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se analysis, 검색결과: 280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뉴스 기사에서 자동으로 추출된 키워드 집합을 활용하여 특정 시점에서의 세부 주제별 토픽을 추출하고 정형화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다량의 텍스트 집합에 존재하는 개별 단어들의 중요도를 측정할 수 있는 복수의 통계적 가중치 모델들에 대한 비교 실험을 통해 TF-IDF 모델을 선정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주요 키워드 집합을 추출하였다. 또한 추출된 키워드들 간의 의미적 연관성을 효과적으로 계산하기 위해서 별도로 수집된 약 1,000,000건 규모의 뉴스 기사를 활용하여 단어 임베딩 벡터 집합을 구성하였다. 추출된 개별 키워드들은 임베딩 벡터 형태로 수치화되고 K-평균 알고리즘을 통해 클러스터링 된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각각의 키워드 군집에 대한 정성적인 심층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군집들이 레이블을 쉽게 부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의미적 집중성을 가진 토픽들로 평가되었다.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ology for extracting and formalizing subjective topics at a specific time using a set of keywords extracted automatically from online news articles. To do this, we first extracted a set of keywords by applying TF-IDF methods selected by a series of comparative experiments on various statistical weighting schemes that can measure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words in a large set of texts. In order to effectively calculate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extracted keywords, a set of word embedding vectors was constructed by using about 1,000,000 news articles collected separately. Individual keywords extracted were quantified in the form of numerical vectors and clustered by K-means algorithm. As a result of qualitative in-depth analysis of each keyword cluster finally obtained, we witnessed that most of the clusters were evaluated as appropriate topics with sufficient semantic concentration for us to easily assign labels to them.

172
정은경(이화여자대학교) ; 정선영(이화여자대학교) 2012, Vol.29, No.4, pp.273-294 https://doi.org/10.3743/KOSIM.2012.29.4.273
초록보기
초록

세대적 특성과 정보기술의 발달은 이미지의 생산과 이용을 가속화한다. 본 연구는 이미지 이용자의 일상생활 맥락에서 정보요구를 분석하여 이미지 접근점 확장에 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셜 Q&A 서비스인 네이버 지식인에서 이미지를 검색하고자 하는 질문 105건을 추출하였다. 이미지 질문은 이용 목적과 이미지 속성으로 구분한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서 이용 목적은 총 8가지로, 이미지를 데이터로서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두드러졌으며, 이중에서 ‘보고그리기’는 기존 연구결과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이용 목적으로 새롭게 도출되었다. 이미지 속성에서는 의미, 비시각적, 구성 측면에서 의미와 비시각적 속성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이미지 검색과 접근에서 의미 측면의 속성은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으나,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비시각적 측면 특히, 맥락 요소의 비중은 접근점 제공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으로 볼 수 있다.

Abstract

Images have been substantially searched and used due to not only the advanced internet and digital technologies but the characteristics of a younger 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ways on expanding the access points to images by analyzing the needs of users in context of everyday lif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05 questions of image seeking in NAVER, which is one of social Q&A services in Korea,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a two-dimensional framework with image uses and image attribute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onsiderable use purposes on data oriented pole, such as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learning are identified. On the other hand, image attributes from the needs of image show that non-visual aspects including contextual attributes are recognized substantially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semantic attributes.

173
김지현(중앙대학교) ; 이정아(연세대학교) 2012, Vol.29, No.3, pp.61-77 https://doi.org/10.3743/KOSIM.2012.29.3.06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web users share on a health website and how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users reflect health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By using a content analysis method, this study analyzed 1,042 randomly chosen messages in the discussion board of a health websit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ealth website users emotionally supported other users, provided health information, and built relationships between them. Two third of the health website users shared his/her thoughts or feelings about ALS (Lou Gehrig’s Disease) on the health website and one fourth of the health website users connected with others who had ALS. A half of the users actively provided information as a direct response to a ques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iscerned with regard to total posting frequency by age and gender effect. However, the male users in the 50s answered questions to others more actively and tried to manage their life better than the other age groups.

초록보기
초록

정보시스템의 최근 개발 경향은 이용자 중심이다. 이 연구는 이용자 중심적 PDL을 개발할 때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험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개념적 모형에서는 다양한 정보입수를 위한 외부시스템과의 연계 및 시스템전반에 개인의 정신모형과 함께하는 관리형태를 가질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고, 물리적 모형에서는 연구자의 개발경험을 토대로 툴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였으며, 시스템개발에 곧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과정까지를 진행하였다.

Abstract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is study is in developing an experimental model of user-friendly PDL. This study proposes both theoretical(conceptual) and physical(operational) mocels. The thepretical model includes the analysis on various factor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factors which have a serious impacts on the design, building, and managing of PDL. And the physical model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and process which could be useful for both PDL designers and managers. also provided is the images of mahor user interfaces, of which a PDL would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basis of the proposed mocel in near future.

175
정문지(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3, Vol.40, No.4, pp.229-257 https://doi.org/10.3743/KOSIM.2023.40.4.2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독서공간으로서의 학교도서관에 주목하고 독서를 위한 학교도서관 이용 시 공간특성 요소에 대한 중학생 이용자의 인식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와 예비 연구를 통해 공간특성 요소를 선정하고 각 공간특성 요소에 대해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와 충족하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용자의 인식이 이용현황 및 학교도서관 독서활동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더불어 공간특성 요소의 인식이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4곳에 재학 중인 34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공간특성 요소 중 소통성, 다양성, 안전성, 편의성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이 이용현황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소통성, 쾌적성, 분위기가 이용자 만족도에, 심미성과 소통성이 지속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소통성, 쾌적성, 분위기는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를 매개하여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독서를 위한 공간으로서 학교도서관을 조사함으로써 학생들의 독서 지원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chool libraries when they use them for reading. We selected a set of spatial characteristics by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conducting a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n, we examined how student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and how satisfied they were with each characteristic.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students’ perceptions differ by the library uses and reading-related activities. We also studied whether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brary users affects their continued use of the libraries. We also verified whether school library user satisfaction is an intervening variable in continued-use intention, which is affected by spati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We conducted a survey of 342 students from four middle schools. The analysis of the survey outcomes shows differences in library use due to spatial characteristics such as convenience, communicability, diversity, and safety. Factors such as communicability, comfortability, and ambience affected user satisfaction positively. Both aesthetics and communicability also positively influenced the continued-use intention. Furthermore, we identified that communicability, comfortability, and ambience eventually impacted the continued-use intention via user satisfaction, an intervening variab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sidered the direction of the school library to support students’ reading by regarding the school library as a space for reading.

176
최흥식(전주대학교) ; 유평수(전주대학교) ; 정세민(전주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2015, Vol.32, No.2, pp.105-129 https://doi.org/10.3743/KOSIM.2015.32.2.1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와 조직헌신성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헌신성, 조직효과가 사서의 연령과 결혼여부 및 현 도서관 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였으며, 세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사서의 임파워먼트와 헌신성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의 공공도서관 6곳과 대학도서관 4곳을 모집단으로 하여 비확률적 표집(nonprobability sampling) 방법의 하나인 목적표집(purposeful sampling) 방법으로 표집하였으며, 총 148명의 설문을 통계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pc+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통계분석 방법은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첫째,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수준과 조직효과는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조직헌신성은 차이가 없다. 둘째,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결혼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조직헌신성과 조직효과는 차이가 없다. 셋째,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경력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조직헌신성과 조직효과는 차이가 없다. 넷째, 변인들 간의 상관에서 가장 높은 상관은 영향력과 임파워먼트 전체, 역량성과 임파워먼트 전체, 자기결정력과 임파워먼트 전체의 순으로 높다. 다섯째, 임파워먼트는 9.3%의 설명력, 헌신성은 5.6%의 설명력을 조직효과에 가지고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librarian’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librar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8 librarians of 10 libraries in Jeollabuk-do in accordance to purposeful sampling of nonprobability sampling. The statistics program that was used to achieve the purpose was SPSS pc+ 20.0. The statistics methods were used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est.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drawn from the research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First, the librarian’s empowerment leve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ke a difference by age level. But the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make no difference by age level. Second, the librarian’s empowerment level make a difference by marital status. But the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ffectiveness make no difference by marital status. Third, the librarian’s empowerment level make a difference by career in present librarian. But the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ffectiveness make no difference by career in present librarian. Fourth, Very a high correlation is influence factor and all of the empowerment, competence factor, and all of the empowerment. Fifth,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affected 9.3% by librarian’s empowerment, 5.6% by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177
유지윤(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주무관) 2020, Vol.37, No.4, pp.151-179 https://doi.org/10.3743/KOSIM.2020.37.4.1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챗봇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언택트 시대의 새로운 비대면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를 모색하고자 했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용자 요구 및 도서관 서비스를 분석하고, 적합한 챗봇 개발 방법을 선정하여 시나리오를 설계했다. 이용자 친화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챗봇의 퍼스널리티를 설계하고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여 사용성을 평가했다. 또한 챗봇의 응답정확도 평가 및 성능평가를 통해 정확도를 검증하고,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해 챗봇의 효용성을 평가했다. 챗봇 운영관리 및 서비스 품질 유지를 위해 이용자-챗봇 간의 대화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서비스를 개선했다. 챗봇 개발 과정 및 결과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도서관 챗봇 설계 및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using a library chatbot to improve the non-face-to-face digital reference services for academic library users by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library chatbot. Through data analysis, user needs and library services were analyzed, and a scenario was designed by selecting an appropriate development method. For user-friendly interaction, the personality of the chatbot and user interface was designed to evaluate its usability. In addition, the accuracy was verified through the response accuracy evalu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chatbot,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hatbot was evaluated through a user satisfaction survey. In order to manage the operation and maintain service quality, the chatbot is improved by monitoring user-chatbot conversations and reflecting user feedback. Based on these findings, recommendation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library chatbot were made to help improve library reference services.

178
이상환(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신동구(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재수(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정택영(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최진영(고려대학교) 2004, Vol.21, No.3, pp.15-29 https://doi.org/10.3743/KOSIM.2004.21.3.015
초록보기
초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선임연구원(sanglee@kisti.re.k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원(lovesin@kisti.re.k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선임연구원(jaesoo@kisti.re.kr)****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choi@formal.korea.re.k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책임연구원(tychung@kisti.re.kr) 논문접수일자 : 2004년 6월 24일 게재확정일자 : 2004년 9월 17일攀攀정보통신 및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기존의 물리적인 저작물이 디지털 콘텐츠로 급속히 전환되면서 디지털 콘텐츠 자원에 대한 접근 및 서비스 방식과 기존의 식별기호로는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을 충족시키는 식별이 미흡하고 한계가 있다. 또한, URN명세를 만족하는 DOI 식별체계도 저널, 회의자료와 같은 학술잡지형태에만 활용되고 있어 다양한 형태의 비학술잡지에 적용할 식별체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해외 주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기관의 식별체계 활용사례와 KISTI에서 소장하고 있는 학술잡지 형태 2종, 비학술잡지 형태 3종 등 5종을 분석하여 학술잡지뿐만 아니라 비학술잡지에도 적용할 수 있는 고유 식별기호를 개발하고, 고유 식별기호 기반의 전자원문 연계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고자 한다.

Abstract

With the rapid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ternet, the physical contents are transformed into digital contents at a fast rate. With the change, accessing the digital contents, the service methods and the identifier used for the digital contents are not systematic and limited for use. The DOI identifier system used for the URN is also limited to academic journals or magazines and are not adequately applicable for non-academic journal or digital contents. Therefore, we have developed a unique identifier based on the analysis made on the system adopted by foreign digital contents service institutes, two types of academic journals 3 types of non-academic journals owned by KISTI that can be adopted by non-academic journals. The identifier is to be used to design and implement a digital contents service system.

179
이승민(Indiana University) ; 남태우(중앙대학교) ; 김성희(중앙대학교) 2006, Vol.23, No.2, pp.39-59 https://doi.org/10.3743/KOSIM.2006.23.2.0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정보접근 도구로서의 대학 웹사이트 설계를 위한 정보구조 및 카테고리 레이블을 마련하기 위해 현재 미국 문헌정보학과 웹사이트 17개를 메인메뉴구조, 하부 카테고리, 레이블링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메인메뉴구조는 현재 17개 조사대상 웹사이트에서 모두 공통으로 제공하고 있는 9개 카테고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그 다음 수준의 서브 카테고리는 9개의 카테고리의 내용의 의미를 고려해서 35개 카테고리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카테고리 레이블로 사용되는 용어는 17개 웹사이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proposed a new informational structure and category labels to fully support the functions of school websites as an access tool to its contents. The proposed model was divided into three main aspects. First, main menu structure was the primary guideline to access information embedded in a website. Therefore, The proposed main menu structure consisted of 9 categories that are commonly provided by 17 existing school websites. Second, first-level categories consisted of total 35 categories under 9 main menu categories. Each category was placed under certain categories in main menu based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 meaning of the upper level categories. Third, the proposed model adopted general and comprehensive terms as category labels. The terms used as category labels were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category labels,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terms were selected from the current school websites.

180
이지연(연세대학교) ; 전정현(연세대학교) 2017, Vol.34, No.3, pp.23-48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0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시각장애인학교 도서관의 운영방향에 대한 기틀을 마련하고, 도서관 프로그램에 대한 실제 이용자의 인식정도를 반영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국내 시각장애 학교도서관 세 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시각장애인학교 도서관 프로그램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프레임워크의 적용가능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팀과 각 학교의 교사 간의 협의를 통하여 각 학교의 상황에 맞는 총 10개의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실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조사한 결과 도서관 이용 빈도, 독서량, 도서관에 대한 인식, 정보활용 및 자기주도적 학습의지의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반응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study goals are establishing a library management plan for the school for the blind in Korea and also developing a structured library program, which reflected the patron’s perception. We surveyed the students in three schools for the blind to identify their perception and usage statistics of the libraries. The analysis of the survey led to a school library program framework consisting of four type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framework, we designed ten programs to meet the needs of the schools by consulting respective school’s teachers. We administered the second survey after the classes, and we found that there were positive increases in the frequency of library use, a number of books read, perception about the libraries, amount of information used, and self-directed learning willingnes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