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Study on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Foreigners Utilizing Dokdo Content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4, v.37 no.3, pp.172-200
https://doi.org/10.25024/ksq.37.3.201409.172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은 외국인 대상 한국문화교육의 내용으로서 ‘독도’ 항목을 중심으로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문화교육을 통한 한국 관련 국제적 바른 인식을 제고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역사·영토 이슈와 같은 민감한 현안일수록 민족주의적 정서에 호소함으로써 상대방을 자극하여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키는 것보다는 문화인류학적으로 접근한 문화교육의 방식이 훨씬 더 바람직하며 진정한 역내 갈등 해결을 위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의 국제적 바른 인식 확산을 위해 한국어 및 한국학 전공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교육은 최우선시되어야 하며, 향후 이들의 영향력을 감안하면 기여도 또한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제Ⅱ장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기존 한국문화교육 교재에서의 독도 기술 실태를 분석하고 독도영유권의 본질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 후, 제Ⅲ장에서는 지식‒기능‒태도의 범주에 의거하여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독도 문화교육의 내용체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Ⅳ장에서는 독도 문화교육의 실제 방법과 관련하여 교수학습 모형 및 과정안을 예시적으로 제시하였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약 30종의 기존 한국문화 교재들 중 절반 이상이 생활문화, 전통문화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한국 관련 국제사회의 바른 인식 제고가 절실히 필요한 강역(영토)이나 역사 등과 같은 주제들은 아예 반영조차 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독도 주제를 조금이라도 다루고 있는 교재는 3종에 불과하였는데,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문화 교재 1종을 제외한다면 순수 외국인을 대상으로 독도를 다룬 한국문화 교재는 2종에 불과한 셈이다. 그리고 이마저도 독도 관련 기술이 자칫 한국의 대외적 입장을 훼손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향후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재의 기술 내용과 관련하여 해당 주제별 전문가의 심도 있는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독도 문화교육의 내용체계는 지식‒기능‒태도의 범주에 의거하여 초·중·고급별로 브루너의 나선형 과정을 적용하여 구성해보았다. ‘지식’ 문화교육 내용으로서 독도의 지명, 위치, 지형 등을 예시로 초급·중급·고급별 문화교육 내용을 구분하였다. ‘기능’의 문화교육 단계와 관련해서는 듣기·말하기·읽기·쓰기와 관련된 문화교육 활동으로 구성하고, 태도와 관련해서는 자연(생태환경)적 가치, 경제적 가치, 안보적 가치 등을 예시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독도 문화교육의 방법과 관련해서는 ‘가치학습탐구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예시로 ‘자료 탐구하기‒가치 확인하기‒가치 평가하기‒가치 재구성하기’ 등으로 구분하여 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의 문화교육 방안을 활용하여 외국인 해당 국가들의 독도와 유사한 도서영유권 경험 또는 식민지 역사 경험 여부 등을 감안한 대상 국가별 맞춤형 문화교육 방안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국처럼 식민 침탈의 역사를 경험한 국가를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식민 침탈의 역사문화를 통한 독도 문화교육을 실시하고, 독도와 관련된 국가 및 도서영유권 분쟁의 경험이 없는 국가의 경우에는 독도가 한국인의 삶의 터전임을 강조하는 문화교육 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향후 주제의 민감성 등을 감안하여 보다 이론적으로 검증되고 체계화된 문화교육 방안을 통해 국제사회에서도 거부감이 없는 독도 문화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dokdo, island sovereignty, Korean cultur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cultural symbol, 독도, 도서영유권, 한국문화교육, 한국어 교육, 한국문화상징


Reference

1

권도경, 「안용복 문화콘텐츠의 존재양상과 독도영유권분쟁 대응사적인 의미」. 한국언어문학 제66집, 2008, 205‒233쪽.

2

김낭예, 「상징을 통한 한국문화교육 연구: 문화 상징 항목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제22권 2호, 2011, 49‒73쪽.

3

김병렬, 일본 군부의 독도침탈사 . 바른역사정립기획단, 2006.

4

김수희, 「한국교과서에서의 독도 기술 검토」.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주최 독도교육학술대회(2012. 12. 6), <한일 양국의 독도 교재 비교 검토>, 97‒118쪽.

5

김재봉, 「가치탐구 학습법의 적용 방안 연구」. 국어교육연구 제12집, 2003, 1‒22쪽.

6

김재욱, 「한국어 교육」. 국어연감 , 국립국어원, 2011.

7

김종철,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문화교육의 쟁점과 전망」. 국어교육 제133호, 2010, 339‒367쪽.

8

김학준, 독도연구: 한일 간 논쟁의 분석을 통한 한국영유권의 재확인 . 동북아역사재단, 2010.

9

김해옥, 「한국문화 교육 관련 교재 개발 현황과 과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제7차 국제학술대회, 2012.

10

민현식,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방향과 방법」. 한국언어문화학 제3권 2호, 2006, 137‒174쪽.

11

박한나, 통으로 읽는 한국문화 . 박이정, 2009.

12

배진수, 「G20 국가의 한국 관련 바른 인식 제고 과제: 교과서 한국서술, 독도영유권, 국제개발협력(MDGs) 이슈를 중심으로」. 국제문제연구 제10권 제2호, 2010, 1‒38쪽.

13

배진수, 독도 이슈 60년과 한국의 영토주권: 독도 이벤트데이터(1952‒2010년) . 동북아역사재단, 2012.

14

서태열·김혜숙·윤옥경, 독도 및 울릉도 관련 영토교육 방향 모색 . 한국해양수산 개발원, 2007.

15

유미림, 우리 사료 속의 독도와 울릉도 . 지식산업사, 2013.

16

이미정, 「한국어 목적 연결어미의 나선형 교육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7

이미혜,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통합 교육: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의 통합 양상을 고려한 교육 방안」. 한국언어문화학 제1권 제1호, 2004, 143‒163쪽.

18

이정숙,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의 탐색과 방향」. 한국어문교육 제12집, 2003, 431‒463쪽.

19

임경순, 한국어문화교육을 위한 한국문화의 이해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9.

20

장미영, 「세계화 전략을 위한 한국문화의 정체성: 한국인의 미적 지각과 표상방식」. 國語文學 제49집, 2010.

21

정권영, 「사회과의 가치 학습 탐구 과정의 지도 실제: 역사 교재를 중심으로」. 부산 교육 228호, 1983, 152‒158쪽.

22

정병준, 독도 1947: 전후 독도문제와 한·미·일 관계 . 돌베개, 2010.

23

조재윤 외,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길라잡이 . 박이정, 2009.

24

최미숙 외, 국어교육의 이해 . 사회평론, 2012.

25

최미영 외, 한국을 찾아라(Find Korea! ) . 재미한국학교 북가주협의회, 2010.

26

최장근, 한국영토 독도의 ‘고유영토론’: 미국과 일본의 영토팽창론을 경계하다 . 제이앤씨, 2014.

27

한국학중앙연구원, 외국 교과서에 비친 한국 .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28

호사카 유지, 대한민국 독도: 일본 논리의 종언 . BM성안당, 2010.

29

Kolb, D. A., Experiential Learning: Its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London & New York: Routledge, 1984.

30

Moran, Patrick R. 저 정동빈 외 역, 문화교육 . 경문사, 2001.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