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비이용, 검색결과: 49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고도화된 웹 서비스와 스마트 기기의 확산으로 인해 변화된 시스템 환경 속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와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 안정성, 네트워크 반응속도, 그리고 시스템 접근성을 중심으로 정보센터의 이용도 향상에 대한 방향 설정을 위해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이용 용이성을 중심으로 이용자의 이용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태블릿PC,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를 많이 이용하거나 관심이 높은 20대에서 30대 연령층의 114명으로 부터 설문을 받아 활용하였다. 클라우드 서비스 선호도에 대한 이용자의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이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센터의 시스템 품질특성과 관련된 요인들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최근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새롭게 고려되어야 할 정보센터의 시스템 품질특성에 대해 이용자 이용의도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w roles and services of information center that is affected by changing information technology so called cloud computing service.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hypotheses were developed to find relationships among intention to use of a cloud servic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y of use and three system quality evaluation factors such as data safety, network response time, and system accessibility. The hypotheses have been tested with 114 user surveys. This study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certain attitude and intention to use variables and system accessibility applying clouding servic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gives an insight of the evaluation and a guideline for the implementation of cloud computing services in information centers.

172
하승록(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임진희(서울특별시청) ; 이해영(명지대학교) 2017, Vol.34, No.1, pp.341-371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341
초록보기
초록

웹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현재 문서중심에서 데이터 중심으로 변화를 겪고 있으며, 그 변화의 중심에는 Linked Open Data(LOD)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에 부응하여 기록정보의 LOD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소규모 아카이브의 서비스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LOD 구축 절차를 진행하는 범례를 제시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OD 구축을 위한 5단계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 그리고 일상아카이브인 ‘인간과 기억 아카이브’의 일기 기록물 컬렉션을 수집하여, 제안된 5단계 프레임워크에 따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Protege와 Apache Jena Fuseki를 활용하여 POC(Proof of concept)를 진행하였다.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기록정보의 LOD를 구축한 뒤, 상호연결(Interlinking)과 SPARQL 검색을 통해서 외부 LOD와 연결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록정보의 LOD 구축 절차 진행과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내용정보 기술의 품질 향상, 아키비스트의 역량 고도화, 기록정보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상호연결 고도화, LOD 서비스의 수준 결정, LOD 구축을 위한 도구 선정 등, 기록관 LOD 구축을 위한 필요요건을 제시했다.

Abstract

Recently, the web service environment has changed from document-centered to data-oriented focus, and the Linked Open Data(LOD) exists at the core of the new environment. Specific procedures and methods were examined to build the LOD of records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With the service sustainability of small-scale archive in consideration, an exemplification on LOD building process by utilizing open source software was developed in this paper. To this end, a 5-step service framework for LOD construction was proposed and applied to a collection of diary records from ‘Human and Memory Archive’. Proof of Concept(POC) utilizing open source softwares, Protege and Apache Jena Fuseki,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posed 5 step framework. After establishing the LOD of record information by utilizing the open source software, the connection with external LOD through interlinking and SPARQL search has been successfully performed. In addition, archives’ considerations for LOD construction, including improvement on the quality of content information, the role of the archivist, were suggest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btained through the LOD construction process of records information.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 대학도서관의 신착 도서 리스트 중 사회 과학 분야 6,253권에 대해 목차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분류를 적용하였다. 분류기는 kNN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자동 분류의 범주로 도서관에서 도서에 부여한 DDC 300대 강목을 사용하였다. 분류 자질은 도서의 서명과 목차를 사용하였으며, 목차는 인터넷 서점으로부터 Open API를 통해 획득하였다. 자동 분류 실험 결과, 목차 자질은 분류 재현율과 분류 정확률 모두를 향상시키는 좋은 자질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목차는 풍부한 자질로 불균형인 데이터의 과적합 문제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학과 교육학은 사회 과학 분야에서 특정성이 높아 서명 자질만으로도 좋은 분류 성능을 가져오는 점도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applied automatic classification using table of contents (TOC) text for 6,253 social science books from a newly arrived list collected by a university library. The k-nearest neighbors (kNN) algorithm was used as a classifier, and the ten divisions on the second level of the DDC’s main class 300 given to books by the library were used as classes (labels). The features used in this study were keywords extracted from titles and TOCs of the books. The TOCs were obtained through the OpenAPI from an Internet booksto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OC features were good for improving both classification recall and precision. The TOC was shown to reduce the overfitting problem of imbalanced data with its rich features. Law and education have high topic specificity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so the only title features can bring good classification performance in these field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모바일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 PHR) 어플리케이션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소비자 건강정보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총 27명의 대학생들이 3개월 동안 PHR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였으며, 그 경험을 바탕으로 서면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통한 예방 차원의 건강관리 및 건강 향상을 위한 동기부여와 구체적 가이드라인의 제공, 가족과의 데이터 공유 및 간병인(caregiver)의 환자 건강관리지원, 무엇보다도 환자와 의료전문가와의 상호작용 강화 등이 PHR의 혜택으로 부각되었다. 반면 근력운동과 같은 콘텐츠의 미비 내지는 타 기기와의 호환성 미흡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PHR의 도움으로 건강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소비자들은 감정적 지원을 받는가 하면, 수면장애극복, 금주, 금연, 그리고 체중감량 및 식습관의 변화 등 건강행태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동기부여가 생겼으며, 실제로 건강행태의 변화를 성취함으로써 자기효능이 증가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연구에서는 도입단계인 PHR에 대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헬스케어분야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건강 및 의료정보서비스를 모색하는데 통찰력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 (PHR) application and identifying its impacts on consumer health information behavior. For the study, twenty-seven college students used a PHR application for three months, based on which the study conducted paper-based interviews with them.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highlighted the benefits of the PHR such as supporting preventive healthcare and motivating and providing specific guidelines for healthy lifestyles by utilizing visual interface design, sharing the data with family and assisting caregivers to manage patients’ healthcare, and above all enhancing the interaction between patient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However, the study found the drawbacks of the PHR such as a lack of data entry for strength training and the incompatibility with other healthcare applications. The participants were motivated to change their health behaviors in ways such as getting rid of sleep disorders, avoiding alcohol and smoking tobacco, and losing weight, and changing eating habits. Some consumers improved self-efficacy by changing their health behaviors, while the PHR provided emotional supports to the consumers who wanted to improve their health. The present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because the study of PHR is a burgeoning area in Korea. The study provides insights for promoting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to cope with the paradigm shift of healthcare fields.

초록보기
초록

미래 도서관의 패러다임이 정보소장에서 정보접근으로 변화됨에 따라 도서관상호협력과 문헌제공서비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개별 도서관들은 자료의 구입예산을 절감하고 도서관정보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물론 이용자의 정보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한다는 점에서 문헌제공서비스의 활용은 상당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제공서비스의 효과적인 수행과 이용을 위한 국내 이용자들의 문헌제공서비스 트랜잭션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문헌제공서비스의 이용추이와 동향을 예측하고, 여기에 나타난 그들의 요구변화를 검토하여 국내 도서관 및 정보센터의 문헌제공서비스의 질적인 향상과 이용자 만족도 제고에 사용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KISTI-DDS의 실제 이용데이터를 활용하여 문헌제공서비스의 연도별, 지역별, 이용계층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자료유형별 복사추이도 관찰하였다. 또한 이용자들이 원문복사를 제공하는 복사제공기관과 원문입수방법을 검토하고 연도별, 이용계층별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age patterns of document delivery services of domestic users based on usage transaction data about photocopying services of KISTI-DDS that the most important document delivery organization in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number of processed document, type of favorite documents, ordering coverage for photocopying, delivery methods of photocopying documents for users in DDS(document delivery service) through transaction data of DDS during the past 4 years from 2000 to 2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시계열 특성을 갖는 데이터의 패턴 유사도 비교를 통해 유사 추세를 보이는 키워드를 자동 분류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대량의 웹 뉴스 기사를 수집하고 키워드를 추출한 후 120개 구간을 갖는 시계열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제안한 모델의 성능 평가를 위한 테스트 셋을 구축하기 위해, 440개의 주요 키워드를 8종의 추세 유형에 따라 수작업으로 범주를 부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분석에 널리 활용되는 동적 시간 와핑(DTW) 기법을 기반으로, 추세의 경향성을 잘 보여주는 이동 평균(MA) 기법을 DTW에 추가 적용한 응용 모델인 MA-DTW를 제안하였다, 자동 분류 성능 평가를 위해 k-최근접 이웃(kNN)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ED와 DTW가 각각 마이크로 평균 F1 기준 48.2%와 66.6%의 최고 점수를 보인 데 비해, 제안 모델은 최고 74.3%의 식별 성능을 보여주었다. 종합 성능 평가를 통해 측정된 모든 지표에서, 제안 모델이 기존의 ED와 DTW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effective method for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of keywords with similar patterns by calculating pattern similarity of temporal data. For this, large scale news on the Web were collected and time series data composed of 120 time segments were built. To make training data set for the performance test of the proposed model, 440 representative keywords were manually classified according to 8 types of trend. This study introduces a Dynamic Time Warping(DTW) method which have been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time series analytics, and proposes an application model, MA-DTW based on a Moving Average(MA) method which gives a good explanation on a tendency of trend curve. As a result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by a k-Nearest Neighbor(kNN) algorithm, Euclidean Distance(ED) and DTW showed 48.2% and 66.6% of maximum micro-averaged F1 score respectively, whereas the proposed model represented 74.3% of the best micro-averaged F1 score. In all respect of the comprehensive experiments, the suggested model outperformed the methods of ED and DTW.

초록보기
초록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 도서관은 디지털도서관 개념으로 빠르게 변모되면서 인쇄매체의 디지털화, 디지털출판물의 증가 및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이 용이해 짐에 따라 디지털저작물에 대한 불법적인 이용과 복제 및 전송이 쉽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디지털저작물의 저작권관리를 위한 저작권관영성으로 효과적인 유통 구조의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효과적인 저작권 관리를 위해서 저작권정보 구축시스템을 개발하고 저작권정보의 이용 프로세스를 구현하였다.

Abstract

In order to adapt the digital rights management community for the standardisation of expressing rights information in the libraries' content for the control of the rights of the digital work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ights information, that can build effective system of the distribution structure by the public ownership of the rights information and the interoperability of system. This research developed rights information constructing system in order to protect and enforce their rights over digital assets and embodied utilizing use-process of rights information.

178
이경화(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2, Vol.39, No.1, pp.17-44 https://doi.org/10.3743/KOSIM.2022.39.1.0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불안 요인을 분석하여 비대면 서비스가 도서관 불안해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서비스 대응 활동 사례를 살펴보고, 재학생 5,000명 이상 10,000명 이하의 국내 4년제 대학도서관에서 재학생 1인당 도서관 방문자수가 가장 높은 순위부터 40교를 선정하여 비대면 방식의 정보 서비스 및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였고, K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K-LAS를 재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이용자의 도서관 불안 요인을 분석하였다. 도서관의 물리적․환경적 요인, 자료검색선정 요인, 디지털 정보시스템 요인, 사서(직원) 요인, 심리․정서적 요인등 5가지 도서관 불안 요인과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 요인간 관계를 파악하고,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 요인이 도서관 불안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 요인들이 도서관 디지털 정보시스템 불안 요인에 가장 크게 영형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를 통하여 이용자의 도서관 불안해소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plan on the effect of non-face-to-face services on library anxiety facilities by analyzing the library anxiety factors of university library users. To this end, we look at the cases of university library user service response activities in response to the COVID-19 crisis and select 40 schools with the highest number of library visitors per student from among domestic four-year university libraries with 5,000 or more and less than 10,000 students. Methods of information service and program cases were analyzed, and K-LAS was reconstructed and surveyed for current students using the K university library,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analyze the library anxiety factors of users.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5 library anxiety factors and non-face-to-face service activation factors, such as physical/environmental factors of the library, data search selection factors, digital information system factors, librarian (staff) factors, and psychological/emotional factors, and activate non-face-to-face services.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library anxiety factors was examined,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non-face-to-face service activation factor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library digital information system anxiety facto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attempted to derive a plan to relieve users’ library anxiety by activating non-face-to-face services.

초록보기
초록

개방형 네트워크인 인터넷의 확산과 웹(Web)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전자문서가 생산 및 유통되고 있다. 전자문서(e-Document)는 문서를 생산한 기관에서 일련의 행위를 유발하기 위한 정보 또는 내용을 포함하는 기록물의 일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자문서의 안전한 이용 및 유통을 위하여 요구되는 보안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특히, 제안된 방법은 전자문서의 진본성(Authenticity), 신뢰성(Reliability), 무결성(Integrity)을 보장하기 위한 전자서명의 생성과 이용자의 정당성 확보를 위한 인증과정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보안성과 저장성에 있어서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스마트카드를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높은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 및 신뢰성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Abstract

With explosive growth in the area of the Internet and IT services, various types of e-documents are generated and circulated. An e-Document is a sort of electronic records which a organization performs works and goals. In this study, we propose a security algorithm for secure use and distribution of e-documents. Especially,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generate digital signature which can guarantee authenticity, integrity, confidentiality of an e-document and authenticate authorized users. Also, we can get higher security level as using a smart card that provides highly storing capacity and security. We carried out an experiment to verify efficiency and security of the proposed method.

180
김효윤(연수청학도서관) ; 조재인(인천대학교) 2017, Vol.34, No.1, pp.51-71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0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학부모로 구성된 어린이 도서관 이용자들 200여명이 인지하는 별치 자료간 희망 인지 거리를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과 K-means 군집분석을 활용해 비교 분석하고 이들의 인지 거리가 실제 어린이 도서관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몇 가지 사례를 통하여 검토해 보았다. 다차원척도법은 분석 대상의 유사성이나 속성 등을 평가하여 공간상에 투영시키는 기법으로 마케팅에서 주로 시장 진단을 위해 활용되지만, 제품이나 시설에 대한 이용자의 인지적 거리를 분석하여 이상적인 물리적 배치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분석 결과, 별치 자료간 인지 거리에 있어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그리고 학부모 집단간에 각각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유․아동자료와 컴퓨터자료 그리고 유아자료와 아동자료간의 인지 거리에 있어 큰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Y구의 3개 어린이도서관을 대상으로 분석된 인지 거리 체계가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확인해 본 결과, 특정 집단의 인지 체계에 완벽히 부합하는 공간 구조를 지닌 도서관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공통적으로 유․아동자료와 컴퓨터자료, 그리고 유아자료와 아동자료가 분리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학부모와 초등학생들의 인지 거리가 부분적으로 투영되어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measure recognition distance between the materials which are located separately in a children’s library targeting 200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 students, higher grade students, and school parents(adults). And compared recognition distance between the elements of materials of individual visitor group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K-mean group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is a technique for projecting the cognitive state in space by evaluating the similarity or attribute of the analysis target. Even though it is mainly used for market diagnosis in marketing, It can also be applied to present an ideal physical layout plan by analyzing the distanc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main discoverie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ze child, baby and computer materials should be adjacent as a same group. But recognition of adults(school parents) is reflected by differing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vastly. They cognize that computer materials should be formed as a special group separated from child and baby’s materials. Second, elementary school higher graders and adults(school parents) groups also want to separate their main reading materials from baby’s book, therefore They both want to secure silent reading space separating from baby. Third, as a result to confirming how this recognition distance system of materials is reflected in a real children’s library through three children’s libraries in Y-gu, Incheon, there is no library with structure according perfectly with a recognition system of a particular class, but a recognition system of adul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partially reflected because baby, child and computer materials, and baby and child materials are commonly separated and placed. It is difficult to insist that a recognition system of a visitor group, especially a recognition system of children is absolute consideration conditions in material placement of a children’s library. However, understanding cognition of the user groups can be an important evidentiary factors to offer differentiated service space according to visitors and effective placement of the elements of library resource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