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도서관, 검색결과: 5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웹페이지의 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것으로 평가기준을 제시하여 전국에 있는 대학도서관 웹페이지를 국립대학교, 사립대학교 및 전문대학으로 나누어 직접 평가해 봄으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수정하고 보완토록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전문가집단에게 문의한 자료(Delphi 기법)를 토대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으로 기초적인 분석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국립대학로, 사립대학교, 전문대학, 수도권소재 대차, 지방소재 대학간에 평가항목별로 유의한 타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t-test, ANOVA 및 교차분석(x²)을 사용했고.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를 사용해 분석하였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evaluate different academic library homepages but to hit upon and suggest a reformation plan for their future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academic library web pages of Korea were divided into three major groups -- those of national universities, private ones, and junior colleges. Their web pages were evaluated using a number of criteria. Also, their circumstances and problems were tried to grasp and the methods to be corrected were suggested in this thesis. Literature review were performed for this study and suggestions and advices from professional groups that is called Delphi method were used as a tool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For a basic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analysing data. Also, t-test, ANOVA, and chi-square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groups or not.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several variables.

352
박성우(전남대학교) ; 장우권(전남대학교) 2011, Vol.28, No.4, pp.279-307 https://doi.org/10.3743/KOSIM.2011.28.4.279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의 경쟁우위와 지속성 유지를 위한 내적 원동력은 지적자본이다. 지적자본은 내부구성원의 역량, 구성원들이 형성하는 조직구조, 이용자 및 이해관계자의 협력으로 맺어지는 인적자본, 구조자본, 사회자본으로 구성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적자본 구성요소인 인적자본, 구조자본, 사회자본에 관한 배경이론을 토대로 공공도서관 지적자본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동시에 실험적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지적자본의 배경이론을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지적자본의 해석과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또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지적자본 구성요소와 성과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최적화된 지적자본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tellectual capital is the driving force for the competitive advantage and durability of the public library. This asset consists of the library members’ competence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mbers, an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people sharing the same interests. These are called human capital, struc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in the respective ord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the public library’s intellectual capital assessment as well as creating an experimental assessment model. It analysed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capital, which generated an assessment index. In addition, it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intellectual capital and performance were discovered through empirical study to improve the assessment system.

353
윤은하(전북대학교) ; 장윤금(숙명여자대학교) ; 전경선(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14, Vol.31, No.2, pp.189-209 https://doi.org/10.3743/KOSIM.2014.31.2.1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광장 담당 사서를 대상으로 정보광장 의미와 목적, 새로운 도서관 환경에서의 역할, 도서관의 본질과 발전 방향, 그리고 정보광장 이용행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총 28명을 인터뷰한 결과 정보광장에 대한 사서의 인식은 1) 정보광장의 전통적인 학술 연구 기능만을 강조하여 이를 학술연구 시설로만 이해하는 유형, 2) 정보광장을 학술연구를 위한 물리적 공간으로 이해하면서 아울러 문화융복합적 기능을 강조하는 유형, 3) 정보광장을 창조적 기능이 강조된 학술문화 복합시설로 이해하는 유형의 3가지로 대별되었다. 이는 정보광장 이용자 이용행태에 대한 평가와 도서관의 발전 방향에 대한 인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librarians’ perceptions of Information Commons(I.C.),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nd new role of library in the digital ages. Interviews with 28 librarians found that the perceptions of the librarians were widely differed depending on their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the space. The interview results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of librarians: the librarians; 1) understanding library as a place only with academic functions, 2) library as academic place along with multi-cultural functions, and 3) library as open learning space with focus on creativity and discovery of users. The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all these perceptions are closely related to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library and its future development.

354
조혜전(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8, Vol.35, No.1, pp.61-82 https://doi.org/10.3743/KOSIM.2018.35.1.061
초록보기
초록

소설은 학교도서관에서 학생들이 가장 많이 열람하고 대출하는 장서이다. KDC는 학생들이 원하는 다양한 소설을 찾는데 제한점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과 서점, 출판사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설 분류의 다양한 사례와 중학생의 소설 이용 행태를 설문 조사하여 이용자 요구에 맞게 소설 분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KDC 기호에 더하여 소설의 장르별 색띠를 부착하여 이용자들이 손쉽게 원하는 소설을 찾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추가적인 사항은 중학생들의 소설 접근성과 발견성을 향상시키고 향후 도서관이나 서점, 출판사에서 사용하는 소설 분야 세분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Fiction is a collection that most students read and borrow in school libraries. KDC has several limitations when students look for fiction books they need. In line with this, we surveyed various cases of fiction classifications used in libraries, bookstores, and publishers and use behaviors of f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upon the result of the surveys, we proposed a better way of classifying fiction books according to user needs. In addition to the KDC number, color bands were attached according to genres so that users could easily find the desired books. These suggestions and other information will enhance the accessibility and discoverability to fiction 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may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fiction classification in libraries, bookstores, and publishers in the future.

355
김혜영(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연세대학교) ; 민윤경(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도서관발전연구소) ; 이지연(연세대학교) 2021, Vol.38, No.2, pp.305-336 https://doi.org/10.3743/KOSIM.2021.38.2.3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개발을 위해 대학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인식에 기반하여 이용자가 가진 정보요구와 정보행위를 탐색하였다. 질적 데이터의 내용분석 결과, 심층면담 참여자들은 사회, 교육, 연구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면서, ‘적합성, 최신성, 고유성, 신뢰성, 현장성, 편의성’의 6가지 특성을 띠는 심층적 정보요구를 갖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정보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매체와 인적자원, 그리고 장소매체를 활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정보행위를 수행하는 가운데, 참여자들의 신분이나 주제분야, 소속대학을 뛰어넘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정보문제로서 ‘개개인의 미디어․정보활용역량 차이, 대학간 자원인프라 격차, 저작권과 소통채널의 문제’ 등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서비스 방향성으로 ‘개인화된 미디어․정보리터러시 서비스, 정보요구 특성에 부합하는 장소매체로서의 도서관, 인적교류장소로서 자원인프라플랫폼, 접근성 높은 정보매체 활용지원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user’s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behavior for the development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The content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showed that the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s have six types of information needs such as ‘suitability, up-to-dateness, uniqueness, reliability, practicality, and convenience’ while going through societal, educational, and research-related changes. Interview participants solved their information needs by acquiring the resources necessary for each individual’s task through information behaviors using information media, human resources and the places. Each participant tried to solve his/her information problem through individual efforts based on their different media and information utilization capabilitie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esented four directions in the development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They are an personalized information literacy service, a space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needs, an infrastructure platform for exchanging human resources, and an accessible support service for utilizing information media.

356
김경철(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사서사무관) 2020, Vol.37, No.4, pp.61-80 https://doi.org/10.3743/KOSIM.2020.37.4.06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도서관에서 도입 및 운영 중인 로봇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양한 활용 방안과 기능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외 16개 도서관이 운영 중인 로봇의 종류,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대부분 사서보조업무(장서점검, 자료이송 등)와 이용자 서비스업무(도서관 안내, 자료검색 보조 등)에 활용되고 있었다. 그리고 국립중앙도서관이 도입한 로봇의 특징과 기능적 한계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1) 로봇의 추가기능 개발 필요성, 2) 방역 및 안전관리 로봇 도입 필요성, 3) 국가차원의 로봇 확산정책의 필요성, 4) 로봇생태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various application and function improvement plans by analyzing robots operated in the libraries. Thus, the types and functions of robots operated by 16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were examined. Most of them were used for Librarian Assistance (Book Inventory, Book Delivery, Etc.) and User Service (Facility Guide, Search Aids, Etc.). Besides, the introduction of robots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NLK) and their functional limitati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ed the need to develop additional functions for the robot, develop quarantine and security robots, the need for a national-level policy for robot diffusion, and build a robot ecosystem.

357
이선우(연세대) ; 김기영(연세대학교) 2009, Vol.26, No.1, pp.259-278 https://doi.org/10.3743/KOSIM.2009.26.1.259
초록보기
초록

전국사서협회는 1990년 전국의 사서직을 대상으로 전문직 단체를 표방하며 설립되어 도서관소관부처 이관, 도서관법 개정 등 도서관계 중요 사안에 영향을 주었으나 1997년 이후 뚜렷한 활동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 협회의 역할 및 활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에 본고는 이러한 전국사서협회의 생성, 활동 및 소강에 대하여 전문직 관점을 통해 그 원인과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전문직 단체의 관점에서 전국사서협회는 사서직 서비스 시장의 통제, 자율성의 획득을 통해 사서직의 전문직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사서직의 전문직화를 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지만, 조직에 기반하고 있는 사서직의 특성은 협회 활동 소강에 일정 부분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Abstract

The Korean Librarian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1990 for the professionalization of the librarian in Korea. So far there has been no research with the association as a main subject in spite of its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braries. In this study, we attempt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the importance of the association from the view point of professionalism. As a professional association, the Korean Librarian Association tried to get professional autonomy from the governing bodies and the market to reach higher level in professionalization. But the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has been radically declined since 1997, which would be affected by the character of librarianship that is mainly based not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on organitzational characteristic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정보서비스 실패의 심각성이 서비스 회복 공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서비스 회복 노력들이 이용자의 만족과 재이용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대학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실패를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452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파악하였다. 첫째, 서비스 실패의 심각성이 강할수록 서비스 회복을 위한 공정성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서비스 회복을 위한 서비스 회복 공정성 인식이 높을수록 이용자의 회복 만족도는 높아진다. 셋째, 서비스 회복의 절차적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이 높을수록 이용자의 재이용과 추천 의도는 높아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보서비스 실패에 대한 서비스 회복 노력으로 이용자의 회복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대학도서관의 이용자가 다시 찾거나 다른 이용자에게 이용을 권유한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information service failure severity within existing framework of service recovery justice research and analyse the effects of the attribution of service recoveries on recovered user satisfaction and revisit. For empirical analysis, A total of 452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se the data gathered from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information service failures of university library. Som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ervice failure severity has negative effect on service recovery justice. Second,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recovery justice has positive effect on recovered user satisfaction. Third, service recovery justic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Finally, recovered user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 on user revisit and mouth of word.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최근 7년간 문헌정보학분야에 게재된 논문 1,752건을 대상으로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여 다양한 주제 개념의 분포와 그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더불어 보다 최근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최근 2년 사이에 연구된 482건을 추출하여 2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최근 7년간 문헌정보학 분야는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으며, “평가”, “교육”, “웹”은 가장 높은 연결 중심성을 나타내 다양한 문헌정보학의 주제 개념들과 관련을 맺고 연구되고 있는 개념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최근 2년간을 대상으로 한 2차 분석 결과에서는 “웹”, “분류” 개념이 종전보다 높은 상대 빈도를 보였으며,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결과에서는 “이용자” 연구와 “공공도서관” 개념이 종전보다 더 다양한 주제 개념들과 관련을 맺고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Network Text Analysis was performed on 1,752 articles which had been published in recent 7 years and drew the subject concept distribution and their relation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areas. Furthermore, for analyzing more recent trends and changing aspects, this study performed secondary analysis based on 482 articles published in recent 2 years. Results show that “public library”, and “academic library” concepts were most frequently studied in the field and “evaluation”, “education”, and “web” concepts showed the highest-degree centrality during the recent 7 years. In the result of recent two years analysis, “web”, and “classification” concepts showed high frequency and “user”, and “public library” showed an improvement in high degree centrality.

초록보기
초록

인터넷 환경에서 정보검색의 기본적인 사안은 선택된 언어의 문자와 긴밀한 연관을 갖고 있다. 매큔-라이샤워시스템은 학술적 및 비학술적 적용을 위한 국제표준으로서, 목록 및 검색시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한국자료 이용자들에게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ISO, UNGEGN, LC, ALA, BL, 영국지명위원회와 유럽, 호주, 캐나다 등의 유관기관들은 모두 매큔-라이샤워시스템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도서관 일각에서 진행하려고 시도하는 2000년식 새한글로마자시스템으로의 표기방식 전환은 도서관 목록과 온라인DB 등에서 많은 혼란을 일으키게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기관에서의 이 분야에 대한 노력을 소개하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상세한 규정을 통하여 로마자시스템을 심층적으로 분석, 소개하여 향후 이 문제를 둘러싼 한국 도서관계가 현명한 판단과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fundamental issue of information retrieval in the Internet-based society is closely interrel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selected. The McCune-Reischauer Romanization system is not only considered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romanizing Korean language, it is also familiar to the majority of the Korean material users internationally. McCune-Reischauer system is adopted by the ISO, UNGEGN, ALA, LC, British PCGN, BL, and the relevant agencies in Europe, Canada and Australia etc. Encouraging for switching to the new Romanization system(2000) would result in complications among the library's catalogs and online databases, causing confusion for both staffs and readers. This paper analysed that the international efforts and rules for Romanizing Korean language materials and recommended direction for bibliographical issue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