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9, v.32 no.3, pp.167-194
https://doi.org/10.25024/ksq.32.3.200909.16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전근대 신분제와 젠더 기제, 유교의 예악정치의 산물인 기생은 여악이란 이름으로 궁중과 지방 관아의 각종 공식 연회에서 활동하였던 전문 여성 예인이었다. 또한, 그들은 악가무(樂歌舞)의 기예뿐 아니라, 유교적 덕목과 교양을 체득하여 지배층 풍류 문화를 매개하는 역할을 부여받았다. 하지만, 관비라는 신분적 한계 속에서 그들은 지배층 남성들의 공적, 사적 연회에 동원되는 과정에서 성을 포함한 각종 향응을 제공하도록 요구받았다. 그런데, 1894년 갑오개혁을 기점으로 전근대 시스템이 무너지고 관기제도가 폐지되면서, 전근대 기(妓)는 존재론적 조건의 변화에 직면하게 된다. 이 논문은 전근대 창(娼)으로서의 기(妓)의 근대적 분화와 해체 과정을 보여주는 제도사적 변이에 주목하면서, ‘요리점’이라는 공간을 구심점으로 하여 근대 시기 기생이 겪어야 했던 존재 양식의 변화와 제도 내에서 기생이 소멸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특히, 도시유흥 산업과 일제의 관광정책이 가속화되는 1930년대 요리점의 공간적 의미를 살펴보고, 1930년대 식민지와 제국을 교차했던 전통과 로컬리티 담론들 속에서 기생 표상이 가지는 문화 정치학적 함의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keywords
Gisaeng, Yorijeom, colony, empire, tradition, locality, 기생, 요리점, 식민지, 제국, 전통, 로컬리티


Reference

1

≪황성신문≫

2

≪매일신보≫

3

≪동아일보≫

4

≪朝鮮思想通信≫

5

≪개벽≫

6

≪삼천리≫

7

≪朝鮮≫

8

≪별건곤≫

9

≪중앙≫

10

≪조광≫.

11

高浜虛子, 朝鮮: 高浜虛子全集 第五卷 . 改造社, 1935.

12

권도희, 「20세기 전반 민속악계 형성에 관한 음악사회사적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3.

13

龜罔榮吉, 四季の朝鮮: 韓國地理風俗誌叢書 298 . 朝鮮拓殖資料調査會, 1925.

14

今村鞆, 歷史民俗朝鮮漫談 . 朝鮮印刷株式會社, 1928,

15

吉川萍水, 「妓生物語」[1933]. 古蹟と風俗/朝鮮風俗資料: 韓國地理風俗誌叢書[178] . 경인문화사, 1991.

16

김영희, 개화기 대중예술의 꽃, 기생 . 서울: 민속원, 2006.

17

김천흥, 심소 김천흥 무악 칠십년 . 서울: 민속원, 1995.

18

內藤八十八(編), 古蹟と風俗 . 朝鮮事業及經濟社 1927.

19

梶山季之(저)/任英(역), 「李朝殘影」. 韓國을 주제로 한 日本 中篇選 . 서울: 문학사상사, 1977.

20

박영희, 「초창기의 문단측면사(2)」. 한국문단사 . 서울: 삼문사, 1982.

21

朴齊炯(저)/이익성(역), 近世朝鮮政鑑 . 서울: 탐구당, 1975,

22

朴齊炯(저)/이익성(역), 近世朝鮮政鑑 . 서울: 탐구당, 1975.

23

白寬洙, 京城便覽 . 弘文社, 1929.

24

山地白雨, 悲しき國 . 自由討究社, 1922.

25

山河英愛, 「한국 근대 공창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여성학과 석사논문, 1991.

26

서기재, 「일본 근대 <여행안내서>를 통해서 본 조선과 조선관광」. 일본어문학 13집, 한국일본어문학회, 2002, 423~440쪽.

27

서지영, 「식민지 시대 기생 연구(Ⅰ): 기생집단의 근대적 재편양상을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28권 2호, 2005a, 267~294쪽.

28

서지영, 「식민지 시대 기생연구(Ⅱ): 기생조합의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0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b, 433~464쪽.

29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사회상연구 . 서울: 일지사, 1996.

30

송문숙, 「진주권번의 춤과 인물에 관한 고찰」. 한국체육철학회지 8권 2호, 2000, 143~159쪽.

31

송연옥, 「대한제국기의 ‘기생단속령’, ‘창기단속령’: 일제 식민화와 공창제 도입의 준비과정」, 한국사론 40호, 서울대 국사학과, 1998, 215~275쪽.

32

矢野干城ㆍ森川淸人, 新版大京城案內 [1936]. 경인문화사, 1989.

33

沈魯崇(저)/김영진(역), 「桂纖傳」[1797]. 눈물이란 무엇인가 . 서울: 태학사, 2001.

34

윤소영· 홍선영· 김희정· 박미경(역),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39 . 서울: 어문학사, 2007.

35

이경민, 기생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근대기생의 탄생과 표상 공간 . 서울: 아카이브북스, 2005.

36

이경재, 청계천은 살아있다 . 서울: 가람기획, 2002.

37

이광수, 무정: 한국문학대표작선집 10 . 서울: 문학사상사, 1999.

38

이난향,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 서울: 중앙일보ㆍ동양방송, 1977.

39

李能和(저)/이재곤(역), 朝鮮解語花史 . 서울: 동문선, 1992.

40

이태준, 「그림자」. 이태준 문학전집, 단편 1 . 서울: 瑞音出版社, 1988.

41

이태준, 「기생과 시문」. 무서록: 이태준문학전집 15 . 서울:, 깊은샘, 1994.

42

이태준, 「패강냉」. 돌다리: 이태준문학전집 2 . 서울: 깊은샘, 2004.

43

자넷 풀, 이태준, 사적영역으로서의 동양」. 아세아연구 , 51권 2호,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008, 48~80쪽.

44

鮎貝房之進, 雜攷 第9輯, 京城: 朝鮮印刷株式會社, 1931.

45

中島敦, 「プウルの傍で」[1933]. 中島敦全集 第三卷. 筑摩書房, 1992.

46

차승기, 「1930년대 후반 전통론 연구: 시간ㆍ공간 의식을 중심으로」. 세대 박사논문, 2002.

47

川村湊(저)/유재순(역), 말하는 꽃, 기생 . 서울: 소담출판사, 2002.

48

平壤府(編), 平壤小誌 . 平壤: 協坂印刷所, 1936.

49

홍선영, 박미경, 채영님, 윤소영(역),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40 . 서울: 어문학사, 2009.

50

渡辺裕, 日本文化 モダン。ラプソデイ . 東京: 春秋社, 2002.

51

師尾源藏, 新朝鮮風土記 . 東京: 萬里閣書房, 1930.

52

田辺尙雄, 「平壤妓生學校參觀記」[1921]. 中國ㆍ朝鮮音樂調査紀行 . 東京: 音樂之友社, 1970.

  • Downloaded
  • Viewed
  • 0KCI Citations
  • 0WOS Citations

Other articles from this issue

Recommanded Articles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