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Study on Acceptance of Four Seasons and Monthly Ordinances on the Viewpoint of the Science of Ming Li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4, v.37 no.3, pp.94-117
https://doi.org/10.25024/ksq.37.3.201409.94
Kim Mantae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전국시대 말기 천인합일(天人合一)과 천인감응(天人感應) 사상을 바탕으로, 천시(天時)에 순응하여 인사(人事)를 행해야 한다는 월령(月令)사상이 오행(五行)관념과 연관되었다. 그러나 4를 기본수로 하는 사시·월령은 오행과 대응하기가 쉽지 않았다. 따라서 월령과 오행의 배속관계는 다양한 관점에서 시도되었다. 그중 가장 대표적 관점이 『백호통의(白虎通義)』의 ‘사계(四季) 18일설’이다. 그러나 단순히 각 계절의 순차적 월서(月序)를 의미하던 월지(月支)가 오대(五代) 이후 신법(新法)명리학에서 지장간(支藏干) 개념과 결합하여 월지장간(月支藏干)·월률분야(月律分野) 등으로 확장되면서 월령의 의미는 매우 복잡해졌고 사계 18일설도 변형되었다. 고법(古法)명리학의 납음오행(納音五行)을 대체하는 ‘지지[地] 안에 소장된[支中所藏] 천간[干‒天]’이란 의미의 지장간[支藏干‒人] 개념은 삼재(三才)사상의 신법명리학적 표현이다. 이에 따라 간지(干支)의 역법(曆法)과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을 기반으로 하는 명리학은 다른 어느 학문분야보다도 삼재사상의 기반 위에서 사시·월령과 오행의 연관성을 적극 활용하기에 이르렀다.

keywords
monthly ordinances, the five elements, timely ordinances, four seasons, field of ruling in each month, the ten celestial stems stored in the twelve earthly branches, three components of the universe, the science of Ming Li, 월령(月令), 오행(五行), 시령(時令), 사시(四時), 월률분야(月律分野), 지장간(支藏干), 삼재(三才), 명리학(命理學)


Reference

1

管子

2

珞琭子賦註

3

大戴禮記

4

明史藝文志

5

明通賦

6

白虎通義

7

三命通會

8

尙書

9

詩經

10

呂氏春秋

11

淵海子平

12

禮記大全

13

五行大義

14

玉照神應眞經

15

李虛中命書

16

逸周書

17

子平三命通變淵源

18

浙江通志

19

千頃堂書目

20

春秋繁露

21

太平御覽

22

黃帝內經素問

23

黃帝內經靈樞

24

淮南子

25

欽定四庫全書 (子部 術數類, 李虛中命書 提要).

26

관중 지음, 김필수 외 옮김, 관자 . 소나무, 2010.

27

김만태, 「한국 사주명리의 활용양상과 인식체계」. 안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8

김만태, 「조선조 命課學 試取書 徐子平 에 관한 연구」. 藏書閣 28,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a.

29

김만태, 「地支의 상호 변화작용 관계로서 地支合 연구」. 철학논집 31, 서강대학교철학연구소, 2012b.

30

김만태, 「十二支의 상호작용 관계로서 衝·刑에 관한 근원 고찰」. 정신문화연구 132,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31

신정근, 동중서의 春秋繁露 춘추 ‒역사 해석학 . 태학사, 2006.

32

龍伯堅 저, 白貞義·崔一凡 공역, 黃帝內經槪論 . 논장, 1988.

33

이명재, 「서자평의 명리사상 연구 ‒ 옥조신응진경 을 중심으로」. 중국학연구 66, 중국학연구회, 2013.

34

이석명, 「 회남자 의 時令사상과 음양오행론」. 대동문화연구 70,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2010.

35

이종호 편, 유교 경전의 이해 . 중화당, 1994.

36

제해성, 「 逸周書 의 文學 價値에 관하여: 胡念貽의 < 逸周書 中的三篇小說>에대한 淺見」. 중국어문학 34, 영남중국어문학회, 1999.

37

존 헨더슨 지음, 문중양 역주, 중국의 우주론과 청대의 과학혁명 . 소명출판, 2004.

38

홍성국, 신비의 이론 사주 궁합의 비밀을 밝힌다 . 한솜, 2010.

39

沈孝瞻 저, 徐樂吾 평주, 子平眞詮評註 . 臺北: 武陵出版有限公司, 1999.

40

余春台 편, 徐樂吾 평주, 窮通寶鑑評註 . 臺北: 進源書局, 2006.

41

劉伯溫 저, 任鐵樵 증주, 袁樹珊 찬집, 滴天髓闡微 . 臺北: 武陵出版有限公司, 1997.

42

兪曉群, 數術探秘: 數在中國古代的神秘意義 . 北京: 三聯書店, 1995.

43

張新智, 「子平學之理論硏究」. 臺北: 國立政治大學 博士學位論文, 2002.

44

張希淸, 中國科擧考試制度 . 北京: 新華出版社, 1993.

45

陳素庵 저, 韋千里 선집, 命理約言 . 香港: 上海印書館, 1987.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