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term relationships, 검색결과: 2
1
최석두(한성대학교) ; 이우범(한성대학교) ; 김이겸(광주대학교) ; 이정연(한국학술진흥재단 지식정보센터) ; 최상기(전북대학교) ; 한상길(대림대학교) 2006, Vol.23, No.4, pp.147-164 https://doi.org/10.3743/KOSIM.2006.23.4.14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paper reports an effort to construct a grand-scale Korean thesaurus that can be used for enhancing retrieval performance in various fields. This thesaurus is currently being used for indexing and retrieving purpose and new terms are being added to it. As the new demands on retrieval performance increase in Korea, developing a grand-scale ontology appears to be necessary so a project is undertaken to transfer the current thesaurus into an ontology system. The paper describes how the thesaurus is constructed and prepared to be the base for an ontology system.

2
이승민(Indiana University) ; 남태우(중앙대학교) ; 김성희(중앙대학교) 2006, Vol.23, No.2, pp.39-59 https://doi.org/10.3743/KOSIM.2006.23.2.0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정보접근 도구로서의 대학 웹사이트 설계를 위한 정보구조 및 카테고리 레이블을 마련하기 위해 현재 미국 문헌정보학과 웹사이트 17개를 메인메뉴구조, 하부 카테고리, 레이블링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메인메뉴구조는 현재 17개 조사대상 웹사이트에서 모두 공통으로 제공하고 있는 9개 카테고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그 다음 수준의 서브 카테고리는 9개의 카테고리의 내용의 의미를 고려해서 35개 카테고리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카테고리 레이블로 사용되는 용어는 17개 웹사이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proposed a new informational structure and category labels to fully support the functions of school websites as an access tool to its contents. The proposed model was divided into three main aspects. First, main menu structure was the primary guideline to access information embedded in a website. Therefore, The proposed main menu structure consisted of 9 categories that are commonly provided by 17 existing school websites. Second, first-level categories consisted of total 35 categories under 9 main menu categories. Each category was placed under certain categories in main menu based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 meaning of the upper level categories. Third, the proposed model adopted general and comprehensive terms as category labels. The terms used as category labels were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category labels,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terms were selected from the current school website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