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Identifier, 검색결과: 12
11
박일종(계명대학교) ; 신상헌(계명대학교) 2006, Vol.23, No.1, pp.243-259 https://doi.org/10.3743/KOSIM.2006.23.1.24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 도서관들이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여러 가지 기능들을 조사하고 그 가치를 측정하였다. 이용자들의 판단을 중시하는 연구의 수행을 위해 구체적인 대학 도서관의 이용요인이나 기능이 될 수 있는 상황이나 조건들은 이용자들이 직접 설정하고 그 중요도 평가를 설문조사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첫째, 측정변수들의 관련성 및 독특성, 그리고 통계적 중요도에 따른 요인을 영역별로 나누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모형을 도출하기 위해 이분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여 판별력 향상을 검정하였다. 세 번째 분석에서는 연구모형의 독립변수들에 대해 집단간 평균차이 분석을 실시하여 집단별 변수값 등 부가적인 설명을 하였다. 분석결과, 이용자들이 대학 도서관을 활용하는 목적 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에게 끼치는 지식이나 정보 그리고 도서관 시설들을 설명하는 데에는 도서요인, 경쟁 및 효율요인, 그리고 지불(무료)요인 등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전자도서관 기능과 지불요인과의 상관성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values of various library functions according to users' points of view. To execute this study, the several 'circumstance', related variables and 'condition' variables that lead to factors or functions of academic libraries were measured.Analysis wa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In the first, factor analysis was used on the three multi variable dimensions to ensure that the groups of variables loaded significantly and uniquely on the respective dimensions. The second phase of analysis involved the use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complete research models. In the third phase, t-test was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additional explanation of the models. Books, competition & effectiveness and fee verses free (fee-free hereafter) are the three main factors that distinguish not only the purpose of using an academic library but also the degree of influence on knowledge, information and library facilities for the users. In addition, the fee-free factor related to digital library facilities was also uncovered.

12
심경(Systems R&D Center, Iris.Net) ; 정영미(연세대학교) 2006, Vol.23, No.2, pp.265-285 https://doi.org/10.3743/KOSIM.2006.23.2.265
초록보기
초록

문헌범주화에서는 학습문헌집합에 부여된 주제범주의 정확성이 일정 수준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이는 실제 문헌집단에 대한 지식이 없이 이루어진 가정이다. 본 연구는 실제 문헌집단에서 기 부여된 주제범주의 정확성의 수준을 알아보고, 학습문헌집합에 기 부여된 주제범주의 정확도와 문헌범주화 성능과의 관계를 확인하려고 시도하였다. 특히, 학습문헌집합에 부여된 주제범주의 질을 수작업 재색인을 통하여 향상시킴으로써 어느 정도까지 범주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기술분야의 1,150 초록 레코드 1,150건을 전문가 집단을 활용하여 재색인한 후, 15개의 중복문헌을 제거하고 907개의 학습문헌집합과 227개의 실험문헌집합으로 나누었다. 이들을 초기문헌집단, Recat-1, Recat-2의 재 색인 이전과 이후 문헌집단의 범주화 성능을 kNN 분류기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초기문헌집단의 범주부여 평균 정확성은 16%였으며, 이 문헌집단의 범주화 성능은 F1값으로 17%였다. 반면, 주제범주의 정확성을 향상시킨 Recat-1 집단은 F1값 61%로 초기문헌집단의 성능을 3.6배나 향상시켰다.

Abstract

In text categorization a certain level of correctness of labels assigned to training documents is assumed without solid knowledge on that of real-world collections. Our research attempts to explore the quality of pre-assigned subject categories in a real-world collec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category assignment in training set and text categorization performance. Particularly, we are interested in to what extent th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enhancing the quality (i.e., correctness) of category assignment in training documents. A collection of 1,150 abstracts in computer science is re-classified by an expert group, and divided into 907 training documents and 227 test documents (15 duplicates are removed). The performances of before and after re-classification groups, called Initial set and Recat-1/Recat-2 sets respectively, are compared using a kNN classifier. The average correctness of subject categories in the Initial set is 16%, and the categorization performance with the Initial set shows 17% in F1 value. On the other hand, the Recat-1 set scores F1 value of 61%, which is 3.6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Initial set.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