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libraries, 검색결과: 588
281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김윤정(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연구원) 2020, Vol.37, No.1, pp.79-106 https://doi.org/10.3743/KOSIM.2020.37.1.079
초록보기
초록

지금까지 도서관에서의 치유적 프로그램은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일부로써 독서치유라는 주제로 한정되어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치유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치유적 활동의 유형과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도서관과 유사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치유적 활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상에 따라 다뤄야하는 치유 내용이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도서관에 적용해야 한다. 이에 유․아동기(0-13세), 청소년(14-19세), 청장년기(20-64세), 노년기(65세 이상)에 맞는 치유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둘째, 치유프로그램 분석 결과로 나타난 도서관, 의료기관과 같이 기관들과의 연계를 통해서 치유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Until now, healing programs in libraries have provided services under the theme of reading therapy as part of the reading culture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to revitalize healing programs in libraries. This study derives the types and themes of healing activities and analyzes the healing activities in libraries and similar institutions. As a result, first, the healing content to be treated varies depending on the subject, so it should be applied to the library in consideration of this. Therefore, a treatment program was proposed for infants and children (0-13 years), adolescents (14-19 years), adolescents (20-64 years), and old age (65 years and over). Second, it proposed a way to operate healing programs through linkage with institutions such as libraries and medical institutions that were shown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healing program.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physical spaces of a children's library in an effort to back up children's development in a more positive and constructive manner, as the physical spaces of a children's library are likely to affect their development. Theories of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and user benefit criteria were analyzed, which were the basis of the spatial conditions to facilitate their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tages and domains. And then conceptual words that corresponded to the concept of benefit and commonly appeared in earlier studies of children's libraries and children's spaces were selected to embody the concept of benefit. 12 conceptual words were presented as corresponding words of benefit, out of which the majority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previously selected words and some were added by this researcher. Several libraries were reviewed by the 12 standards, and a spatial criteria checklist for a children's library that focused on benefits provided to growing children was provided.

283
노영희(건국대학교) ; 안인자(동원대학교) 2009, Vol.26, No.4, pp.147-168 https://doi.org/10.3743/KOSIM.2009.26.4.147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계의 상황을 보면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전문도서관, 학교도서관 등 매우 다양한 유형의 도서관이 있고, 국가적인 차원 및 상업적인 차원의 정보유통기관이 있으며, 또 이를 지원하는 기관들 즉, 도서관자동화업체, 도서관관련 비품업체, 도서관관련 아웃소싱업체, 각종 데이터베이스 구축업체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볼 때 문헌정보학을 전공한 사람들의 경력경로는 매우 다양해 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서인력의 유동성 및 경력이동률은 매우 높을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도서관계의 특성 및 직업적 특성을 감안하여 사서인력의 유동성 실태나 이직률과 이직의 원인 등을 규명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사서인력의 경력이동 및 경력개발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사서의 경력개발 과정 분석을 통해 도서관계 및 관련분야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람들의 직장이동 경로, 경력개발을 위한 노력, 경력이동 요인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Abstract

Professions with librarianship can be found in various fields. It includes all different kinds of libraries, including academic, public, special, and school libraries. Moreover, there are national and commercial information distribution bodies, and other bodies supporting the national body such as library automation companies, library supply companies, and library outsourcing companies. Careers of those who have studie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uld be developed in all these fields. High flexibility and labour turnover can be expected due to the wide range of career fields.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very little studies reflecting the reasons of high level of turnovers and flexibility in librarian workforce. Therefore, this paper invastigates career movement and development of librarian as a foundation stone of further researches. It also analyzes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librarians, including career paths of those working in libraries and other related areas, their efforts for career development, factors influencing their career movements.

284
구중억(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이응봉(충남대학교) 2006, Vol.23, No.3, pp.49-68 https://doi.org/10.3743/KOSIM.2006.23.3.049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 이용자에게 장애가 없는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OPAC의 접근성, 사용성 및 검색성을 향상시키고, 도서의 검색, 식별 및 브라우징의 도구로써 ISBN의 활용가치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북마크릿은 웹브라우저의 ‘즐겨찾기에 추가’ 또는 ‘툴바’에 드래그하여 저장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자바스크립트이다. 그리고 오픈소스인 북마크릿은 웹페이지에서 ISBN을 추출한 다음, 해당 ISBN으로 도서관의 OPAC에서 도서를 검색할 수 있는 간단하지만 강력한 검색도구이다. 해외의 도서관 시스템 벤더, 도서관, OCLC 등은 이용자가 온라인서점의 웹페이지를 살펴보면서 동시에 도서관의 소장 및 대출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는 북마크릿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네 가지 유형의 북마크릿에 대한 적용사례 분석을 통해 북마크릿의 특징과 장단점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북마크릿의 기본요건과 적용모델을 도출하고, 국내 도서관의 OPAC과 온라인서점에서 북마크릿을 활용한 Library Lookup 서비스 제공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t is required to enhance the value of ISBN as a tool for book search, identification, and browsing, and improve the accessability and search capability of library OPAC. Bookmarklet is a small size javascript which can be saved as URL in a web browser bookmark or web page hyperlink. Open source bookmarklet can extract ISBN from web pages and search a book from library OPAC using the ISBN, so it is recognized as a simple but powerful search tool. In foreign countries, commercial library system vendors, libraries, OCLC, etc. are providing bookmarklets which allow a user to search for library holdings and loan information in a real time while he/she is travelling in an online bookshop web page. Therefore,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international bookmarklets application examples and proposed LibraryLookup service in which library OPAC and online bookshop can make use of the bookmarklets.

285
남재우(중앙대학교) ; 남태우(중앙대학교) 2010, Vol.27, No.4, pp.153-168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153
초록보기
초록

스마트폰의 이용증가에 따라 도서관의 정보서비스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서관 모바일 웹사이트에 나타난 콘텐츠를 분석하여 정보의 구성현황 및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국외 26개 도서관을 선별하여 해당기관의 모바일 웹사이트를 조사하였고 사이트에 포함된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모바일 웹사이트의 정보구조 및 핵심 콘텐츠를 분석하여 제시하였으며, 모바일 웹사이트에서 가장 많이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도서관의 모바일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information service of library is getting into a new paradigm as the smart phone usage increases.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reflected on the library mobile website to figure out the structural condition and features of the information. For this study, 26 academic libraries in U.S. are selected for an examination of their mobile websites, and the contents on the sites were analyzed. This study analyzed the most frequent type of contents provided in the mobile website.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e information structure and core contents of the mobile website in detail.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reference for building the mobile website of library.

초록보기
초록

패싯 내비게이션의 구성 요소인 패싯의 명칭과 하위 구성 용어, 패싯의 순서, 지나치게 많은 검색 결과의 수 등이 이용자 중심적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의 15개 대학도서관 목록에서 3개의 검색어로 검색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이용자가 이들 용어에 대해서 느끼는 친숙도 조사도 함께 수행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들에서 제공하고 있는 발행년도와 총서명 등의 패싯 명칭과 멀티미디어와 비도서, 미디어 자료 등의 하위 용어들은 이용자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없었으며, 목록규칙에서 사용된 용어들과 사서들이 사용하는 용어들이 많았다. 그리고 패싯을 적용해도 검색 결과의 수가 많아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적합성 순위화와 같은 기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나치게 많은 하위 수준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것도 도서관 목록에 대한 이용자 경험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d how the main requisites of faceted navigation as names of facets, subterms of facets, order of facets, too many results were user-centric. On the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sults of the three keywords retrieved in the 15 university libraries’ catalogs and how was user’s familiarity to the terms. Although domestic universities have serviced facet navigation, the names of the facet of publication date and series title in format and the terms under the facets as multimedia and nonbook material, media material are too difficult intuitively to understand and there were lots of formal terms used in cataloging rules and the terms librarians have usually used. Because of the terms, there is high possibility to deteriorate users’ satisfaction and usability to library catalog in future. Even though they serviced facet navigation, there was also weakness as too many results and the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use relevance ranking method to solve the weakness. This research has found the possibility of being used too many of levels of the facets and this may also badly affect the users’ experience to library catalog.

287
문성빈(연세대학교) ; 이미경(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김판준(연세대학교) 2009, Vol.26, No.1, pp.321-350 https://doi.org/10.3743/KOSIM.2009.26.1.3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구축사업이 완료된 이후 약 5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 디지털자료실의 운영 현황을 조사․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디지털 자료실의 활성화와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무엇보다도 인프라 측면의 보완 및 개선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향후 운영 방안으로는 크게 디지털자료실 통합운영체계 구축과 디지털자료실 기능 다변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먼저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운영실태 조사 내용과 활성화 전략을 다각도로 검토한 결과, 현 시점에서는 디지털자료실에서 가능한 부문을 위주로 최대한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이 최선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기능 다변화는 기존의 디지털자료실 기능에 다양한 유형의 원자료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정보의 제작뿐만 아니라 교육 기능, 참고정보서비스 기능, 온라인/오프라인 커뮤니티 형성 및 정보공유 활성화 기능 등을 추가 또는 강화하여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은 단순한 인터넷 정보의 접근 및 이용을 위한 장소에서 사서와 이용자, 이용자와 이용자간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는 물론 정보나 지식의 공유 및 협력활동을 위한 온라인/오프라인 공간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thods for utilizing digital room in public library and its efficient operation by analyzing the status quo of the digital rooms in public libraries, which had been built nation-widely about 5 years ago. It is found that it is urgent to supplement and improve the infrastructure of them. It is also required to build multi-functional digital rooms and an integrated operational system for digital rooms.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operational system, first of all, for applicable sections of digital room may be the best alternative. The multi-functional digital rooms can be built, which, in addition to its traditional function, can include a variety of original information resources and function of information creation using application programs, as well as functions such as education, information services, online/offline community creation, and activating information sharing. In the future, the digital rooms in public libraries must play a significant role as online/offline spaces, which are not the places for use and access to internet information resource, but for information/knowledge sharing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It also must provide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as well as among users themselves.

288
김성진(인하공업전문대학) ; 정동열(이화여자대학교) 2004, Vol.21, No.1, pp.23-53 https://doi.org/10.3743/KOSIM.2004.21.1.0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에서 이론개발과 이론활용이 이루어진 이론연구를 조사함으로써, 문헌정보학 이론의 효율성과 활용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본질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정보학의 대표 학술지를 두 종씩 선정하여 1984년부터 2003년 상반기까지 게재된 연구논문 1,661편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론개발과 이론활용에 대한 질적 평가를 위해 4단계의 이론 효율성 모델과 5단계의 이론 활용성 모델을 각각 분석척도로 사용하였다. 이론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연구의 배경적 속성(학회지, 발행국, 연구시기), 연구의 내용적 속성(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자 속성(소속, 전공, 연구경력)을 조사하고, 활용된 이론의 근원학문과 활용주기를 분석하였다. 또한 저자동시인용법을 적용하여 동시이론활용을 분석함으로써 20년간 문헌정보학 연구자들에 의해 형성된 이론적 기반에 대한 지적 구조를 규명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dentity and relationship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exploring theoretical aspects of LIS research, including theory building and theory use.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1,661 research articles published from 1984 to 2003 in two Korean and two American core LIS journals. Theory articles are analyzed with two scales, such as '4-degree of theory efficiency' and '5-degree of theory use.' Each article is coded in terms of journal, country, publication year, subfield, and methodology of the article, and affiliation, department, and research experience of the first author. The theories used therein are coded according to their origin and age. Also, an author co-citation technique is applied to represent intellectual structure on a two-dimensional map, which has been constructed by theory use of LIS authors for 20 years.

289
강인서(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박사과정,대전자운초등학교 교사) ; 김혜진(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조교수) 2020, Vol.37, No.2, pp.333-352 https://doi.org/10.3743/KOSIM.2020.37.2.3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에서 다뤄지는 정보격차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문헌정보학관련 4개 학술지에서 발행한 195편의 논문을 수집하고, 해당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대상(11개 하위 범주), 연구목적(4개 하위 범주), 연구방법(4개 하위 범주)로 코딩하였다. 이것을 저자 키워드와 함께 패스파인더 알고리즘을 적용한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취약계층(연구대상) 중 장애인, 다문화가정, 고령자에 대한 연구가 79.5%로 특정 계층에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격차, 장애인,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다문화, 고령자 등에 대한 정보취약 실태와 해소방안을 목적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정보취약 해소효과, 정보취약의 영향요인을 목적으로 한 연구는 고령자, 독서치료, 정보화교육, 정보활용, 독서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보격차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함께 사례연구 또는 설문조사를 동시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digital divid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this end, we coded research subjects with 11 subcategories, and research objectives with 4 subcategories, and research methods with 4 subcategories, and constructed keyword networks to which a pathfinder algorithm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79.5% of studies are on the disabled,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elderly among information vulnerable groups, and it was found to be concentrated in specific groups. In addition, digital divide related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resolving information vulnerabilities such as people with disabilities. We also found that these studies focused o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by designing and applying treatments such as informatization education, information utilization, and reading programs. Lastly,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method in the digital divide was found to use case studies or questionnaires simultaneously with literature research.

290
김포옥(전북대학교) ; 노옥림(원광대학교) 2004, Vol.21, No.1, pp.145-171 https://doi.org/10.3743/KOSIM.2004.21.1.1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리업무에서 시행하고 있는 목록업무의 아웃소싱에 대한 전국 대학도서관의 실태를 조사하여 아웃소싱된 목록을 DB화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업체에서 입력한 목록에 대한 사서의 견해를 심층적인 각도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도서관 사서와 업체 직원간의 목록기술 내용에 대한 양자간의 인식도의 차이를 면밀히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해결점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동시 현 국립중앙도서관의 CIP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의 참조목록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을 재조명하여, 미래 우리나라 도서관의 정리업무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in detail the process of constructing database from outsourced cataloging by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s of university libraries nationwide regarding the outsourcing of cataloging processing that are being carried out in technical processing. And librarians' opinions about the cataloging inserted by outsourcing companies are considered and revised in depth. Also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outsourcing company staffs regarding the cataloging is investigated then compared to that of library processing staffs and the difference is analyzed.Coupled with that, degree of understanding about CIP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functionality of reference cataloging of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is investigated, thus the future directions to which technical processing of library should move forward are presente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