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1960년대 후반 김수영 시의 미디어 수용 양상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Media in the Kim, Soo yeong’s Poetry of Late 1960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2, v.35 no.1, pp.157-182
https://doi.org/10.25024/ksq.35.1.201203.157
김승구 (세종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글에서는 1960년대 후반 김수영 시와 미디어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했다. 영화, 라디오, 전화, 텔레비전 등 현대적인 미디어가 시 쓰기에 개입되는 양상은 김수영 시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양상이다. 라디오, 전화, 텔레비전 등이 대중적으로 보급된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미디어가 일상에 깊숙이 침투하기 시작했는데, 한국현대시사에서 김수영이야말로 미디어에 민감하게 반응했던 첫 번째 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전화 이야기>, <원효대사>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전화 이야기>는 본질적으로 전화의 특성을 십분 발휘한 작품이다. 전화 상대방의 메시지가 차단된 상태에서 시적 화자의 메시지만을 노출시킴으로써 독자가 시 속에 부재한 메시지를 채워 넣도록 하고 있다. 번역 대상으로 상정된 올비의 <아메리칸 드림>은 단순히 번역 대상이라는 위상을 넘어 시적 화자가 독자에게 전하고 싶어 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작품이다. 이런 장치들을 통하여 김수영은 번역가로서, 가장으로서 겪는 물질적 고통을 간접화해서 표현하고 있다. <원효대사>는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시적 화자가 시청한 것으로 보이는 <원효대사>와 <사랑스런 지니>라는 드라마는 연속 방영된 것으로, 시적 화자의 기억 속에서 이들 주인공은 경계를 넘나들며 서로 간섭하는 양상을 보인다. 시청자인 시적 화자와 드라마 주인공들 사이의 경계도 허물어진다. 이처럼 이 시는 다층적인 경계 허물기를 통해서 세속적인 공간에서 살아가면서 성스러운 세계를 지향하는 시적 화자의 내면적 고뇌를 표현하고 있다.

keywords
Kim, Soo-yeong, media, intellectual sense of identity, telephone, television, 김수영(Kim, Soo-yeong), 미디어(media), 지식인적 자의식(intellectual sense of identity), 전화(telephone), 텔레비전(television)


참고문헌

1

《경향신문》, 「사랑스런 지니 TBC에서 放映 패티 듀크 쇼 끝내」. 1967년 12월 11일자.

2

《경향신문》, 「방송 편성표」. 1967년 12월 13일자-1968년 5월 15일자.

3

DVD(I Dream of Jeannie: The Complete First Season (1965), Sony Pictures Home Entertainment, 2006).

4

《경향신문》, 「탤런트 부부(1) KBS 1期 동기생 / 로맨스 1년 만에 결혼에 골인 / 시간 나면 나란히 대폿집에서 / 朴炳浩(TBC-TV), 鄭惠先(KBS-TV)」. 1968년 11월 30 일자.

5

《동아일보》, 「방송 편성표」. 1967년 12월 13일자-1968년 5월 15일자.

6

강호정, 「연극적 상상력의 시」. 최동호·강웅식 外, 다시 읽는 김수영 시 , 작가, 2005.

7

곽명숙, 「김수영의 시와 현대성의 탈식민적 경험」. 한국현대문학연구 9집, 한국현대문학회, 2001. 6, 89-121쪽.

8

김병철, 미국문학사 . 한신문화사, 1986.

9

김유중, 김수영과 하이데거 . 민음사, 2007.

10

김지녀, 「김수영 문학 속의 ‘아메리카’」. 돈암어문학 22집, 돈암어문학회, 2009. 12, 387-409쪽.

11

앨런 S. 케이헌 저, 정명진 역, 지식인과 자본주의 . 부글북스, 2010.

12

양원옥, 「에드워드 올비의 戱曲 硏究-人間性 喪失의 類型分析」. 전남대 박사학위논문, 1995. 5.

13

원용진, 「한국 대중문화, 미국과 함께 혹은 따로」. 김덕호·원용진 편, 아메리카나이제이션 , 푸른역사, 2008.

14

유중하, 「金洙暎과 魯迅(3)」. 중국현대문학 16호,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1999. 6, 301-316쪽.

15

윤금선, 라디오 풍경, 소리로 듣는 드라마 . 연극과인간, 2010.

16

이미순, 「김수영 시에 나타난 바타이유의 영향」. 한국현대문학연구 23집, 한국현대문학회, 2007. 12, 527-561쪽.

17

이영미, 한국대중가요사 . 민속원, 2006.

18

정순일·장한성, 한국 TV 40년의 발자취 . 한울, 2000.

19

정영희, 한국사회의 변화와 텔레비전 드라마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20

조강석, 「김수영의 시의식 변모 과정 연구」. 한국시학연구 28호, 한국시학회, 2010. 8, 361-386쪽.

21

주영중, 「김수영 시에 나타난 시각적 경험의 발현 양상」. 한국근대문학연구 7권 1호, 한국근대문학회, 2006. 4, 279-311쪽.

22

中央日報·東洋放送 社史編纂委員會, 中央日報二十年史 . 中央日報社, 1985.

23

최호영, 「김수영 시에 나타난 자연인식과 미학적 변주」. 문학과 환경 9권 1호, 문학과환경학회, 2010. 6, 143-163쪽.

24

김수영전집 1·2 . 민음사, 2004.

25

瀨戶川宗太, 懷かしのアメリカTV映畵史 . 集英社, 2005.

26

Albee, Edward, The American Dream, The Sandbox, The Death of Bessie Smith, Fam and Yam. New York: Dramatist’s Play Service, 2009.

27

Bloom, Ken & Frank Vlastnik, The 101 Greatest TV Comedies of All Time Sitcoms. New York: Black Dog & Leventhal Pub, 2007.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