a limit to guaranteeing actual data reuse only by expanding the data supply or securing accessibility. In order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ata reuse behavior and data needs in-depth.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major data reuse behavior and data needs among researchers. To this end, the authors of KCI papers among the data reuse documents of the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KOSSDA) for the past 3 years were targete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2 researchers who accepted the interview. As a result, factors considered when reusing data were personal, economic, technical, and social aspects, and it was found that the data itself was used or contextual information of the data was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data reuse. The path to acquiring data is a web-based source of information, and a path through informal communication can also be found. In terms of the data needs, it was found that they prefer English, the United States, and institutional producers. Also they have a clear preference for quantitative data from an interviewer-filled interpersonal interview survey method, rich metadata along with raw data, and data that contai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However, due to the lack of confidence in the value, it is negative for the use of data with controlled access and use, and it is difficult to confirm a clear preference because there is no similar data available for selection in terms of size and freshnes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