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중요도, 검색결과: 188
초록보기
초록

웹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북마크는 이용자가 정보요구에 적합한 웹 정보를 효율적으로 재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라는 점에서 중요해졌다. 이 연구에서는 웹에서의 정보 수집 및 관리 도구로서의 북마크 이용 행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하여 북마크 기능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응답자 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관찰을 실시하고, 180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북마크 이용 목적에 따라 이용 행태와 기능 개선에 대한 요구사항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웹 정보의 수집을 위해 북마크를 이용하는 경우 맥락 정보에 대한 요구사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마크 이용 빈도가 낮은 집단은 웹 정보 재이용이라는 목적에 대해 북마크 기능이 필수적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s the amount of web information grows, a bookmark has become an important tool to reuse web information effectively which is relevant to users’ information needs. Thu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bookmarks are used as a management tool of web information, and what functions users require concerned with it. For this purpose,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from 5 respondent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okmark using behaviors and requirements for function improvement. The users who use bookmark less frequently think bookmark feature essential for the purpose of reusing web information.

초록보기
초록

연관성 척도는 정보검색 및 데이터마이닝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각 연관성 척도가 높거나 낮은 빈도 중에서 어떤 쪽을 선호하는가를 나타내는 빈도수준 선호경향은 척도의 적용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주요 연관성 척도들의 빈도수준 선호경향을 가상의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코사인 계수를 비롯한 대표적인 연관성 척도에 대해서 빈도수준 선호경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조절 방법을 동시출현 기반 질의확장 정보검색에 적용해본 결과 그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분석 및 실험 결과가 관련 분야에 시사하는 바를 논하였다.

Abstract

Association measures ar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including information retrieval and data mining. Each association measure is subject to a close examination to its tendency to prefer high or low frequency level because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applica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frequency level preference(FLP) tendency of some popular association measures using artificially generated cooccurrence data, and evaluates the results. After that, a method of how to adjust the FLP tendency of major association measures such as cosine coefficient is proposed. This method is tested on the cooccurrence-based query expansion in information retrieval and the result can be regarded as promising the usefulness of the method. Based on these results of analysis and experiment, implications for related disciplines are identified.

초록보기
초록

개인의 정보활용능력은 단기적으로는 현안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적으로는 평생학습을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개인의 경쟁력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정보활용능력이 개인의 성과와 상관관계를 가지는지를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검증해 보았다. 개인의 성과 지표로는 실험집단이 대학생인 점을 고려하여 학업성취도인 평점평균을 채택하였다. 검증결과 정보활용능력(information literacy)에 대한 자기효능감(self-efficacy)과 학업성취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상관관계는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정보활용능력이 개인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정보활용능력 관련 교과의 개설에 대한 당위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Information literacy of the individuals affects their competitive capability significantly by providing problem solving skills in the short run, and by enabling life-long learning in the long run. This study examines if information literacy capacity has any relationship with individuals' achievement level through the experiment with college student subject group. As evidences for individual achievement level, we adopted GPA's(grade point average) of studen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nformation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s has positive relationship. Additionally, it has been found that this relationship has a tendency of sustaining for a significant period. These experiment results would serve as a rationale for providing information literacy courses in the academic curriculum.

74
이용구(계명대학교) ; 김병규(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1, Vol.28, No.1, pp.309-326 https://doi.org/10.3743/KOSIM.2011.28.1.309
초록보기
초록

기존 메타데이터의 품질 측정 방법은 오류가 발생한 레코드를 단순히 계수하여 그 비율로 품질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메타데이터 요소별로 상대적 중요 정도를 나타내는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서, 메타데이터 품질을 체계적으로 계량화 하는 측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가중치 부여 방법으로 엔트로피, 이용자 과업, 그리고 이용 통계를 활용하였다. 또한 이들을 결합하여 통합 가중치를 제시하고 실제 서비스 되고 있는 학술지 기사 메타데이터에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엔트로피 가중치 방법은 데이터 자체의 특성을 잘 반영하며, 이용자 과업을 적용한 방법은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해결하는 필요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시하며, 통합 가중치는 특정 메타데이터 요소의 오류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균형 잡힌 측정값을 제시하여 계량화 방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Most metadata quality measurement employ simple techniques by counting error records. This study presents a new quantitative measurement of metadata quality using advanced weighting scheme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ting measurement techniques. Entropy, user tasks, and usage statistics were used to calculate the weights. Integrated weights were presented by combining these weights and were applied to actual journal article metadata. Entropy weights were foun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itself. User tasks presented the required metadata elements to solve user's information need. Integrated weights showed balanced measures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influence of error elements, This finding indicates the new method being suitable for quantitative measurement of metadata quality.

75
김현희(명지대학교) ; 장우권(전남대학교) ; 곽병희(전북대학교) ; 안태경(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 Vol.22, No.3, pp.103-127 https://doi.org/10.3743/KOSIM.2005.22.3.1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두 단계를 거쳐서, 즉 리포지토리 운영에 필요한 이슈들을 제시한 SPARC 체크리스트 문헌 등을 분석하고(제 1 단계), 16개 국내외 대학의 리포지토리 운영현황을 사례 연구를 통해서 살펴본 후(제 2 단계), 리포지토리 운영에 중요한 여섯가지 요인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여섯가지 요인인 ①학내 합의 형성과 운영 체제, ②콘텐츠, ③지식 재산권, ④학내 동종 사업과의 제휴, ⑤기술과 시스템 및 ⑥도서리를 앞으로 구축할 계획 중인 대학은 물론 이미 구축된 리포지토리를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대학에 하나의 지침이 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lement the management model o f the institutional repositories for the efficient di ational knowledge focusing on the dCollection system which is operated by KERIS (service provider ). In order to build the management model, the two steps were utilized. The first step is to investigate the checklists epository implement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one is to sur vey the current status of the sixteen domestic and foreign in stitutional repositories through interviews, surveys and email hrough the two steps, the management model including six components such as content and l ibrarian role was proposed. The proposed management model will be utilized to suply guide s both to the universities which plan to build their institutional repositories and to the universities which try to promote the activities of their repositori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전통적인 학술커뮤니케이션 모델이 새로운 대안적인 모델로 전환되는 과정에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들이 작용한다는 것을 하나의 사례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의학 분야의 학술커뮤니케이션을 오픈 억세스 모델로 전환시키려는 과정을 추적하면서, 첫째, 의학 분야 학회들의 협의체에서 오픈 억세스형 DB에 수록될 학술지에 대한 질적 통제장치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 점, 로 학회 홈페이지를 통하여 오픈 억세스 방식으로 학술지 원문을 서비스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은 국내 의학 분야에 오픈 억세스 모델을 적용하여 학술지 원문 DB를 구축하는데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오픈 억세스 등 대안적인 학술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적용하여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Abstract

This paper explains that socio-cultural contexts affect the transition in scholarly communication. Observing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open access model to the field of medicine in Korea, this paper found that the first, associations of medical societies considered a quality control system very important in the construction of an open access based fulltext DB, the second, there was an medical journal DB with a quality control procedure, and the third, many medical societies provided their journals fulltext to the public on their homepages. Consequently, this paper found that these factors had an effect on the process of transition in scholarly communication in the field of medicine in Korea.

77
두효철(전북대학교) ; 김건(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9, Vol.36, No.1, pp.269-294 https://doi.org/10.3743/KOSIM.2019.36.1.269
초록보기
초록

새롭게 등장하는 다양한 유형의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에게 재난정보들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갱신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SNS는 신속한 정보 확산 및 지속적인 노출이 가능하고, 이용자와 직접 소통함으로써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다. SNS의 이러한 특성은 기존 매스미디어의 단점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재난관리 업무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난관리기관의 효과적인 SNS 기록정보서비스 운영방안을 도출하고자 이용자 인식과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용자 설문을 진행하여, 이용자 관심도가 높은 정보유형을 파악하고, SNS 서비스에 적합한 기록정보항목을 선별하였다. 이를 통해 효용성이 높은 재난관리기관의 SNS 재난기록정보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Abstract

To effectively cope with new and different types of disasters, it is very important to communicate and update disaster information to the public quickly and efficiently. SNS enables rapid spread of information and continuous exposure. SNS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by directly communicating with users. SNS complements the shortcomings of mass media, and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work. This study analyzed user awareness and requirements to derive effective methods of SNS operation of disaster management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a user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ypes of information that are highly user-interested and to select information items suitable for SNS services. Through this, we suggest ways to improve the SNS disaster record information service of the disaster management institution.

78
김지수(한남대학교 정보융합연구소) ; 천희수(한남대학교 정보융합연구소) ; 문서현(한남대학교 정보융합연구소) ; 권선영(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2, Vol.39, No.1, pp.219-256 https://doi.org/10.3743/KOSIM.2022.39.1.219
초록보기
초록

지능정보사회에서 VR 기술은 차세대 기술로서 주목받으며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도서관에서도 VR 기술을 접목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도서관에서 이용되고 있는 VR 콘텐츠를 조사하여 분류하고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R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국내외 도서관을 대상으로 VR 콘텐츠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바탕으로 향후 VR 콘텐츠를 도서관에 적용하고자 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되지 않았던 VR 콘텐츠를 대상으로 실제 사례에 기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In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VR tech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as next-generation technology, and its importance as been emphasized. Against this background, there is a need to incorporate VR technology in libra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lassify VR contents used in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an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and status. Therefore, in this study, cases of VR conten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to which VR technology is applied and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results, matters to be noted when applying VR content to the library in the future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 study based on actual cases targeting VR content that was not discussed intensively in previous studies.

초록보기
초록

대학에서 연구가 중요한 활동으로 주목을 받게 되면서 대학도서관에서도 연구지원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북미 및 국내 60개 대학의 디지털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상으로 연구지원 가이드를 제공하는 현황을 조사하여 13개의 주요 내용유형을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대학도서관이 연구지원 가이드 내용을 구성하는데 고려해야 할 5개의 주요 영역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지원 가이드가 온라인상으로 제공되는 방식과 가이드를 통해 사서와 이용자가 소통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원 가이드를 제작, 제공하는 주체는 사서이며 대학도서관의 사서 역할은 향후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에서 이용자를 위한 정보를 생산하는 역할로 확장될 것으로 예측된다.

Abstract

Research has taken priority of many activities in universities and it has eventually brought the heat on research support services of libraries to meet high expectation of university researchers. To identify the major content areas and service methods of research guides serviced through digital libraries of univers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research guides of 60 university libraries in North America and Korea. As a result, 13 categories for research guide contents were identified and 5 crucial areas for the contents development were suggested. It also analyzed providing methods of online research guides and communicating methods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Librarians were identified as the prime human resource to develope and manage research guides, which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diversity of librarians' roles in the future.

80
이혁진(Texas Woman’s University) 2006, Vol.23, No.2, pp.97-111 https://doi.org/10.3743/KOSIM.2006.23.2.097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의 주요목적은 정보이용자들이 어떤 수준의 정확률 차이에서 유의미하게 차이를 인지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에 관련한 몇 가지 흥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 외에 적합성 판정은 이용자의 판정시간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제에 대한 이용자의 배경지식과 적합성 판정의 관계가 두드러졌다. 또한, 적합문서의 숫자가 적었을 때 이용자들은 적합성 판정에 더욱 어려움을 겪었다. 마지막으로, 검색결과리스트중 상위 N 문서의 적합성 판정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level of difference in precision would be significantly perceived by a human user of 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Not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with regards to this issue in information retrieval field. Despite the non-significant results, there were several interesting findings in recognizing different levels of precision rates. The correctness of relevance task had little to do with the taken time for the task. In addition,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topic familiarity and rate of correct judgments i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results in this study. It turned out that the subjects have more difficulty in a situation they have to judge between the two lists having more non-relevant documents than in a situation they do between the lists having more relevant documents. Finally, the serious influence from the first top N documents in a list for relevance judgment task has been confirme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