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contents, 검색결과: 206
131
황상규(국방연구원) ; 오경묵(숙명여자대학교) ; 윤세진(엔피아 시스템즈) 2002, Vol.19, No.2, pp.159-179 https://doi.org/10.3743/KOSIM.2002.19.2.159
초록보기
초록

웹 정보체계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정보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인터넷 정보를 기술하고 있는 서로 다른 메타데이터 표준들간의 상호운용성 문제가 점차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IFLA의 FRBR, INDECS, ABC 모델 등의 상호연동 모델들을 비교·분석함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메타데이터간의 상호연동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상호운용성 모델을 개발, 제안하였다. 리소스모델의 기본·메타데이터 항목 요소들로부터 중심이 되는 개체(core entity)와 이와 연관된 주요 사건(core event)들을 식별하고. 이를 리소스중심 중간모델과 이벤트중심 중간모델로 변환(swapping)하는 과정을,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이들 모델간 전환 방법을 명확하게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Dublin Core, MARC. IFLA-FRBR user communities are developing international standards for describing textual, physical and audiovisual resources to enable their resources discovery over the Internet. Therefore the metadata interoperability Problem has been exacerbated by the need for more complex metadata descrip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chanism for metadata interoperability based on the new semantic web applications : IFLA-FRBR framework, INDECS metadata and an event-aware ABC models. This study introduces a new approach method which is essential to the generation of interoperable metadata description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multimedia contents.

132
오경묵(숙명여자대학교) ; 노영진(서울시 남산도서관) 2003, Vol.20, No.3, pp.261-276 https://doi.org/10.3743/KOSIM.2003.20.3.261
초록보기
초록

시민의 정보화 수준 향상을 위해 현재 서울특별시립의 공공도서관에서는 디지털 자료실을 개실하여 인터넷과 DVD 위성방송 등 다양한 전자정보원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컨텐츠들로 서비스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립 공공도서관 디지털 자료실의 활성화를 위해, S 도서관 전자정보실을 대상으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여 디지털 자료실의 운영을 보다 체계화하여 정보서비스를 활성화하며, 궁극적으로 보다 많은 이용자를 확보하여, 이용률을 높이고 공공도서관의 정보서비스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Seoul City has been operating 17 public libraries to bridge the digital gap in the information society. Digital collection that has used recently, is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and information sources such as Internet. DVDs, satellite broadcasts and plan to offer service with more contents in the near future. In an attempt to facilitate the use of digital archives in public libraries in Seoul, this study thus applies marketing strategy to Electronic Information Center in the S Library and techniques can contribute a dynamic approach to total strategy development for library professionals that will ensure effective management and the achievement for their goals.

133
이란주(동덕여자대학교) ; 신윤희(동덕여자대학교) 2002, Vol.19, No.4, pp.163-183 https://doi.org/10.3743/KOSIM.2002.19.4.1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 번 방문한 이용자들의 방문횟수를 계속해서 유지시켜줄 수 있는 패션잡지 사이트의 구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용자들이 사이트들을 쉽게 방문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홈페이지의 구성이 이용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느냐에 따라 많이 작용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운영중인 웹 패션잡지 7개를 선정하여 웹기반의 패션잡지의 이용 편리성을 콘텐츠, 디자인, 네비게이션, 서비스 측면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40명의 10·20대 남녀 피험자들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서 7개의 웹 패션잡지를 탐색하게 한 후에 최종 이용자의 행태를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콘텐츠, 디자인, 네비게이션, 서비스 측면에서 제공할 수 있는 패션잡지의 효과적인 웹사이트 모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features of web fashion magazines and to suggest an effective website model for them. Seven web fashion magazines were analyzed. The evaluating criteria included: contents, design, navigation, and services. In addition, online-questionnaires were sent to 40 end users to obtain the information regarding user behaviors on the elected web fashion magazines. The results show that a suggested model should include various aspects: 1) providing currents information. 2) consistency in design, 3) easy in navigation, and 4) searching function etc.

134
최시영(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경진(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조교수) 2024, Vol.41, No.1, pp.85-105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08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ugmented Reality (AR) is a mix of the real world that is enhanced by virtual objects from computer-generated information. AR is currently used in a variety of information systems and library services. AR technologies are also being developed for today’s children, who are digital natives and are exposed to various technologies even earlier. To assist librarians who need to accurately understand users’ information needs and perceptions of the technology being used in their libraries, we conducted a study of AR perceptions among children. We conducted two online co-design sessions using “Would you rather?”, a co-design technique that facilitates research into children’s opinions. Through the co-design sessions, we found that children were psychologically wary about AR technology due to a lack of trust in the technology, and realis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se judgments. We also identified that children considered AR technology environments as an extension of the real world. Their real-world values directly influenced their perceptions of AR. This research provides insights into the wariness that libraries need to be aware of when developing AR content for children in the future, and how libraries can use AR as an educational tool.

135
김선욱(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이혜경(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용구(경북대학교) 2023, Vol.40, No.2, pp.183-209 https://doi.org/10.3743/KOSIM.2023.40.2.18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ChatGPT가 도서의 표지, 표제지, 판권기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성한 더블린코어의 품질 평가를 통하여 ChatGPT의 메타데이터의 생성 능력과 그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90건의 도서의 표지, 표제지와 판권기 데이터를 수집하여 ChatGPT에 입력하고 더블린 코어를 생성하게 하였으며, 산출물에 대해 완전성과 정확성 척도로 성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전체 데이터에 있어 완전성은 0.87, 정확성은 0.71로 준수한 수준이었다. 요소별로 성능을 보면 Title, Creator, Publisher, Date, Identifier, Right, Language 요소가 다른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성능을 보였다. Subject와 Description 요소는 완전성과 정확성에 대해 다소 낮은 성능을 보였으나, 이들 요소에서 ChatGPT의 장점으로 알려진 생성 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DDC 주류인 사회과학과 기술과학 분야에서 Contributor 요소의 정확성이 다소 낮았는데, 이는 ChatGPT의 책임표시사항 추출 오류 및 데이터 자체에서 메타데이터 요소용 서지 기술 내용의 누락, ChatGPT가 지닌 영어 위주의 학습데이터 구성 등에 따른 것으로 판단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ublin Core metadata generated by ChatGPT using book covers, title pages, and colophons from a collection of books. To achieve this, we collected book covers, title pages, and colophons from 90 books and inputted them into ChatGPT to generate Dublin Core metadata. The performance was evaluated in terms of completeness and accuracy. The overall results showed a satisfactory level of completeness at 0.87 and accuracy at 0.71. Among the individual elements, Title, Creator, Publisher, Date, Identifier, Rights, and Language exhibited higher performance. Subject and Description elements showed relatively lower performance in terms of completeness and accuracy, but it confirmed the generation capability known as the inherent strength of ChatGPT. On the other hand, books in the sections of social sciences and technology of DDC showed slightly lower accuracy in the Contributor element. This was attributed to ChatGPT’s attribution extraction errors, omissions in the original bibliographic description contents for metadata, and the language composition of the training data used by ChatGPT.

136
홍현진(전남대학교) ; 정준민(전남대학교) ; 강미희() ; 정대근(전남대학교) 2003, Vol.20, No.2, pp.285-318 https://doi.org/10.3743/KOSIM.2003.20.2.2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가과학기술문헌센터 건립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수립하는 것으로서 국가과학기술 문헌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부합한 적정규모의 최적모형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 과학기술문헌센터의 기능 중 건물 규모 산출과 설비를 위해 자료공동보존소로서의 콘도미니엄 프로그램 개발과 하이브리드 도서관, 클리어링하우스 등의 기능과 역할을 검토하고, 이에 따라 국가과학기술문헌센터 건물의 공간구성 프로그램 국가과학기술문헌센터의 계획 대지 현황분석과 기본구상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theoretical base and guideline for the national scientific and techmical information ivfrastructure of the national scientific technology. And the obh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i strengthen the need of the building of the 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and provide operation programs and vision toward information center which will be established later. This study suggesrs a plan and strategy which make it possoble to conduct functions asthe national repository, clearinghouse, and portal gateway of the electronic resource and propose apace program fpr the optimal building construction. Therefo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ver the building of the 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as well as the basic plan of scale and space progran, validity analysis of site location and environment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의견이나 감정을 담고 있는 의견 문서들의 자동 분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념색인의 하나인 잠재의미색인 기법을 사용한 분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수집한 1,000개의 의견 문서는 500개씩의 긍정 문서와 부정 문서를 포함한다. 의견 문서 텍스트의 형태소 분석을 통해 명사 형태의 내용어 집합과 용언, 부사, 어기로 구성되는 의견어 집합을 생성하였다. 각기 다른 자질 집합들을 대상으로 의견 문서를 분류한 결과 용어색인에서는 의견어 집합, 잠재의미색인에서는 내용어와 의견어를 통합한 집합, 지도적 잠재의미색인에서는 내용어 집합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의견 문서의 자동 분류에서 용어색인 보다는 잠재의미색인 기법의 분류 성능이 더 좋았으며, 특히 지도적 잠재의미색인 기법을 사용할 경우 최고의 분류 성능을 보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pply latent semantic indexing(LSI) techniques for efficient automatic classification of opinionated documents. For the experiments, we collected 1,000 opinionated documents such as reviews and news, with 500 among them labelled as positive documents and the remaining 500 as negative. In this study, sets of content words and sentiment words were extracted using a POS tagger in order to identify the optimal feature set in opinion classification. Findings addressed that it was more effective to employ LSI techniques than using a term indexing method in sentiment classification. The best performance was achieved by a supervised LSI technique.

138
한승희(일본 Keio University) ; 정영미(연세대학교) 2004, Vol.21, No.3, pp.251-267 https://doi.org/10.3743/KOSIM.2004.21.3.251
초록보기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the local level knowledge structure of a single document, similar to end-of-the-book indexes and table of contents of printed material, through the use of term clustering and cluster representative term selection. Furthermore, it aims to analyze the functionalities of the knowledge structure, and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se methods in user-friendly information services. The results of the term clustering experiment show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Ward's method was superior to that of the fuzzy K-means clustering method. In the cluster representative term selection experiment, using the highest passage frequency term as the representative yielded the best performance. Finally, the result of user task-based functionality tests illustrate that the automatically generated knowledge structure in this study functions similarly to the local level knowledge structure presented in printed material.攀***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의 일부를 요약한 것임.*** 日本 慶應義塾大學(Keio University) 圖書館情報學科 訪問硏究員(libinfo@yonsei.ac.kr)****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ymchung@yonsei.ac.kr) 논문접수일자 : 2004년 8월 17일 게재확정일자 : 2004년 9월 10일攀攀

Abstract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첨단기술을 적용한 디지털도서관서비스들을 발굴하고 이러한 기술과 서비스의 국내 도서관 적용가능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차세대디지털도서관을 논하고 있는 주요 논문을 검토할 뿐만 아니라 기술관련 기사 및 논문 등 미래의 도서관에 응용될 수 있는 주요 기술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차세대디지털도서관의 핵심적인 기술, 개념, 도구는 클라우드서비스, 무한창조공간, 빅데이터, 증강현실, 상황인식기술, 구글글래스, 혁명적 디스플레이기술, 개방형의 연결된 콘텐츠제공방식이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이나 개념을 적용한 구체적인 사례들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to identify digital library services applying cutting-edge technologies, and attempt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se technologies and services to domestic libraries. To this end, we reviewed main research which discusses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ies, and examined thoroughly main technologies which can be applied to future libraries. As a result, the core technologies, concepts, and tools of the next generation of digital library are: cloud services, space for infinite creating (makerspace), big data, augmented reality, context-aware technologies, Google-glass, a revolutionary display technology, open linked-content-offering method, and so on. Specific cases of libraries already utilizing these technologies are also discussed.

140
남영준(중앙대학교) ; 서현정(중앙대학교) ; 김규환(중앙대학교) 2011, Vol.28, No.4, pp.201-220 https://doi.org/10.3743/KOSIM.2011.28.4.20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토목공학분야 연구자들이 참조하는 정보원의 유형을 인용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주요 인용정보원은 학술지(55.7%)와 단행본(15.6%)과 회의자료(10.2%) 순이었다. 2)출판 후 10년 이내(26.1%)의 문헌을 가장 많이 인용하였다. 3)핵심학술지는 국내학술지였으며, 상위권 핵심학술지 선호도에서도 국내와 국외문헌의 의존도가 유사하였다. 4)최신자료의 경우 국내문헌을, 출판 이후 경과시간이 오래된 자료의 경우 국외문헌을 선호하였다. 5)국내외 모든 핵심학술지들이 영향력 지수와 즉시성 지수의 값이 동시에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ypes of primary sources cited by South Korean civil engine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rimary sources by preference are academic journal (55.7%), book (15.6%), seminar contents (10.2%). 2) documents published within last 10 years (26.1%) are cited most often. 3) domestic journal is the primary academic journal cited, and the finding is similar in preference of top-ranked primary reference (domestic and foreign combined). 4) In terms of time, domestic sources are preferred for up-to-date publications, and foreign sources for relatively non-recent publications. 5) The indices of influence and extemporaneity for both domestic and foreign sources do not show high numbers simultaneously.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