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도서관, 검색결과: 539
421
심원식(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19, Vol.36, No.4, pp.227-251 https://doi.org/10.3743/KOSIM.2019.36.4.227
초록보기
초록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관련 법개정을 통해 해외 국가의 연구비 지원기관 등에서 시행하고 있는 데이터관리계획 정책이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앞으로 연구데이터의 공유 및 재사용을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와 지원 서비스를 개발함에 있어 참고가 될 수 있는 호주의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호주의 연구비 지원기관, 연구데이터 전담기관, 대학도서관의 다양한 전문가와의 면담을 시행하고 관련 문헌을 조사하였다. 호주의 경우 연방 차원에서 2015년 제정된 Public Data Policy에 연구데이터를 공공데이터 범위에 포함시키고, 연구비 지원기관의 정책 가이드라인에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유를 권장하고 있지만 의무규정은 아니다. 연구데이터 전담기관인 Australian National Data Service(ANDS)는 국가의 연구인프라 구축의 중요한 부분이며 연구데이터 인프라의 구축, 교육, 정책 지원, 소규모 연구개발사업 지원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호주 대학도서관은 연구데이터 관련 일부 자체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연구데이터와 관련된 주요한 수요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호주 사례의 시사점으로는 연구데이터 관련 정책 수립에 있어서 높은 투명성과 예측가능성, 연구데이터 전담 기관 설립을 통한 전문적 인프라 구축 및 교육/홍보 기능 수행, 대학도서관의 데이터 역량 개발을 들 수 있다.

Abstract

In early 2019, Korea passed the law that introduced data management plan policy similar to those adopted by national funding agencies in other countries. In anticipation of developing research data infrastructure and support services, this study analyzed Australia’s relevant policies and policy instruments. A number of face-to-face interviews with the experts at the national funding agency, a national research data agency and a number of research libraries, along with focused literature analysis. In Australia, the 2015 Public Data Policy is applied to research data from publicly funded research.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sharing is recommended but not required by the national funding agency it its policy documents. Australian National Data Service(ANDS), Australia’s national research data agency,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national research infrastructure. ANDS plays a wide range of roles including research data platform development, education and training, policy support, and funding agency for small-scale R&D. Some of the Australian research libraries have developed in-house systems for research data storage and publishing.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emand for research data service as yet. Lessons learned include the following: ensuring transparency and predictability of research data policies, establishing a dedicated agency responsible for research data platform development and training, and cultivating data capabilities at research libraries.

422
곽철완(강남대학교) 2018, Vol.35, No.4, pp.37-50 https://doi.org/10.3743/KOSIM.2018.35.4.03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브라운의 주제분류법 초판을 분석하여 오늘의 분류법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06년에 발표한 주제분류법 초판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류체계의 구성에서 주제분류법의 주류는 크게 11가지로 구분되며, 각 주류는 000에서 999로 세분되어 열거식으로 나열되었다. 둘째, 분류기호 합성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셋째, 새로운 주제 처리 방법으로 본표에 없는 새로운 주제가 나타나면 적절한 위치에 새로운 분류기호를 삽입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었다. 분류법 연구에 대한 시사점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이전의 분류법에는 없었던 혁신적인 방법인 복합 주제에 대한 분류기호 합성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패싯을 지원하는 보조표 운영을 통하여 주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설명하였다. 셋째, 자관별로 유연한 분류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한 분류법으로 분류체계에 새로운 주제를 쉽게 삽입할 수 있거나 도서관 장서 규모에 따라 간략한 분류기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디지털 자료에 대한 접근점으로 고려할 수 있는 디렉토리를 제공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irst edition of Brown’s Subject Classification an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oday’s library classification. For this purpose, the first edition of the Subject Classification published in 1906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divided into three main areas. First, SC is divided into eleven main classes and each class is subdivided into enumerated subdivisions from 000 to 999. Second, As a method of synthesizing the classification numbers, there were three methods of synthesis. There was a flexibility to insert a new classification number at the appropriate location when a new topic that does not appear in the main table appeared. Implications for classification studies can be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First, SC proposed a method of classification number synthesis for composite topics, which is an innovative method that was not available in previous library classification. Second, the subject matter was explained in various aspects through the operation of auxiliary tables supporting the facets. Thir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a new topic into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using the SC that can have a flexible classification system for each library, or to use a short classification num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ibrary collection. Fourth, it provided a directory that can be considered as access points for digital materials.

423
김민철(연세대학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3, Vol.30, No.2, pp.169-188 https://doi.org/10.3743/KOSIM.2013.30.2.169
초록보기
초록

장애인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장애인 및 잠재적 이용자층의 정보요구 미 파악, 단일화된 정보제공 채널의 미비, 웹 접근성의 낮은 체감 수준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는 요원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과 유관종사자 등 잠재적 이용자층의 장애인분야 웹정보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현재 국내에서 제공되고 있는 장애인분야 웹정보서비스의 이용성을 평가하였다. 나아가 웹정보서비스의 기능 개선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새로운 정보서비스 모형으로서의 장애인도서관 포털서비스 구축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In spite of various efforts to resolve digital divid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t still has a long way to go because there lack of identifying information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otential users including their family and the related, and integrated information channels such as a portal, and so 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users’ unique information behavior and evaluating usability of domestic web inform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are currently serviced. Increasingly, we suggest new functional requirements of building a library porta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424
장원홍(LG상남도서관) ; 오삼균(성균관대학교) 2015, Vol.32, No.2, pp.221-236 https://doi.org/10.3743/KOSIM.2015.32.2.2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LG상남도서관 ‘책 읽어주는 도서관’ 서비스의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서비스 구축과정과 모델에 대한 기술과 그 서비스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서베이를 통한 이용자 요구조사, 이용현황통계분석 및 이용자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도출된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각장애인이 스마트기기 사용에 높은 관심을 보였고, 스마트기기를 사용해 본 적이 없는 시각장애인도 비용과 접근성만 해결된다면 사용할 의사가 있음을 표명하였으며, 2) 스트리밍보다는 다운로드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육성과 TTS 음성 차이를 중요하게 생각치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4) 희망도서의 종류는 연령별로 각기 다른 선호도를 보였다. 5) 2014년 거의 14만 건의 다운로드가 이루어졌고 - 피처폰에 비해 36.3% 증가, 6) 가장 중요한 기능은 책갈피와 페이지/목차 이동 기능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and methodology followed in developing the Android-based LG Sangnam Audiobook service and an evaluation of its usefulness to the public. The methods included a survey of user needs, analysis of usage statistics, and user interviews. The study found that visually impaired users: 1) were greatly interested and willing to use smartphones if there were no barrier in cost and access; 2) preferred downloads to streaming services; 3) did not mind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real and TTS (text-to-speech) voices; 4) showed marked differences in book preferences according to age, 5) made about 14,000 downloads in 2014; and 6) indicated bookmarking and moving between pages and tables of content as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in using audiobooks.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 대학도서관의 신착 도서 리스트 중 사회 과학 분야 6,253권에 대해 목차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분류를 적용하였다. 분류기는 kNN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자동 분류의 범주로 도서관에서 도서에 부여한 DDC 300대 강목을 사용하였다. 분류 자질은 도서의 서명과 목차를 사용하였으며, 목차는 인터넷 서점으로부터 Open API를 통해 획득하였다. 자동 분류 실험 결과, 목차 자질은 분류 재현율과 분류 정확률 모두를 향상시키는 좋은 자질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목차는 풍부한 자질로 불균형인 데이터의 과적합 문제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학과 교육학은 사회 과학 분야에서 특정성이 높아 서명 자질만으로도 좋은 분류 성능을 가져오는 점도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applied automatic classification using table of contents (TOC) text for 6,253 social science books from a newly arrived list collected by a university library. The k-nearest neighbors (kNN) algorithm was used as a classifier, and the ten divisions on the second level of the DDC’s main class 300 given to books by the library were used as classes (labels). The features used in this study were keywords extracted from titles and TOCs of the books. The TOCs were obtained through the OpenAPI from an Internet booksto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OC features were good for improving both classification recall and precision. The TOC was shown to reduce the overfitting problem of imbalanced data with its rich features. Law and education have high topic specificity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so the only title features can bring good classification performance in these field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FRBRoo 분석을 바탕으로 FRBR 시리즈 개념모형을 확장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FRBRoo는 CIDOC CRM과 연계된 플러그인 온톨로지다. FRBR 모형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박물관 분야와의 협력을 위해 개발된 것이다. 연구 과정에서 FRBR 시리즈 모형이 IFLA LRM으로 통합 개정되었다. 이에 LRM에 대한 분석도 추가하였다. 서지 정보가 도서관의 업무와 이용자를 지원해야 한다면, 도서관이 당면한 새로운 과제를 지원하기 위해 서지정보를 분석하는 방식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과 관련된 이벤트 개념이 서지정보의 모델링에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서지정보의 구축과 교환 단위를 서지레코드보다 더 작은 단위나 더 큰 단위로도 확대해야 하며, FRBRoo를 서지정보의 공유를 위한 외부와의 연계 통로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tract

In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of FRBRoo, we tried to propose suggestions to expand and improve the FRBR family conceptual model. FRBRoo is a plug-in ontology of CIDOC CRM with cooperation of museum field. As FRBR family models also revised and integrated into IFLA Library Reference Model, the additional analysis on IFLA LRM was performed. If bibliographic information is required to support the technical and user services of the library, the way to analyze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cope with the new challenges faced by the library. To do this, time-related event concep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modeling of bibliographic inform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creation and exchange unit of bibliographic information to smaller units or larger units than legacy bibliographic records. Using FRBRoo as a linkage tool for the sharing of bibliographic information is also suggested.

427
장혜란(상명대학교) ; 홍현진(전남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오의경(건국대학교) 2009, Vol.26, No.4, pp.187-200 https://doi.org/10.3743/KOSIM.2009.26.4.187
초록보기
초록

국가도서관은 문화유산의 일환으로 국가의 출판물을 망라적으로 수집하고 보존한다. 본 연구는 서지대조법을 활용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의 판매도서 포괄성을 측정하였다. 2007년과 2008년 출판 도서에 대해 교보문고 판매용목록을 기준서지로 설정하고 10%를 체계적으로 표집한 후,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목록을 탐색함으로써 수록 비율을 측정하였다. 탐색 시점에서, 2007년 출판 도서의 포괄성은 92.25%, 2008년 출판 도서의 포괄성은 78.10%, 누적 포괄성은 85.16%로 나타났다. 주제별 분석에 따라 포괄성이 낮은 분야를 알 수 있었고, 미소장도서의 출판사 규모를 분석하였으며, 국내외 선행연구 결과와 포괄성을 비교하였다. 납본지연 등 불완전한 수집의 원인이 식별되었으며, 포괄성 향상 및 후속 연구를 위하여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national library is to collect all publications as part of the national heritage and preserve them. This study i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overage of the book collec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Bibliographies for the year 2007 and 2008 publications are obtained from the Kyobo Book Centre and sampled 10 % systematically to be used as checklists. Coverage was determined by searching the citations against the OPAC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Results indicate 92.25% of coverage for the books published in 2008, 78.10% coverage for the books published in 2007, and the cumulative coverage is 85.16%. The analysis shows time lag and subject fields with low coverage. Results a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Reasons for the unpossessed books, such as delay of deposit and publisher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Recommendations for the coverage improvements and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428
노영희(건국대학교) ; 안인자(동원대학교) ; 오세훈(광운대학교) 2013, Vol.30, No.4, pp.61-91 https://doi.org/10.3743/KOSIM.2013.30.4.061
초록보기
초록

사서직 분야의 인적자원개발이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서관 및 관련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한 인적자원 현황 파악을 토대로 향후 예상되는 인적자원의 양성 및 활용과 관련된 인력수급 전략과 법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력 고도화를 위한 기초 취업 현황, 취업 환경 및 관련 이슈의 종합적 분석 등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사회적 환경과 관련 제도 및 법을 포함하는 정책적 환경, 인적자원 양성 측면에서 현황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도서관 현장의 사서직 수요조사를 통하여 현장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서직의 두드러진 특징은 사서직의 여성에 편중된 성별 불균형 현상, 비정규직 증가, 그리고 도서관 분야 진출에 대한 높은 기대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둘째,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차이가 크지 않으나 임금이나 복지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사서의 사서직 교육 요구사항으로 현장 전문가 멘토링, 단기인턴십, 사서실습 등을 제시하고 있었고, 취업요건으로 인턴이나 실습, 어학능력, 각종 자격증 취득, 경력관리 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관기관의 사서자격증 보유자는 20%나 더 많은 사서자격증 보유자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In order to achieve effecti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LIS fields, it is essential to have strategies to nurture and utilize those human resources, in relation to supply and demand as well a sound legal foundation supporting those strategies. Such strategies and legal foundation can only be developed from a complete knowledge of the current status of human resources in the LIS and related industries. This study, therefore, conducted research on the basic employment status, employment environment, and an overall analysis of related issues, in order to address policy implica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LIS field. This research included the current status of policy environments that involve social environment, and related institutions and laws,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s as well as the current requirements of librarians in the field, based on a demand survey of LIS employment. It was found that first, there are three distinguishable factors in LIS employment: a feminization of librarianship, an increase in temporary posts, and a high entering ratio into the library workplace. Second, while there were only little differences in the given tasks between full-time and temporary employees, the differences in salary and welfare were considerably larger. Third, field requirements for librarian education included a mentoring system with field experts, short-term internships, and librarian apprenticeships, while job requirements included internship or apprenticeship, language skills, various license acquisition, and career management. Fourth, librarians with licenses for related organizations held 20% more librarian licenses overall.

429
유영준(나사렛대학교) 2003, Vol.20, No.3, pp.277-297 https://doi.org/10.3743/KOSIM.2003.20.3.27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색인어가 특정 주제 영역의 지식 구조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여기에서는 문헌정보학 관련 학술지인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등에 수록된 논문을 대상으로 국회도서관이 배정한 색인어를 클러스터링하여 문헌정보학의 지식 구조를 파악하였다.그 과정에서, 색인어간의 연관도 및 동시 출현 빈도를 이용하여 색인어 군집을 생성하였고, 초출색인어와 시기 구분에 의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발전 과정과 그 동향을 밝혔다. 또한 색인어 군집에 의해 도출된 지식 구조와 기존의 전통적인 분류체계의 지식 구조를 비교하여 두 지식 구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upon the premise that index terms display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pecific subject field.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grasp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clustering the index terms of the journals of the related academic societies at the Library of National Assembly - such a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rough the course of the study, index term clusters were generated based on the linkage of the index terms and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and moreover, time periods analysis was conducted along with studies on first-appearing terms, in order to clarify the tre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is study also analys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intellectual structure by comparing the structure generated by index term clusters with the existing structure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systems.

430
이원경(한성대학교) ; 서은경(한성대학교) 2013, Vol.30, No.1, pp.193-219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193
초록보기
초록

장애인들의 웹서비스 이용도와 의존도가 상당히 높아진 현실을 고려한다면 공공기관이나 도서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웹사이트 설계 지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웹 표준 및 웹 접근성지침, 그리고 관련 최신 연구들이 제안한 웹 접근성 요건들을 기반으로 중요도 수준이 포함된 42개의 항목의 웹 접근성 요건 체크리스트를 구축하였고 다음으로 공공도서관을 포함한 15개의 공공기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중요하다고 고려된 요건들이 아직까지도 지켜지지 않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웹사이트 설계 지침을 콘텐츠구성, 소리, 색, 키보드접근, 마우스접근, 접근기능, 이미지, 텍스트처리, 코드처리 등 9개 분야별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향후 접근성 지침에 따른 웹사이트 제작의 가이드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Public institutions or libraries urgently prepare comprehensive measures to improve web accessibility of their websites as booting web dependability and web utilization of disabled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sign guidelines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of disabled people. The study, first, analyzed various web accessibility requirements based on web standards,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and the related researches and proposed a web accessibility checklist with 42 requirement. Next, the study evaluated 15 websites of public institutions such as government departments, association of disabled people, and public libraries using the checklist. Finally, the study revealed non-adherence requirements and suggested website design guidelines in terms of contents configuration, sound, colour, keyboard handling, mouse handling, access, image processing, text processing, and code processing.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