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9, v.32 no.3, pp.225-254
https://doi.org/10.25024/ksq.32.3.200909.225
ByeongIk hwang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그동안 유리왕의 妃 松讓女가 대무신왕의 어머니라고 기록한 『삼국사기』를 불신했지만, 이는 거란ㆍ여진 등의 보편적 혼속 ‘姉亡妹續’을 말한다. 유리왕의 ‘田’은 ‘사냥(田獵, 蒐田)’으로, 왕의 국가적 결속을 위한 巡狩였으니 유리왕은 안정되지 못한 국내ㆍ외 정세에서 국내의 분열을 수습하고 정략혼인으로 화합하며 왕조의 기틀을 닦아야 하는 입장이었다. <황조가> 해독에서 간과해온 부분은 ‘念’ㆍ‘誰其’ㆍ‘歸’등인데, ‘念’은 竹實이 열지 않아 그냥 돌아가는 봉황에게 “네가 아침을 굶을까 걱정스럽구나(念子忍朝飢)”한 杜甫의 시나 한해가 저물어도 돌아가지 못해 “나의 고독함도 염려스러웠다(故心憂 而念我之獨也)”에 나오듯 “哀憐ㆍ可憐하다, 염려하다”로 풀이해야 하고, ‘誰其’는 “도대체(과연) 누구와”라는 뜻 이외에 “자산이 죽었으니 누가 장차 그 뒤를 이을 것인가!(誰其嗣之)”에서처럼 ‘장차(앞으로)’로도 읽힌다. ‘歸’는 “자산이 우리를 버리고 죽었단 말인가. 백성들은 앞으로 어찌 살아야한단 말인가?(子產去我死乎 民將安歸)”에서처럼 “지내다, 살아가다”로 풀이해야 한다. 이에 따라 <황조가> 문맥을 풀면, “포르르 나는 꾀꼬리는(翩翩黃鳥)/암수 서로 애틋한데,(雌雄相依)/내 외로움 가련해라(念我之獨)/누구와 함께 살아갈꼬?(誰其與歸)”가 된다. ‘念我之獨’ㆍ‘誰其與歸’에 치희에 대한 유리왕의 고독하고 애절한 마음과 상실감, 막막한 심정이 녹아들어 있다. <황조가>는 유리왕이 ‘정다운 자연물―외로운 자아’라는 보편적 형식에다, 치희와의 이별을 계기로 절감한 자기주변과 정치상황에 대한 성찰, ‘고독ㆍ상실감ㆍ자기 연민’ 등의 자기 내면을 진솔하게 형상화하였다. 나아가 ‘정략과 견제’의 정치현실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떠다니고 싶은 순수하고 솔직한 유리왕의 무의식을 드러냈다 할 수 있다.

keywords
姉亡妹續, 사냥(田獵), 정략적 혼인, 국가적 결속, 哀憐/可憐(念), 장차(其), 살아감, 고독과 상실감, 자기 연민, 寞寞함, 자유로움의 갈구, replace dead elder sister with her younger sister, hunting, a marriage for political reasons, national unity, pitiful in the future, return, loneliness and heartbreak, self-pity, desolation, a longing for freedom


Reference

1

舊唐書

2

三國史記

3

詩經

4

禮記注疏

5

遼史

6

爾雅

7

戰國策

8

春秋左傳注疏

9

後漢書

10

大東韻府羣玉;

11

石洲集

12

文叢

13

陶淵明集

14

全唐詩

15

古今事文類聚

16

古文雅正

17

御定佩文齋詠物詩選

18

欒城集

19

伊濱集

20

吳都文粹續集

21

益齋亂藁

22

西河集

23

橫浦集

24

羣書考索

25

春秋春王正月考

26

日本書紀

27

詩疑辨證

28

韓養民, 秦漢文化史 . 陝西人民敎育出版社, 1986.

29

汪玢玲ㆍ张志立 主编, 中国民俗文化大观 . 吉林人民出版社, 1999.

30

张碧波ㆍ董国尧, 中国古代北方民族文化史 . 民族文化卷, 黑龙江人民出版社, 1993.

31

강선, 「고구려 건국시기 대외관계」. 고구려의 국가 형성 .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2005.

32

고운기, 가려 뽑은 고대시가 . 서울: 현암사, 2007.

33

곽정식, 「유리왕 전승에 대한 한 고찰」. 부산한글 3, 한글학회 부산지회, 1984, 1~12쪽.

34

琴京淑, 「高句麗 國內城 遷都의 歷史的 意味」. 高句麗硏究 15집, 고구려연구회, 2003, 5~25쪽.

35

김기흥, 고구려 건국사 . 서울: 창작과비평사, 2002.

36

김무식, 옛글 속의 우리 문화 엿보기 . 부산: 경성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4.

37

김미경, 「高句麗 琉璃王代 政治勢力의 再編과 對外政策」. 北方史論叢 4, 고구려연구재단, 2005, 217~257쪽.

38

金承璨, 韓國上古文學硏究 . 서울: 第一文化社, 1978.

39

金承璨ㆍ權斗煥, 古典詩歌論 .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987.

40

김영수, 「黃鳥歌 新解釋」. 古代歌謠硏究 . 용인: 단국대학교출판부, 2007.

41

김영하, 「고구려의 巡狩制」. 역사학보 106, 역사학회, 1985, 1~54쪽.

42

김영하, 「新羅時代 巡狩의 性格」. 民族文化硏究 14,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79, 199~247쪽.

43

金龍善, 「高句麗 琉璃王 考」. 역사학보 87, 역사학회, 1980, 45~62쪽.

44

김원중, 혼인의 문화사 . 서울: 휴머니스트, 2007.

45

김학성, 「<黃鳥歌>의 작품 성격」. 한국고전시가작품론(1) . 서울: 집문당, 1992.

46

김학성, 韓國古典詩歌의 硏究 . 이리: 圓光大學校 出版局, 1980.

47

김흥규, 韓國文學의 理解 . 서울: 民音社, 1986.

48

마르셀 그라네(저)/신하령ㆍ김태완(역), 중국의 고대 축제와 가요 . 서울: 살림, 2005.

49

박경철, 「고구려의 국가형성」. 고구려의 정치와 사회 .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07.

50

성기옥ㆍ손종흠, 고전시가론 .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6.

51

申瀅植, 韓國古代史의 新硏究 . 서울: 一潮閣, 1984.

52

余昊奎, 「高句麗의 國家形成과 漢의 對外政策」. 軍史 54,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5, 1~37쪽.

53

우용태, 釜山의 새 . 부산: 경성대학교 조류관, 2002.

54

원병오, 한국동식물도감(25): 동물편(조류 생태) . 서울: 문교부, 1981.

55

李庚秀, 「黃鳥歌의 解釋」. 韓國文學史의 爭點 . 서울: 集文堂, 1986.

56

李玉, 高句麗 民族形成과 社會 . 서울: 敎保文庫, 1984.

57

이종욱, 한국의 초기국가 . 서울: 아르케, 1999.

58

이종욱, 고구려의 역사 . 서울: 김영사, 2005.

59

任東權, 韓國民謠史 . 서울: 集文堂, 1964.

60

임주탁ㆍ주문경, 「<黃鳥歌>의 새로운 해석: 관련 서사의 서술의도와 관련하여」. 冠嶽語文硏究 29집,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4, 439~466쪽.

61

田寬秀, 「제의적 측면에서 본 黃鳥歌의 성격」. 韓國古典詩歌史 . 서울: 集文堂, 1997.

62

鄭武龍, 「黃鳥歌 硏究(1)」. 靑泉 康龍權博士 頌壽紀念論叢 , 同 刊行委員會, 1986, 309~329쪽.

63

鄭武龍, 「黃鳥歌 硏究(2)」. 國語國文學 論文集 7집, 東亞大學校 文科大學 國語國文學科, 1986, 53~68쪽.

64

정민, 한시 속의 새, 그림 속의 새(2) . 서울: 효형출판, 2003.

65

정민, 「새를 통해 본 고전시가의 몇 국면」. 韓國詩歌硏究 15, 韓國詩歌學會, 2004, 13~39쪽.

66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 서울: 신구문화사, 1993.

6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 서울: 지식산업사, 1994, 3판.

68

조용호, 「황조가의 求愛民謠的 성격」. 古典文學硏究 32, 한국고전문학회, 2007, 5~34쪽.

69

최두식ㆍ하상규, 「詩經과 韓國古詩歌」. 古詩歌硏究 . 부산: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2.

70

許南春, 「黃鳥歌의 祭儀的 性格(1)」. 成大文學 24, 成均館大 國語國文學科, 1985, 153~164쪽.

71

허남춘, 「고대시가의 주술성과 제의성」. 新編 古典詩歌論 . 서울: 새문社, 2002.

  • Downloaded
  • Viewed
  • 0KCI Citations
  • 0WOS Citations

Other articles from this issue

Recommanded Articles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