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웹 환경, 검색결과: 3
1
김성진(인하공업전문대학) 2006, Vol.23, No.4, pp.197-214 https://doi.org/10.3743/KOSIM.2006.23.4.197
초록보기
초록

전통적인 정보환경에 비해 웹 환경은 매우 다양하고 이질적인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개별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서는 웹 정보탐색행위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 이용자에게서 보여지는 공통된 정보탐색행위에 초점을 맞춰 이용자들이 웹에서 어떻게 정보를 찾는지 그 행위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간대별 인터뷰 기법을 적용하여 Dervin의 인지이동 개념을 기반으로 웹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진 일련의 인지적 움직임을 파악하고 하였다. 본 연구는 응답자 21명을 대상으로 37개의 웹 탐색 경험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웹 정보탐색행위는 시작, 검색, 브라우징, 조사, 정보발견, 결정/행동, 종료의 7가지 유형으로 구성되었다. 응답자별로 매우 다양한 행위 패턴을 보였으며 특히 브라우징 단계를 중심으로 반복되고 순환되면서 웹 정보탐색행위의 다방향적이고 비선형적인 특징을 보였다.

Abstract

A Web-based environment has very various and heterogeneous users. The emphasis o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may make it hard to reach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how they seek and use information on the We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common patterns in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n the Web by analyzing a series of cognitive movement of users in interaction with the Web. Based on Dervin’s concept and Timeline interview methodology, this study collected 37 Web experience descriptions from 21 respondents, which consisted of 302 steps. Findings addressed that Web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can be classified into seven types: Starting, Searching, Viewing/Browsing, Examining/Comparing, Finding/Compiling, Deciding/Acting, and Ending. Movement paths in the seven-type information seeking process showed that user’s interaction with the Web was repeated and circulated at the Viewing/Browsing step and that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n the Web was multi-directional and non-linear.

2
유수연(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 최희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6, Vol.23, No.2, pp.81-96 https://doi.org/10.3743/KOSIM.2006.23.2.081
초록보기
초록

웹기반 학술정보 커뮤니케이션이 보편화되고 정보공급자 및 이용자와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확산되는 등 원문서비스 환경의 변화는 원문서비스 기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웹을 통하여 이용자에게 원문을 제공하는 전자원문서비스의 등장은 전자형태 정보의 신속하고 용이한 복제 및 배포로 인하여 그 운영에 있어서 저작권과의 마찰을 피할 수 없다. 이 연구에서는 원문서비스 환경의 주요 변화와 동향을 검토하고, 해외 전자원문서비스 사례를 파악함으로써 국내 웹기반 원문서비스인 e-DDS가 국내 저작권법에서 이슈가 되는 부분 및 향후 해결해 나가야 할 부분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Abstract

Changes in document delivery service environment such as spread of web-based research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 information providers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document delivery service institutes. Swift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have allowed users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ir desktops via web. Web-based document delivery makes the massive scale of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possible so it need to protect the copyright holders' rights.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trends and issues of document delivery service environment and reviews electronic document delivery services of foreign countries. Also this study introduces the domestic electronic document delivery service, e-DDS, and evaluates the copyright issues for the service.

초록보기
초록

다수의 연구에서 정보추구 과정상 불 확신성(Uncertainty) 의 중요성이 지적되었지만, 실제 정보검색시스템을 이용한 탐색과정에서 이용자들의 불 확신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실제로 정보를 추구하는 이용자들의 웹 검색어 선정과정에서의 불 확신성 인식을 조사하여, 정보탐색 과정에서의 다양한 불 확신성 유형을 식별하였다. 불 확신성 유형에 입각하여 발견된 불 확신성의 주요 원인(Origins)은 정보검색시스템 및 서비스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여준다.

Abstract

While numerous studies have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uncertainty during the process of information-seeking, less research has investigated user uncertainty in the actual search process using a real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d user perceptions of uncertainty in the process of the selection of Web search terms in the real information-seeking process. The subjects at the doctoral or post-doctoral level were limited to the discipline of science in order to understand user perceptions in this field. The findings revealed various dimensions, types, and incidents of uncertainty. The typology of uncertainty facilitated an understanding of the subjects' information-seeking context by identifying various aspects of the context that constituted the subjects’ uncertainty. The identification of two principal origins of uncertainty based on the different types of uncertainty generated implications to improve information systems and service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