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theses management model, 검색결과: 2
초록보기
초록

오늘날 정보화 사회에서 경쟁하는 기업들에 있어서 데이터품질 저하는 기업경쟁력 하락과 새로운 비용창출이라는 부정적인 영향요인으로써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품질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품질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데이터품질의 측면 중 결과적이고 현상적인 품질개념인 데이터값의 품질과 데이터서비스의 품질에 대해 주로 연구되어 왔다. 이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원인적인 데이터품질 개념인 데이터의 구조적 품질을 메타데이터 관리의 관점에서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평가와 개선을 위한 관리의 관점이 적용된 데이터품질관리 성숙도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데이터품질관리 성숙도모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데이터품질 관리단계가 성숙될수록 데이터품질수준이 높아지게 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Abstract

In companies competing for today's information society. Data quality deterioration is causing a negative influence to generate company competitiveness fall and new cost. A lot of preceding study about data quality have been proceeded in order to solve a problem of these data quality deterioration. Among the sides of data quality, it has been studied mainly on quality of the data value and quality of data service that are the results quality concept. However, this study studied structural quality of the data which were cause quality concept in a viewpoint of metadata management and presented data quality management maturity model through this. Also empirically this study verified that data quality improved if the management level matured.

초록보기
초록

최근 정보기술 및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지식정보 자원들이 디지털화 되어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고 있으나, 디지털콘텐츠의 위치, 내용 변경 등으로 인해 이용자 접근 및 이용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표준 식별체계를 활용한 디지털콘텐츠의 식별 및 유통 방안의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콘텐츠의 효율적인 관리와 안전한 유통을 위한식별체계 기반의 정보유통체제 구축에 기여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식별체계 개요, 활용사례, 유통모델의 조사와 정보유통 현황을 분석하고, KISTI 고유식별체계, 식별시스템 및 유통시스템 구축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rnet in these days, resources of knowledge information have been digitalized and distributed on the internet. However, the location of digital content and a change of content have generated problems for users access and services. In line with this regard, the research on the identification of digital content utilizing standardized identification system and distribution system is necessary.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system based on standard digital identifier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saf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s. This study first tries to survey SDI outline, practical application case and distributed business model and to analyze information distribution status. Finally, this study tries to draw up a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KISTI's SDl. content identifica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system.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