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서비스, 검색결과: 4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용량 음악콘텐츠환경에서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위한 기반구조의 제공을 위하여 시도되었다. 추천서비스를 위한 기존의 많은 연구와 상용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대규모의 쇼핑몰들은 개인화 추천서비스와 실시간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추천시스템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마이닝 기술과 새로은 패턴매칭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있다. 콘텐츠 주제분야에 대한 이용자의 선호도를 이용한 이용자 분할을 위하여 군집화 기법이 사용되었다. 다음으로는 군집화를 통하여 생성된 분할된 이용자 그룹에서 개별 이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접근 패턴의 추출을 위하여 순차패턴 마이닝기법을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각각의 이용자 군집의 콘텐츠 접근 패턴과 콘텐츠 선호도에 기반한 제안된 추천 알고리즘에 의해 추천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추천을 위하여 기반구조와 함께, 전처리과정과 원본 데이터의 형식변환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수행되어진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기반구조의 적절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제안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제 이용자에 의해 이용된 데이터를 실험에 적용하였으며, 해당 실험에서 추천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졌으며 추천결과에 있어서는 적절한 정확성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give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framework in large-sized music contents environment. Despite of many existing studies and commercial solutions for a recommendation service, large online shopping malls are still looking for a recommendation system that can serv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and handle large data in real-time.This research utilizes data mining technologies and new pattern matching algorithm. A clustering technique is used to get dynamic user segmentations using user preference to contents categories. Then a sequential pattern mining technique is used to extract contents access patterns in the user segmentations. Finally, the recommendation is given by our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user contents preference history and contents access patterns of the segment. In the framework, preprocessing and data transformation and transition are implemented on DBMS. The proposed system is implemented to show that the framework is feasible. In the experiment using real-world large dat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is given in almost real-time and shows acceptable correctness.

222
송민선(대림대학교) ; 김수경(창원문성대학교) ; 황금숙(대림대학교) ; 장인호(대진대학교) 2023, Vol.40, No.2, pp.1-31 https://doi.org/10.3743/KOSIM.2023.40.2.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고양시 제2차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그동안 고양시에서 시행해 왔던 주요 독서문화 진흥사업들의 추진 성과를 평가․분석함으로써, 고양시 특성을 반영한 독서문화 진흥정책의 주요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각종 문헌 및 통계자료를 토대로 고양시의 독서문화환경을 분석하고, 2017년에 수립된 ‘제1차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및 해당 계획에 따라 수행된 주요 사업들의 추진 여부 및 주요 성과를 파악한 후, 추진 성과 평가를 위한 설문을 구성하여 고양시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수행된 고양시 독서문화 환경 분석 결과 및 사서 대상 설문 조사에서 도출된 독서문화진흥 사업 성과를 평가한 결과, 그리고 이전의 관련 선행연구에서 고양시민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던 독서실태조사 내용 중 독서진흥사업과 관련한 의견수렴 항목의 결과 등을 종합하여 향후 제2차 고양시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고양시 도서관에서 고려해야 할 여섯 가지 주요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major reading culture promotion projects implemented in Goyang City, in prepar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2nd Comprehensive Reading Culture Promotion Plan in Goyang City.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various literature and statistical data, identified the reading culture environment in Goyang City, and determined whether major project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1st Comprehensive Reading Culture Promotion Plan established in 2017 were promoted.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librarians in Goyang City by constructing a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promotion performance of actual relevant projects. Then, by aggregating the data on the reading culture environment in Goyang City,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rojects obtained from the survey among librarians, and the results of the opinions on the reading promotion projects of the reading surveys of Goyang citizens in the previous relevant study, six major policy directions were proposed to be consider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2nd Comprehensive Reading Culture Promotion Plan in Goyang City.

223
오찬희(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김규리(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주영준(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2, Vol.39, No.1, pp.257-280 https://doi.org/10.3743/KOSIM.2022.39.1.2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정부가 지정한 국가전략기술 사업인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산업에 대한 여론을 파악하고 여론의 변화와 주가 흐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각 산업별 대표 기업에 대한 기사의 댓글을 분석하였다. 반도체 산업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이차전지 산업에서 ‘삼성SDI’, ‘LG화학’, 바이오 산업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을 선정하여 이를 제목에 포함하고 있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발행된 네이버 뉴스 기사의 댓글 47,452개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해당 댓글을 긍정, 중립, 부정의 감성으로 나누고 각 감성 그룹에서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댓글의 동적인 주제를 분석하여 각 산업별 여론의 트렌드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반도체 산업 분야의 경우 투자, 코로나19관련 이슈, 삼성전자라는 대기업에 대한 신뢰, 정부 정책 변화로 인한 타격에 대한 언급이 주제 토픽으로 나타났다. 이차전지 산업체의 경우 투자, 배터리, 기업 이슈에 대한 언급이 주제 토픽으로 나타났다. 바이오 산업체의 경우 투자, 코로나19 관련 이슈 및 기업 이슈에 대한 언급이 주제 토픽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댓글의 감성이 실제 주가와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각 대표 기업 별 주가의 변화와 댓글의 감성 점수 변화를 시각적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댓글의 감성 점수와 주가의 변화 흐름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남을 통해 여론의 감성 점수 변화와 주가의 흐름에는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주가와의 연관성이 높은 뉴스 기사 댓글을 분석했다는 점, 수집 시기를 코로나19로 선정하여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에서의 여론 트렌드 변화를 파악했다는 점, 국가전략기술제도에 속하는 산업 기업에 대한 여론을 분석하여 정부기관의 관련 정책 제정에 객관적인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comments on news articles of representative companies of the three industries (i.e., semiconductor, secondary battery, and bio industries) that had been listed as national strategic technology projects of South Korea to identify public opinions towards them. In additio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public opinion and stock price. ‘Samsung Electronics’ and ‘SK Hynix’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Samsung SDI’ and ‘LG Chem’ in the secondary battery industry, and ‘Samsung Biologics’ and ‘Celltrion’ in the bio-industry were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companies and 47,452 comments of news articles about the companies that had been published from January 1, 2020, to December 31, 2020, were collected from Naver News. The comments were grouped into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emotions, and the dynamic topics of comments over time in each group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trends of public opinion in each industry.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vestment, COVID-19 related issues, trust in large companies such as Samsung Electronics, and mention of the damage caused by changes in government policy were the topics. In the case of secondary battery industries, references to investment, battery, and corporate issues were the topics. In the case of bio-industries, references to investment, COVID-19 related issues, and corporate issues were the topics. Next, to understand whether the sentiment of the comments is related to the actual stock price, for each company, the changes in the stock price and the sentiment values of the comm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visual analytics. As a result, we found a clear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in the sentiment value of public opinion and the stock price through the similar patterns shown in the change graphs. This study analyzed comments on news articles that are highly related to stock price, identified changes in public opinion trends in the COVID-19 era, and provided objective feedback to government agencies’ policymaking.

224
이은경(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 김기영(연세대학교) 2017, Vol.34, No.3, pp.179-207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1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의 인지발달 차이가 도서관의 이용행태, 독서성향, 도서관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의 초등학교 세 곳을 선정하여 4학년과 6학년을 대상으로 인지발달 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지발달이 높은 6학년은 도서관 정보서비스 요구가 4학년보다 많았으나 4학년에 비해 독서량과 도서관 이용이 적고, 흥미 위주의 책을 선호하는 양상을 보여, 인지발달이 높다고 이용행태와 독서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학년은 도서관 인식에서도 4학년보다 낮았다. 학생들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은 이용행태와 독서성향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즉, 학생의 도서관 이용 정도, 도서 선정 시 사서의 도움 경험, 그리고 교과 연계 도서 선호도는 학생들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5학년 이상의 고학년 초등학생 대상의 발달 단계에 따른 도서관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s on library behaviors, reading tendency and perception on the library of the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study, a cognitive development test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in their fourth and sixth grade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survey data. As a result, sixth grade students with the higher cognitive development had more requests for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than fourth grade students did. However, sixth grade students use library less and preferred to focus on the books for fun and personal interests, comparing with the fourth grade students. Their high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did not always have a positive effect on library behaviors and reading tendency. In addition, perception on the library of sixth grade students was lower than that of fourth grade students and it was influenced by library behaviors and reading tendency. It was also influenced positively by frequent use of library, active support by librarians and reading curriculum-related books. Based on the analysis, it is suggested that school library service should be provided based on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tudents.

225
김성훈(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빙교수) ; 김미령(서울경찰청 서경북카페(도서관) 사서) ; 노윤주(인천여성가족재단 성평등자료관(도서관) 관장) ; 심효정(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조교수) 2023, Vol.40, No.3, pp.221-244 https://doi.org/10.3743/KOSIM.2023.40.3.221
초록보기
초록

주민참여예산으로 메타버스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 경기도서관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와 각종 정보자원을 분석하여 경기광역대표도서관에 적합한 메타버스의 역할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광역대표도서관을 중심으로 협력적 콘텐츠 구축 및 서비스 모델을 일차적으로 제시한 뒤, 광역대표도서관,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의 각종 도서관의 현장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광역대표도서관의 메타버스 역할, 콘텐츠, 협력 가능한 콘텐츠 및 원활한 협력을 위한 고려사항 등을 도출하였다. 사서들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광역대표도서관 메타버스의 역할은 도서관 자료의 연속적인 이용을 위한 도구이며 지역 전체를 위한 서비스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응답자의 3/4이 협력적 콘텐츠 구축에 참여의향을 보였으며, 참여 시 우려가 되는 점은 인력과 예산, 업무과중으로 나타났으며, 광역대표도서관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볼 수 있었다.

Abstract

Focusing on Gyeonggi Library, which is preparing Metaverse services using resident participatory budgets, we deduced the role of Metaverse suitable for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conducting a preliminary study and analyzing various informational resources. Subsequently, we presented a collaborative content construction and service model primarily centered around the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on-site librarians from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as well as various libraries across Gyeonggi Province and the entire nation. Through this survey, we extracted insights into the Metaverse role, content possibilities, and considerations for seamless cooper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 Based on the opinions of surveyed librarians, it was evident that the role of the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s Metaverse should function as a tool for continuous utilization of library resources and serve as a space for the entire local community. Approximately three-fourths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content development. However, concerns were raised about human resource limitations, budget constraints, and excessive workloads as potential obstacles to participation. This highlighted the need for systematic support from the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 to address these concerns.

226
김성은(연세대학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3, Vol.30, No.4, pp.155-173 https://doi.org/10.3743/KOSIM.2013.30.4.1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상 정보 공간에서의 일상적인 활동을 위한 정보 이용 행태에 관해 살펴보았다. 기존의 물리적 정보 공간의 개념을 가상 정보 공간으로 확장하였고, 청소년 시기의 특징을 반영하여 다양한 일상적인 활동과 또래집단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면담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청소년들의 가상 정보 공간과 정보 이용에 대한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도서관에서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 시에 고려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였고, 추후 학교도서관에서의 정보 서비스 기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ormation use behavior of Korean youths in a virtual information grounds. The concept of a physical information ground is expanded to include virtual spaces. A variety of hobbies and peer groups of Korean youths ar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youths. The study was formulated and conducted using group interviews for pretest and a survey given to respondents who are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and proposals will be used for planning educational programs and information services in school librari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기술의 발전과 사용자 중심의 개발환경으로 인해 변화된 정보환경 속에서 정보센터의 새로운 방향 설정을 위해 정보센터의 관리 특성요인과 사용자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그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서로 다른 정보센터를 활용하고 있는 41명의 사용자로부터 설문을 받아 활용하였다. 조직의 정보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 정보센터와 관련된 활동들을 살펴봄으로써 최근의 사용자 중심의 정보환경 속에서 새롭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시스템측면에서 새롭게 변한 정보센터가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활동의 강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식견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w roles and services of information center that is affected by chang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end-user computing environment. A user satisfaction model has been used and hypotheses are developed to find relationships information center service evaluation factors. The hypotheses have been tested with 41 user surveys. This study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certain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variables and the end-user satisfaction applying organization-wide information servic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give an insight of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center service activities.

228
이란주(동덕여자대학교) ; 신윤희(동덕여자대학교) 2002, Vol.19, No.4, pp.163-183 https://doi.org/10.3743/KOSIM.2002.19.4.1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 번 방문한 이용자들의 방문횟수를 계속해서 유지시켜줄 수 있는 패션잡지 사이트의 구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용자들이 사이트들을 쉽게 방문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홈페이지의 구성이 이용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느냐에 따라 많이 작용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운영중인 웹 패션잡지 7개를 선정하여 웹기반의 패션잡지의 이용 편리성을 콘텐츠, 디자인, 네비게이션, 서비스 측면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40명의 10·20대 남녀 피험자들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서 7개의 웹 패션잡지를 탐색하게 한 후에 최종 이용자의 행태를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콘텐츠, 디자인, 네비게이션, 서비스 측면에서 제공할 수 있는 패션잡지의 효과적인 웹사이트 모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features of web fashion magazines and to suggest an effective website model for them. Seven web fashion magazines were analyzed. The evaluating criteria included: contents, design, navigation, and services. In addition, online-questionnaires were sent to 40 end users to obtain the information regarding user behaviors on the elected web fashion magazines. The results show that a suggested model should include various aspects: 1) providing currents information. 2) consistency in design, 3) easy in navigation, and 4) searching function etc.

229
이호신(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 정경희(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2020, Vol.37, No.3, pp.107-131 https://doi.org/10.3743/KOSIM.2020.37.3.10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최근 신설된 저작권법 제35조의 4와 동법 시행령의 관련 규정을 디지털도서관의 구축과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지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저작권법」 제31조와 제50조를 비롯한 관련 규정과 선행연구에서의 논의들을 살펴보면서 법률 개정이 이루어지게 된 배경과 필요성을 이해하였다. 그리고 나서 신설된 법령의 구체적인 내용을 법률과 시행령, 문화체육관광부령을 두루 참조하여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아울러 「저작권법」 제31조와 제50조와의 비교를 통하여 신설된 조항의 특징과 의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그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네 가지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Article 35-4 of the Copyright Act and the relevant regulat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law to the construction and service of digital library.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e revision were understood by examining the related regulations and discussions in previous studies, including Articles 31 and 50 of the Copyright Act. Then,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provision were analyzed by referring to the laws, enforcement decrees, and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addition, through comparison with Articles 31 and 50 of the Copyright Act, the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is provis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we proposed four way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vision.

230
김나원(연세대학교 의학도서관 사서) ; 박지홍(연세대학교) 2009, Vol.26, No.3, pp.435-449 https://doi.org/10.3743/KOSIM.2009.26.3.435
초록보기
초록

새로운 기술의 발달과 병행하는 정보이용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정보원의 이용 및 정보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고찰을 요구한다. 이용자 정보추구의 올바른 이해는 정보서비스의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변화하는 정보이용환경에 따라 이용자의 정보추구를 시기적절하게 새롭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많은 이전 연구들이 이용자 정보추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의사들의 정보추구, 특히 진료정보 및 의학지식 추구를 동시에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진료와 의학연구를 동시에 수행하는 대학병원의 강사인 의사들의 정보추구행태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세의료원 강사 12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반구조화 형식의 심층 면접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면접 내용은 크게 연구 환경, 진료와 관련된 정보 추구 행태, 선호하는 정보원과 자료 유형, 검색과정과 만족도의 4가지 주제로 구성하였다. 응답 결과 연구 목적의 정보추구에 있어서는 PubMed를 통한 전자학술지 대한 신뢰도가 더 높았으나 진료 목적인 경우에는 인쇄형태의 교과서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원에 대한 권위와 근거를 매우 중요시하는 의사들의 태도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Abstract

Rapid change in information use environments that corresponds wit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requires a new perspective in examining information source uses and information services. As understanding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is an essential element for improving information services, the changing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should be examined in a timely manner. While several prior studies focus on this topic, few studies deal with medical docto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especially focusing on information seeking in both medical practices and research. Thu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medical doctors who are both medical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Data were obtained by open-ended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during one month from April to May, 2009. The interview-question topics ranged from research contexts, medical-practice-relat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favorable information sources, and information search process and satisfaction. Findings include that, for research purpose, digital journal articles accessed through the PubMed were more favorable sources while, for practice purpose, printed textbooks were preferred. Overall, the most-frequently-used sources were PubMed and articles because medical doctors regard the reliability and authority very highly.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