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The Significance of ‘Mask’ in Choi In‒hun’s “Reflections on a Mask”: On the Basis of the Reflection of Indian Brahmanism Culture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6, v.39 no.2, pp.107-127
https://doi.org/10.25024/ksq.39.2.201606.10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은 최인훈의 <가면고>에 나타난 인도 문화적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작품 속 가면의 의미와 그 시대적 의미를 조명하는 데 유용한 실마리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주인공 민은 전쟁, 성자, 가면, 맨얼굴, 사랑 등에 대해 머릿속에서 끊임없이 사색한다. 그는 또한 꿈에서 3000년 전의 인도 왕자, 인도 공주, 업, 무명, 브라흐마의 얼굴에 사로잡힌다. 최인훈은 현대 인물 민의 고통을 초래한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 과거 시대로 돌아가 치료방법을 찾는 과정을 설정하였다. 최인훈은 인도 베다 시기의 문화적 관점이 가면에 대해 이해하기에 적절한 관점임을 발견하였다. 현대 인물 민은 이데올로기적 대립과 신분적 제약으로 인해 실현하기 힘들었던 자유와 평등 및 안정을 추구한다. 한편 그의 전신 인물인 인도의 고대 왕자는 크샤트리아로서 불가능한 브라흐마적인 신분의 변화를 추구한다. 이를 통해서 평화와 자유, 그리고 당시 한국 지도자의 변화에 대한 최인훈의 기대감을 엿볼 수 있다. 실제로 인도에서 브라흐마교의 신념과 반브라흐마교(반브라흐마니즘적)의 신념이 서로 엇갈리고 결국은 브라흐마교가 부활하면서 반브라흐마니즘을 대체했듯이, <가면고>는 한국전쟁 이후 한국인이 당시 자유롭지 않는 사회에 의한 가면, 즉 자유롭지 않는 사회제도에서 벗어나려면 반이데올로기 이념보다는 폭력과 불신을 와해시킬 수 있는 ‘믿음이 있는 사랑’만이 최선의 해결방법임을 말해준다.

keywords
최인훈, 가면고, 인도 문화적 요소, 브라흐마니즘, 반브라흐마니즘, 브라흐마, Choi In‒hun, Reflections on a Mask, Indian Cultural Element, Brahmanism, Anti‒brahmanism, Brahma


Reference

1

최인훈, 『최인훈 전집』. 문학과지성사, 2009.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2295쪽.

3

김미영, 「<가면고>의 서사 구조 연구」. 『한국언어문화』Vol. 25, 한국언어문화학회, 2004.

4

김병모, 『허황옥 루트 인도에서 가야까지』. 역사의 아침, 2008.

5

김상수, 『최인훈 소설의 불교적 성격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6

김인호, 「텍스트의 유토피아와 삶의 변증법: 최인훈 소설 『가면고』론」.『동국어문학』10·11권, 동국대학교 국어교육과, 1999.

7

김형준, 『이야기 인도사』. 청아출판사, 1998.

8

박주현, 「최인훈의 『가면고』에 나타난 프랑스 실존주의의 영향」. 『비교문학』49권,한국비교문학회, 2009, 131‒154쪽.

9

백두현·배준영, 「한글문헌의 문화중층론적 연구방법 서설」.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영남지역 문화어문학 연구인력양성사업단 엮음, 『문화어문학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144‒145쪽.

10

양윤모, 『최인훈 소설의 ‘정체성 찾기’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11

양윤의,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얼굴’의 도상학: 「가면고」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23권,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7, 211‒229쪽.

12

이상갑, 「『가면고』를 통해서 본 「광장」의 주제의식」.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7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0, 76‒98쪽.

13

이옥순, 『식민지 조선의 희망과 절망, 인도』. 도서출판 푸른역사, 2006.

14

일연, 『삼국유사』. 서문문학사, 1994.

15

장사흠, 「최인훈 소설에 있어서 환상의 의미 ‒<가면고>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13권, 한국현대소설학회, 2000, 235‒255쪽.

16

장혜련, 「「가면고」의 “정체성 찾기” 연구」. 『현대소설연구』38권, 한국현대소설학회, 2008, 348‒365쪽.

17

정재림, 『문학을 심문하는 작가』. 글누림출판사, 2013.

18

최인훈 저, 이태동 대담, 『작가와 함께 대화로 읽는 소설 최인훈·가면고』, 지식더미, 2007.

19

황정현, 「『가면고』의 서사 구조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29집 9권 4호,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5, 253‒278쪽.

20

Chakravarti, K. C., Ancient Indian Culture And Civilization. Vora & Co.,Publishers Limited, Bombay, 1952.

21

Majumdar, R. C., Ancient Indi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Delhi, 1977.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