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ser studies, 검색결과: 368
201
박미향(국회도서관)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1, Vol.28, No.2, pp.195-208 https://doi.org/10.3743/KOSIM.2011.28.2.19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findings from research on the Everyday Life Information Seeking (ELIS) behaviors of Korean government officials in their 50s. 500 survey respondents participated and the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having six key concept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environment, information-seeking attitudes, online information attitudes, barriers to information seeking, retirement expectations, and library expectations. The findings showed the important relationships between expectations of the retirement and two constructs (personal information environment and information-seeking attitude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strategic implication for library practitioners to develop their library management process in accordance to the potential and powerful evolving user group in a future aged society.

초록보기
초록

정보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국가경쟁력 및 대국민 서비스 강화를 위한 공공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막대한 공공재원이 투자되는 공공정보시스템은 효율성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를 통한 존재가치의 입증 및 문제점 진단을 통한 성능개선의 요구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웹 기반 공공고용정보시스템 워크넷(Work-Net)의 데이터 및 서비스 품질을 102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측정도구는 학계에서 많이 사용해온 정보내용, 정확성, 적시성, 출력형태, 사용의 용이성, 지원성으로 구성하였으며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이용자의 특성 및 검색정보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최근 구직자들의 고용정보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공공 및 민간운영 고용정보시스템 운영체제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Abstract

A public information system is being expanded, along with the adv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provide people with better services. And there also is a growing need for the better performance of that system, as a tremendous amount of public finacial resources is invested in that. To address that need, it's required to make an evaluation of its efficiency on a regular basis to identify its problems and make it work bet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ccordingly, to examine the quality of data and services provided by the Work-Net, a Web-based public employment information syst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2 users of it, and the system was evaluated in terms of content, accuracy, timelines, display format, ease of use and customer support. For data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implement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and to see whether or not their view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they searched f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lay some foundation for intensifying the efficiency of the public and private employment information systems.

203
정준민(전남대학교) ; 박성우(광주교육대학교) 2004, Vol.21, No.4, pp.265-279 https://doi.org/10.3743/KOSIM.2004.21.4.2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의 유비쿼터스적 해석을 통해 도서관 정보서비스의 본질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질을 통해 도서관이 가져야할 정체성을 확립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정보의 유비쿼터스적 해석을 통해 정보문화사를 통한 도서관적인 행위와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유비쿼터스라함은 인간이 모든 것을 주변에 두고자 하는 욕구 상태를 현실에서 실체화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정보는 유비쿼터스 상태로 존재하며, 도서관은 유비쿼터스 상태의 확장을 통해 진화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보행위는 인류의 역사에서 계속되어지고 있으며, 도서관 관념은 도서관적 행위 즉 생산, 축적, 가공, 배포에 의해 형성되었다. 도서관의 최종적인 목적은 이용자에 대한 정보서비스라는 점이 재인식 되었고, 정보시스템과 네트워크는 응용과 내재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도서관은 유비쿼터스 상태의 확장을 통해 개별화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는 모형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research quintessence of information service in the libraries by interpreting ‘Information' as it is ubiquitous. For the purpose, it investigates and analyzes information behaviors of the libraries in information-cultural history. The meaning of ‘ubiquitous' is understood as a practice that everything we need should be inherent in our lives for its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Information is intrinsic in our lives and the librarie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have been evolved by extending the intrinsic value of information, ‘ubiquity'. Human being's history results from information behaviors and the meaning of the libraries consists of production, accumulation, organiz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libraries.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library services is for their users. Consequently information systems and technological networks in the libraries should be focused on applications and inherence for the purpose. Model studies of the libraries should be developed to user-centered information services that substantialize the interpretation of information, as it is ubiquitous. This study is a trial for defining the quintessence of the libraries. Furthermore, it provides foundation of understanding what the libraries are.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 LOD가 확산되지 못하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도서관 LOD의 발행과 구축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사례조사, 전문가 면담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개선방안은 첫째 도서관은 LOD 구축 대상의 중복을 피하고, 유일하고 특화된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서관은 이용자 요구를 반영한 LOD 서비스를 개발하고, 편리한 LOD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도서관은 데이터의 식별체계를 마련하고 전거파일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도서관은 사서나 이용자에게 데이터 개방과 연계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이를 위한 교육과 홍보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도서관은 통합 검색을 위해 LOD를 활용하고, 도서관 LOD를 검색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도서관은 LOD 발행과 활용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실무협의체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정부는 LOD 추진에 대한 지속적인 의지로 강력한 정책을 추진해야 하며, 계속해서 예산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ause and solution of the situation where library LOD does not spread after the introduction of library LOD.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and expert interviews. The improvement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is that first, the library needs to avoid the redundancy of the LOD construction target and build the only and specialized data. Second, libraries need to develop LOD services that reflect user needs and implement convenient LOD interfaces. Third, libraries need to establish identification system of data and build a authority file. Fourth, libraries ne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data opening and linking to librarians and user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publicity. Fifth, it is necessary to use LOD for integrated search and to establish an integrated platform for search of library LOD. Sixth, libraries need to strengthen cooperation for LOD issuance and utilization, and form a working-level consultative body. Seventh, the government should pursue strong policies with a continuous commitment to LOD promotion and need to continue to provide budget support.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업무의 수행 형태와 요소의 변화를 시대별(도서관1.0, 도서관2.0, 도서관3.0)로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업무를 경영관리, 장서개발 및 관리, 자료조직, 이용서비스, 정보시스템 구축 및 관리의 5개 직무로 구분한 다음 각 직무별 세부 업무에 대하여 도서관 현장의 중견 사서 및 문헌정보학 분야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학도서관의 업무가 참여, 공유, 개방(도서관2.0 시대)을 넘어서 소셜 네트워크, 시맨틱(도서관3.0 시대)의 개념이 적용되면서 업무의 수행 형태 및 요소에도 많은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2.0 시대에서 시작한 모바일, RFID, SNS, NFC 등 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도서관3.0 시대에는 이용서비스에 대한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져서 이를 지원하는 도서관 시스템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iod-specific changes (Library 1.0, Library 2.0, Library 3.0 Period) of job factors and performance features in academic libraries. For this, the study categorized an academic library’s job into five dimensions: 1) library administration 2)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3) information organization 4) information services and 5)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and management, After the categorized library’s job was defined in detail,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on librarians and professor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many changes in job factors and performance features in academic libraries towards the period of library 2.0 characterized by user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 and into library 3.0 characterized by social network and semantic web. Library 3.0 is likely to bring about a significant change in user services with ever changing technological advances stemming from library 2.0, such as mobile services, RFID and NFC etc. The finding of the study suggest that library systems need to be continually upgraded in the period of library 3.0.

206
서은경(한성대학교) ; 성혜은(한성대학교) 2007, Vol.24, No.2, pp.71-87 https://doi.org/10.3743/KOSIM.2007.24.2.071
초록보기
초록

인터넷 환경과 디지털자원의 활용환경이 빠르게 변화됨에 따라 탐색과 브라우징을 제공해주는 정보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또한 새롭게 변해가고 있다. 특히 최근에 검색 인터페이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긴 리스트의 메뉴항목을 이용자가 보다 쉽게 브라우징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각화기법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용자와 데이터 특성에 맞는 긴 메뉴항목 시각화 기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긴 리스트의 메뉴항목을 시각화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법 즉 트리구조 메뉴, 목차방식 메뉴, 롤-오버방식 메뉴, 클릭방식 메뉴, 어안렌즈방식 메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계층구조 메뉴 중에서는 전문가는 목차방식 메뉴를, 초보자는 트리구조 메뉴를 선호하고, 또 순차적 구조 메뉴 중에서는 전문가와 초보자 모두 롤-오보방식 메뉴를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With the rapid change of the Web and E-transaction application, the search interface is providing more powerful search and visualization methods, while offering smoother integration of technology with task. Especially,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long menu-lists are applied in retrieval system with the goal of improving performance in users ability to select one item from a long list. In order to review visualization techniques appropriate to the types of users and data set, this study compared the five visualization browsers such as the Tree-structured menu, the Table-of-contents menu, the Roll-over menu, the Click menu, and Fisheye menu. The result of general analyses shows that among the hierarchical methods, the experienced group prefers the Table-of-contents method menu, whereas the novices group prefers the Tree-structure method menu. Among the linear methods, the two groups prefer the Roll-over menu. The Roll-over menu is most preferred among the five browsers by the two groups.

207
김지훈(계명문화대학) ; 노진구(경북대학교) 2002, Vol.19, No.2, pp.69-92 https://doi.org/10.3743/KOSIM.2002.19.2.0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자원에 대한 연속적이며 통합된 접근을 요하는 하이브리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도서관 모델과 설계 원칙에 따른 하이브리드 도서관 설계를 위한 하이브리드 도서관의 요구 분석과 논리적 구조를 살펴보았다. 하이브리드 도서관의 요구 분석은 해당 도서관의 특정한 요구사항을 명기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하이브리드 정보환경을 개발하는 기관과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필요하며 서비스 개발을 계획하는 관리자들이 반드시 고려할 필요가 있는 과정이다. 이러한 요구 분석은 기본적인 요구사항, 기본적 시스템 요구사항, 탐색, 소재 확인, 신청, 배달, 지불 등의 7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 하이브리드 도서관의 논리적 구조는 기본적으로 하이브리드 도서관 설계에 필요한 요구 분석사항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조직되어야 하며, 이러한 구조는 하이브리드 도서관 관리시스템을 위한 논리적 구조와 하이브리드 도서관의 복잡한 기능성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동시에 국지적 단순성을 획득하기 위한 5개의 계층별 논리 구조로 구분하여 생각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 hybrid information service may include local and/or remote distributed services, both and electronic. Also, a hybrid information service can be described as one which an appropriate range of heterogeneous information services is presented to the user in a consistent and integrated way via a single interf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igh-level requirements and logical architecture to design hybrid library. High-level requirements analysis for hybrid library need to contain baseline requirements, basic system requirements, searching, location, requesting, delivery and payment. A logical architecture need to consider logical architecture for hybrid librar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user access points, hybrid library management system and hybrid library components and 5 layered architecture including presenter, coordinator, mediator, communicator and provider to achieve local simplicity while still supporting complex functionality of hybrid library.

208
이미경(한성대학교) ; 문성빈(연세대학교) 2012, Vol.29, No.1, pp.303-329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303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의 효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성과관리에 기여하고자 도서관서비스에 내재된 질적 특성을 반영한 효율성 분석모형을 제시하고 이 분석모형을 적용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효율성 제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미 국내외 연구에서 기존 공공부문에서 사용되는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였으나, 도서관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고 측정결과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도출을 시도한 연구도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서비스에 내재된 질적 특성을 반영하는 분석모형을 제시하고 분석해봄으로써 효율성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공공도서관에 투입량을 기준으로 산출량은 증가될 수 있으므로 현재 투입 수준에 맞게 산출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고 지속적으로 투입양을 증가시켜야 한다. 효율성 영향요인은 이용자수, 물리적 환경, 전문 인력, 문화 프로그램 기획력, 전자자료 등으로 분석되었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용자수, 전문 인력, 문화프로그램 기획력이 효율성과 인과관계를 갖고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measures the efficiency of public libraries, library services, and management to contribute to the proposed model for efficiency analysi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in public libraries. This analysis model of applying the empirical research pursues the solutions to provide efficiency. Although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o study the measurement of the efficiency, mere application of analysis techniques used in the other public sectors has led to the inadequate measurement for characteristics of library services. In addition, there has not been any attempt made to deduce a general theory for the study from the measurement results. In this study, an analysis model that reflects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in library services is suggested to be analyzed empirically, and this leads to the understanding of efficiency fa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efficiency of current public libraries can be increased on the basis of input and output. Therefore the commitment to increase the level of output to meet the current need shall continue by the amount, rather than by the commitment to reduce the level of input. Finall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iciency are the number of users, the physical environment, professional staffs, events planning, and electronic resources. After analyzing the five factors vi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ee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users, professional staff and events planning proved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efficiency.

209
유가의(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용정(성균관대학교 글로벌융합학부) 2021, Vol.38, No.2, pp.1-18 https://doi.org/10.3743/KOSIM.2021.38.2.001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은 유학생들이 학습 자원을 얻는 가장 주요한 정보원에 속하므로 유학생들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러나 현재 대다수의 대학도서관은 영어를 제외한 다국어 지원 서비스를 적절히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유학생들의 학업 수행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서비스 중 다국어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유학생 맞춤형 서비스로 정의하고, 이러한 맞춤형 서비스가 대학도서관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서, 본 연구는 유학생 맞춤형 서비스를 적절히 제공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유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대학도서관의 유학생들의 이용자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두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총 138부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유학생 맞춤형 서비스가 유학생의 대학도서관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다국어 서비스의 지원은 안내 책자/표지판, 홈페이지를 통한 자료 접근 및 이용, 그리고 이용자 교육 등과 같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도서관이 유학생들의 학업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실질적 함의를 시사한다.

Abstract

An academic library is one of the largest information sourc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obtain learning resources, which have a great impact on their studies. However, most academic libraries currently have not provided adequate multilingual services except English,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se mother language is not English to perform academic work.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defines the customized servic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 the ones that have been supported in ltiple languages among academic library services and aims to examine their effect on user satisfaction in academic libraries. Furthermore, the study has compared international students’ satisfaction with academic libraries - one that provides appropriate customized services with the other that does not. The surveys have been conducted with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two different universities and a total of 138 responses were analyzed. The study found that the customized services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fluenced their satisfaction with library use. In particular, multilingual services had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services such as brochures/signs, access to and use of resources through the homepage, and user instru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practical insights on how academic libraries provide effective services for supporting international students’ academic tasks.

210
장정인(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졸업) ; 이용정(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2021, Vol.38, No.1, pp.243-262 https://doi.org/10.3743/KOSIM.2021.38.1.24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후기수용모델을 통해 병원정보탐색 어플리케이션(이하 병원 앱)의 지속적인 이용과 이용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병원 앱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2019년 10월 11일부터 1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25개의 유효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병원 앱 사용자의 만족도와 기대일치도는 지속적 이용의도와 지각된 유용성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각된 유용성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많이 조명되지 않았던 병원 앱에 관한 연구를 통해 이러한 혁신적 기술의 지속적 사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병원앱의 수용과 이용을 관찰하여 후기수용모델을 재검증하였으며, 응급상황과 같은 긴급한 도움탐색이나 신속함이 강조되는 정보요구를 만족시키는 병원앱의 특수성을 논의함으로써 이론적 확장을 도모하였다. 또한 소비자가 보고한 병원 앱의 유익성과 한계점을 바탕으로 병원 앱 개발자나 운영자들에게 보다 이용자 친화적인 앱을 제공하기 위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ntinuous use and discontinuance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eeking applications(hospital apps thereafter) by employing the post acceptance model. Th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people who used the hospital apps from October 11 to 18, 2019. Researchers collected 125 valid data and analyzed them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found that the satisfaction and confirmation of expectation for the hospital apps us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for continuous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respectively. However, the perceived useful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for continue use. The present study has identifie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continuous use of these innovative technolog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firmed the post acceptance model by observing the adoption and use of the hospital apps and extended the literature of the post acceptance model by discuss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hospital apps that satisfy the urgent help-seekers under emergency situations or the information needs emphasizing promptness. In addition, based on the benefits and limitations of hospital apps reported by consumers, the stud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more user-friendly apps to hospital app developers or manager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