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17, 18세기 환곡에 대한 제도론적 접근 - 재량적 규제체계의 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9, v.32 no.3, pp.133-165
https://doi.org/10.25024/ksq.32.3.200909.133
박이택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논문은 조선후기 환곡의 동태적 특성과 제도적 특질을 고찰한 것이다. 이 논문으로부터 밝혀진 것은 다음과 같다. (1) 환곡은 소민보호적 재분배체계의 일환으로 운영되었는데, 그것은 입헌적 질서에 의해 담보된 것이 아니라, 재량적 규제체제로 구현된 것이다. (2) 환곡은 호당 환곡량이 많은 때 환곡량이 더 늘어나는 동태적 불안정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 문제는 자동적인 안정화체계가 아니라, 재량적 규제체제에 의해 해소되었다. (3) 상평제나 사창제는 환곡제의 대안으로 논의되었지만, 이 제도들은 소민보호적인 재분배체계로 운영되는 입헌적 제도도 아니었고, 곡물저장의 동태적 불안정을 해결하는 자동적인 안정화체계를 가진 것도 아니어서, 환곡제를 대체하기 어려웠다. (4) 환곡제의 운영에 있어, 재량적 규제체제의 역할을 고려할 때, 19세기 중반 재량적 규제체제의 실패는 환곡제도를 위기에 빠트린 원인 중의 하나일 수 있다.

keywords
Hwangok, KoreanTraditionalGranarySystem, Dynamic Propertie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ConstitutionalOrder, DiscretionalRegulation System, 환곡, 동태적특성, 제도적 특질, 입헌적 질서, 재량적규제체계


참고문헌

1

비변사등록

2

穀總便攷 (奎1027)

3

新補受敎輯錄

4

朝鮮王朝實錄 .

5

김용섭, 「환곡제의 이정과 사창법」. 동방학지 34권,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2, 97~140쪽.

6

김재호, 「한국 전통사회의 기근과 그 대응: 1392~1910」. 경제사학 30호, 경제사학회, 2001, 47~85쪽.

7

림송산, 재난구제사 II . 서울: 법수출판사, 1985.

8

문용식, 조선후기 진정과 환곡운영 . 서울: 경인문화사, 2001.

9

문용식, 「17, 18세기 사창을 통한 지방관의 재정 보용 사례」. 역사와 현실 72권, 한국역사연구회, 2009, 69~101쪽.

10

박이택, 「조선 후기의 경제체제: 중국 일본과의 비교론적 접근」. 이대근(외), 새로운 한국경제발전사: 조선후기에서 20세기 고도성장까지 . 서울: 나남출판, 2005.

11

박이택, 「조선 후기의 곡물저장과 교역」. 경제사학 46호, 경제사학회, 2009, 29~59쪽.

12

송찬섭, 조선후기 환곡제개혁연구 . 서울: 혜안, 2002.

13

송찬섭, 「조선후기 경상도지역 환곡제 이정의 방향: 단성ㆍ진주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62집, 대동문화연구원, 2008, 5~44쪽.

14

양진석, 「17세기 후반 尹鑴의 상평제 실시론」. 규장각 19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996, 31~54쪽.

15

양진석, 「17세기 후반 이단하의 사창제 실시론」. 한국문화 20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997, 139~178쪽.

16

양진석, 「17세기 후반 환곡분급방식의 형성」. 규장각 22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999, 119~134쪽.

17

양진석, 「17세기 후반 災實分等과 還穀의 환수책」. 규장각 25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2, 121~149쪽.

18

오영교, 「조선후기 지방관청 재정과 식리활동」. 학림 8집,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1987, 1~68쪽.

19

오일주, 「조선후기 재정구조의 변동과 환곡의 부세화」. 실학사상연구 3집, 역사실학회, 1992, 59~118쪽.

20

이영훈ㆍ박이택, 「18세기 조선왕조의 경제체제: 광역적 통합체계의 특질을 중심으로」. 나카무라 사토루ㆍ박섭(편), 근대 동아시아 경제의 역사적 구조 . 서울: 일조각, 2007.

21

조규환, 「16세기 환곡 운영과 진자조달방식의 변화」. 한국사론 37권,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97, 111~179쪽.

22

조세열, 「16세기 환자제 운영의 추이」. 역사연구 6집, 역사학연구소, 1998, 169~211쪽.

23

中村哲, 「동북아시아 경제의 근세와 근대, 1600~1900: 그 공통점과 차이점」. 나카무라 사토루ㆍ박섭(편), 근대 동아시아 경제의 역사적 구조 . 서울: 일조각, 2007.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