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contents, 검색결과: 2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첨단기술을 적용한 디지털도서관서비스들을 발굴하고 이러한 기술과 서비스의 국내 도서관 적용가능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차세대디지털도서관을 논하고 있는 주요 논문을 검토할 뿐만 아니라 기술관련 기사 및 논문 등 미래의 도서관에 응용될 수 있는 주요 기술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차세대디지털도서관의 핵심적인 기술, 개념, 도구는 클라우드서비스, 무한창조공간, 빅데이터, 증강현실, 상황인식기술, 구글글래스, 혁명적 디스플레이기술, 개방형의 연결된 콘텐츠제공방식이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이나 개념을 적용한 구체적인 사례들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to identify digital library services applying cutting-edge technologies, and attempt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se technologies and services to domestic libraries. To this end, we reviewed main research which discusses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ies, and examined thoroughly main technologies which can be applied to future libraries. As a result, the core technologies, concepts, and tools of the next generation of digital library are: cloud services, space for infinite creating (makerspace), big data, augmented reality, context-aware technologies, Google-glass, a revolutionary display technology, open linked-content-offering method, and so on. Specific cases of libraries already utilizing these technologies are also discussed.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용자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수학습지도안 개발을 위해 문헌조사를 통하여 초등학교 3, 4학년을 이용자교육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용자교육 내용으로 오리엔테이션 교육을 도출하였다. 교수학습지도안에 적용할 학습모형으로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교육 참여와 교수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Jonassen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모형을 선정하였다. 교수학습지도안 개발을 위해 먼저 구성주의 학습환경 모형을 분석하고 이용자교육에 적용하여 이용자교육 학습환경과 교수활동을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유용성과 적합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평가에서 제안된 사항을 반영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lesson plan of public library user education for children for the activation of user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lesson plan, elementary school 3rd and 4th graders were selected as user education subject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orientation were derived as contents of user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a lesson plan that applies Jonassen’s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to specifically design the librarian’s role as teacher in user education with voluntary and subjective education participation of the children. Lesson plan was evaluated in terms of usefulness and appropriateness.

143
김현희(명지대학교) ; 장우권(전남대학교) ; 곽병희(전북대학교) ; 안태경(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 Vol.22, No.3, pp.103-127 https://doi.org/10.3743/KOSIM.2005.22.3.1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두 단계를 거쳐서, 즉 리포지토리 운영에 필요한 이슈들을 제시한 SPARC 체크리스트 문헌 등을 분석하고(제 1 단계), 16개 국내외 대학의 리포지토리 운영현황을 사례 연구를 통해서 살펴본 후(제 2 단계), 리포지토리 운영에 중요한 여섯가지 요인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여섯가지 요인인 ①학내 합의 형성과 운영 체제, ②콘텐츠, ③지식 재산권, ④학내 동종 사업과의 제휴, ⑤기술과 시스템 및 ⑥도서리를 앞으로 구축할 계획 중인 대학은 물론 이미 구축된 리포지토리를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대학에 하나의 지침이 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lement the management model o f the institutional repositories for the efficient di ational knowledge focusing on the dCollection system which is operated by KERIS (service provider ). In order to build the management model, the two steps were utilized. The first step is to investigate the checklists epository implement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one is to sur vey the current status of the sixteen domestic and foreign in stitutional repositories through interviews, surveys and email hrough the two steps, the management model including six components such as content and l ibrarian role was proposed. The proposed management model will be utilized to suply guide s both to the universities which plan to build their institutional repositories and to the universities which try to promote the activities of their repositories.

144
김지수(한남대학교 정보융합연구소) ; 김성주(한남대학교 정보융합연구소) ; 박신이(한남대학교 정보융합연구소) ; 신지원(한남대학교 정보융합연구소) ; 권선영(한남대학교) 2021, Vol.38, No.2, pp.87-112 https://doi.org/10.3743/KOSIM.2021.38.2.087
초록보기
초록

최근 들어 다양한 분야에서 VR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기술 또한 급속도로 보급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공공도서관 또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VR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교육적, 문화적 기능을 고려한 VR 기반 교육문화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VR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국내․외 공공도서관 및 산업군 사례 조사 그리고 선행연구, 이론분석을 통해 적용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종합, 검토하여 공공도서관에서의 VR 기반 교육문화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VR 기반 교육문화프로그램은 향후 공공도서관에서 VR 기반 교육문화프로그램 기획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Recently, content using VR technology in various fields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technology is also rapidly spreading. Against this background, public libraries also need to provide services using VR technology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Therefore, this study drew application points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public libraries where VR programs are underway. And based on this, a final proposal is prepared after planning and reviewing VR-based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VR-based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introduce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lanning VR-based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y.

145
김성언(Rutgers University) 2006, Vol.23, No.2, pp.207-227 https://doi.org/10.3743/KOSIM.2006.23.2.20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온라인 학습과정 중 학생들의 비공식 정보 추구 행태와 그들의 비공식 정보 요구를 지원하는 온라인 학습 환경을 알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미국 럿거스 대학 평생 교육 프로그램의 온라인 학생 29명이고,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는 내용분석과 기술적 통계를 통해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초점은 온라인 학생들이 학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공식 정보를 필요로 하는 이유와 그들이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구성원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이를 해결하는 방식에 있다.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온라인 학생들의 비공식 정보 추구 행태를 지원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제안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online students informal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during their learning process and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to support their informal information nee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9 online students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Studies of Rutgers University. Data was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and was analyzed with content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his study focuses on when and why online students need human interaction to solve their learning problems and how they communicate with others to meet their informal information needs. Moreover, how online students think about their personal communication opportunities and the functions of their online learning system to support their learning problems is also examined. Finally, online students suggest the ways to effectively support personal communication needed during learning process in online learning system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 few considerations are suggested in conclusions.

146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 최윤경(이화여자대학교) 2012, Vol.29, No.1, pp.45-6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0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 도서관 서비스 제공자인 사서와 어린이 이용자의 전자책 인식 및 이용을 살펴보고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5개 어린이 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 55명을 대상으로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 서비스 현황, 개선 사항을 파악하였다. 또한 동일한 도서관의 어린이 이용자 30명을 선정하여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행태를 조사하였다. 두 집단의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행태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어린이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개선 방안으로 전자책 콘텐츠와 공간 및 시설의 충분한 제공,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인 전자책 서비스 홍보, 전자책 담당 사서의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se of e-books by librarians and children and to suggest important elements to improve e-book services at the children's libraries. User survey questionaries and interviews from fifty five librarians and thirty children were carried for the perceptions and the use of e-books at five children's libraries. Based upon the data analysis from two groups, three important elements for improving e-book services of the libraries were suggested as follows: providing enough e-book contents, facilities and spaces, developing e-book user education programs with proactive pubic relations, and providing professional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e-books to librarians.

147
이승민(Indiana University) ; 남태우(중앙대학교) ; 김성희(중앙대학교) 2006, Vol.23, No.2, pp.39-59 https://doi.org/10.3743/KOSIM.2006.23.2.0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정보접근 도구로서의 대학 웹사이트 설계를 위한 정보구조 및 카테고리 레이블을 마련하기 위해 현재 미국 문헌정보학과 웹사이트 17개를 메인메뉴구조, 하부 카테고리, 레이블링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메인메뉴구조는 현재 17개 조사대상 웹사이트에서 모두 공통으로 제공하고 있는 9개 카테고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그 다음 수준의 서브 카테고리는 9개의 카테고리의 내용의 의미를 고려해서 35개 카테고리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카테고리 레이블로 사용되는 용어는 17개 웹사이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proposed a new informational structure and category labels to fully support the functions of school websites as an access tool to its contents. The proposed model was divided into three main aspects. First, main menu structure was the primary guideline to access information embedded in a website. Therefore, The proposed main menu structure consisted of 9 categories that are commonly provided by 17 existing school websites. Second, first-level categories consisted of total 35 categories under 9 main menu categories. Each category was placed under certain categories in main menu based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 meaning of the upper level categories. Third, the proposed model adopted general and comprehensive terms as category labels. The terms used as category labels were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category labels,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terms were selected from the current school websites.

초록보기
초록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네트워크자원을 비롯한 전자자료의 급증으로 목록분야에 있어 환경이 크게 급변하고 있다. IFLA에서는 이와 같은 변화에 대응하여 전자자료와 계속자료를 위한 서지기술법으로 ISBD(ER)과 ISBD(CR)을 새로이 제정하였다. AACR의 개정을 위한 합동운영위원회(JSC: Joint Steering Committee for Revision of AACR)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2002년 AACR2R 개정판을 발간하였다.본 연구에서는 JSC를 중심으로 진행된 그 동안의 경과과정과 AACR2R 2002 개정판의 개정내용, 특히 조항 0.24의 개정의의, 서지적 자료의 구분원리, 제3장(지도자료), 제9장(전자자료), 제12장(계속자료)의 개정내용, 새로운 용어정의, 그리고 MARC 21과 KORMARC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Abstract

Due to rapid internet supply and the increase of electronic resources including network resources, there has been a sudden change in cataloguing fields. To deal with rapid changes, IFLA revised cataloguing rules for electronic and continuing resources; ISBD(ER) and ISBD(CR). JSC(Joint Steering Committee for Revision of AACR) has published the 2002 revision of Anglo-American Cataloguing Rules, Second Edition. Major changes in both content and format make the release of the 2002 revision momentous. This study is to analyze activities of JSC and rule revisions of AACR2R 2002 edition, expecially in regards with concepts of change to rule 0.24, new categories of bibliographic materials, changes to chapter 3(cartographic materials), chapter 9(electronic materials), chapter 12(continuing materials), definition of a new terminologies, changes in MARC 21 coding, and issues concerned with revision of KORMARC.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활용능력의 여러 영역 중에서 대학생이 과제를 해결하는 상황에서 정보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평가해나가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중요 문제를 규명함으로써 정보활용교육에 반영할 개선사항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대학생 9명을 대상으로 과제해결과정에서 적합성 판단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에 대해 심층면담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참여자의 의견과 부합되는 내용 정보 판단의 어려움, 신문기사의 신뢰성에 대한 판단의 어려움, 과제의 특성상 적합성 판단 시간 확보의 어려움, 적합한 정보원 판단과 과제평가결과 연관의 어려움이 주요 문제로서 분석되었다. 따라서 권장사항으로서 객관적인 적합성 판단기준의 교육, 신뢰성 있는 정보원 안내, 교수자의 참고 정보원 활용 가이드라인 제시, Big 6 4.1단계 교육의 강조 등이 제시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relevance judgement of college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uggest improvements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subjects to identify relevance judgement processes and problems. As a result, the main problems during relevance judgement processes were judgement about content of document aligned with subject’s opinion, judgement about reliability of newspaper articles, shortage of relevance judgement time due to deadline of an assignment and judgement of relationship of documents and evaluation result. The recommendations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re as follows: objective relevance judgement education, guidance of reliable information source, showing guideline of using reference information by professor and emphasis of engaging in information (4.1 stage of Big 6).

150
김희섭(경북대학교) ; 정영미(동의대학교) 2005, Vol.22, No.2, pp.165-184 https://doi.org/10.3743/KOSIM.2005.22.2.165
초록보기
초록

지식정보 사회가 점차 발전되어 감에 따라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있는 정보에 대한 가치와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정당화된 방법론이나 모델의 부재로 인하여 정보의 가치에 관련된 연구는 다소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정보의 경제적 가치 평가 모델을 제안하고, 제안된 모델을 이용하여 실제로 정보통신부의 지원사업으로 개발 운영중인 정보통신 통합정보시스템(즉, ITFIND)에서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있는 정보의 경제적 가치를 산출하였다. 경제적인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첫째, 정보의 카테고리별 이용가치와 교환가치를 측정하였고, 둘째, 이용자의 연간 수요량을 통해 정보 카테고리별 연간 일인당 CSUV와 CSEV를 산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ITFIND 전체 이용자의 연간 일인당 모평균 CSUV와 CSEV 추정을 통해 ITFIND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의 연간 경제적 가치인 CSUV와 CSEV를 산출하였다.

Abstract

Value and importance of online information are increased day by day as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s emerging. However there is little study on information assessments due to the lack of the valid methodologies and models in this field.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odel of the economic value assessments for online information and utilized it to the contents of ITFIND which is an integrated IT information system supported by the MIC(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e measured information value of ITFIND as follows: (1)both ‘use value' and ‘exchange value,' (2) annual CSUVand CSEV per person by the category of each information, and (3) annual economic value of CSUV and CSEV of ITFIND information based on it's users' annual CSUV and CSEV per person.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